메뉴 건너뛰기

close

"이 밥이 어디서 나는지 알아?"

아이가 어렸을 때 반찬 투정이 좀 심했다. 그럴 때마다 내가 아이에게 한 질문이다. 농부가 얼마나 고생해 쌀 한 톨을 생산하는지 일러주려는 질문이다. 한편으로는 어렸을 때 어머니의 농사를 도왔던 왕년 농부로서의 사명감이 불타서 나온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이의 대답은 여지 없이 내 기대를 어그러뜨린다.

"쌀나무에서 나는 거 아녜요?"

아이는 태연히 대답한다. 뭘 그런 마땅한 질문을 하냐는 투다. 그러면 으레 꿀밤 한 대 안기곤 생산 과정을 설명한다. 쌀나무가 아니라 벼이며, 이른 봄에 볍씨를 뿌려 모판에서 자라게 한 후 모내기 철이 되면 모판의 벼를 갈아 놓은 논에 못줄을 띄우고 칸칸이 심었다는 고전 같은 이야기를 말이다.

몇 번의 김매기와 피사리며, 비료 살포 및 농약 살포에 이르기까지 농부가 얼마나 고생을 하는지, 가을 걷이 벼 베기, 탈곡을 하고 방앗간에 날라다 도정을 하는 이야기까지. 숨을 몰아쉬며 농부의 땀 흘리는 품을 아이 머릿속에 깊숙이 심어 주려고 한 마당 연설을 한다. 그러나 아이는 나를 맥 빠지게 하는 한 마디로 마무리 짓고 밥 숟가락을 놓고 일어선다.

"맛도 없는 밥을 뭐하러 먹어요. 농부 고생시키고. 이젠 빵이나 치킨으로 식사하면 되겠네요."

이런 낭패가 어디 있나. 새삼 거의 30년 된 이야기가 떠오른 것은 커피 때문이다. 우리는 매일 한두 잔의 커피를 마신다. 그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이었던 김치를 제치고 커피가 그 자리를 꿰찼다는 보도를 접하기도 했다. 우리가 커피를 대하는 자세가 아이의 어린 시절 모습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안락한 커피 소비자, 굶주린 커피 농민

<Brewing change>(릭 페이저, 빌 메어스 지음 / 박진희 옮김 / 테라로서 펴냄 / 2013. 11 / 247쪽 / 2만원)
 <Brewing change>(릭 페이저, 빌 메어스 지음 / 박진희 옮김 / 테라로서 펴냄 / 2013. 11 / 247쪽 / 2만원)
ⓒ 테라로사

관련사진보기

우리는 커피 맛이 있는지 없는지에 관심이 많다. 커피값이 비싼지 싼지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정작 커피는 어디서 어떻게 재배되는지, 커피를 생산하는 농민들은 어떻게 사는지 거의 무관심하다. 안타깝게도 쌀을 생산하던 우리나라의 1950~1960년대 농민보다 더 가난하고 더 열악한 환경에서 산다. 우리가 커피를 아무리 많이 소비해도 그들의 삶은 도무지 나아지지 않는다. 그게 더 비극이다.

릭 페이저는 <Brewing change, 로스 메세스 플라코스 커피 산지의 굶주림>에서 아래와 같이 울분을 토한다.

"빌의 이야기를 듣고 놀랄 수밖에 없었다. 나는 안락한 삶을 살았다. 그런데 우리가 마시는 커피를 재배하는 농민들은 가난하다니. 도대체 얼마나 가난하단 말인가? (중략) 난 너무 충격을 받았다. 어떻게 농민들이 그렇게 가난할 수 있단 말인가? 커피는 매년 수십 억 달러의 수익을 내는 산업인데." -<Brewing change> 38쪽 중에서

'커피 키즈'라는 비영리단체를 통해 커피 산지의 농민을 돕는 빌을 통해 그들이 얼마나 가난한 지 듣고 화가 나서 릭이 한 말이다. 릭 페이저는 커피 회사 '그린 마운틴'의 직원으로, 커피 산지를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가장 강력하게 추진한 인물이다. 빌도 한때는 "과테말라에 가기 전엔 커피가 트럭 트렁크에서 나오는 줄 알았다"고 고백한다. 내 아이의 어린 시절 딱 그 모습이다.

그런데 그게 바로 나를 포함한 대부분 커피 소비자들의 모습이다. 이들은 너나없이 우아한 커피(?)를 소비한다. 카페에 앉아 커피를 마시며 시시덕거린다. 커피 한 잔을 시켜 놓고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 최신 기기들을 켜고 세계의 정세와 요즘의 트렌드를 검색한다. 충분한 커피값을 지불했으니 그만큼의 호사는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 충분한 값이 대형 커피 전문점과 도매상들의 마진으로만 자리매김하는 걸 알고 있는가. 미국 스페셜티 커피협회(SCAA, Speciali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n)가 공정 무역과 커피 산지의 가난에 눈을 돌릴 때인 1990년엔 대형 커피 전문점으로 대별되는 스타벅스는 참여하지 않았다. 8년 후 떠밀려 참여했다. 스타벅스가 특별히 악한 기업이라는 뜻이 아니라 그만큼 커피 업계가 커피 농가에 대한 관심이 없다는 뜻이다.

노블리스 오블리제? 커피에도 필요하다

[모습 1] 과테말라, 비포장 도로를 한참 달리다 조그만 예배당이 나온다. 가축들의 외양간들이 보인다. 알고 보니 외양간이 아니라 비만 피할 수 있는 열 가구의 집이다. 사생활도, 화장실도 아무것도 없다. 흙바닥에 가구 한 점 없다. 이들에게는 일 년에 몇 달씩 전혀 아무것도 먹을 것이 없는 기간이 있다. '로스 메세스 플라코스(배고픈 시기)'라고 한다.

[모습 2] 그들이 일하는 농장은 거대한 농장 저택이 있고, 둘레로는 울타리가 쳐 있다. 웨트밀과 드라이밀 가공 시설이 완벽하다. 현대식 숙소와 과테말라 국조인 케잘의 모습이 박제된 장식이 놓여있다. 딱정 벌레가 커피 잎에 붙어 있다. 이는 유기농이라는 증거다. 잘 가꾸어진 나무들이 커피 나무에 그늘을 만들고 새들이 지저귄다. 무장을 한 경비원들이 강도라도 침입할까 봐 물 샐 틈없이 지킨다.

모두 과테말라 커피 산지의 모습이다. 이와 같은 모습은 대부분의 커피 벨트의 모습이기도 하다. 대농장과 커피 농민,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모습이 한 동네에서 펼쳐진다.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 그렇게 한 동네에서 산다. 커피의 우아한 소비자인 우리는 어디에 속하는 걸까 생각하게 만든다.

커피 농민들은 '로스 메세스 플라코스'를 인내하며 지낸다. 커피를 판 돈이 떨어지거나, 옥수수나 콩의 가격이 올라갈 때 커피 농민들은 굶주림과 싸워야 한다. 거의 일년 중 절반을 그렇게 굶주림과 싸울 때도 있다고 책은 알려준다. 그러나 모두 건전하게 이 기간을 이겨내는 것만은 아니다. 마약 재배를 하는 농민들도 있다.

"에티오피아의 농민들이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커피 대신 마약 작물을 재배한다는 현실이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에티오피아는 커피의 고향이자 성지가 아닌가. 다시 한 번 커피 농민들의 어려움은 세계 공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깨끗한 물과 음식, 의료 및 교육시설, 외부와의 교통수단이 절실했다. 그 중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겨우 15살 나이에 임신한 어린 소녀들에 대한 교육 혜택이 꼭 필요했다."- <Brewing change> 153쪽 중에서

우리는 흔히 '노블리스 오블리제'에 대하여 말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정작 커피를 소비하는 커피인으로서의 의무에 대하여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 책의 저자 릭 페이저는 지속 가능한 커피 생산과 공정 무역, 유기농 커피라는 등식을 돈 벌기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굶주린 커피 농민의 삶의 개선에 초점을 맞춰 SCAA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커피 농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깨끗한 물과 음식, 의료 및 교육 시설, 외부와의 교통 수단 등에 커피를 판 돈을 투자했다. 그 성공적인 이야기가 이 책이 되어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쌀나무에서 쌀이 나는 것'이라는 아이의 공상적 감각으로는 더 이상 커피의 우아한 즐김이 허물어질지도 모른다. 이제 공정 무역 커피와 유기농 커피를 즐거운 마음으로 제값 주고 마시는 운동에 동참하면 어떨까.

덧붙이는 글 | (릭 페이저, 빌 메어스 지음 / 박진희 옮김 / 테라로서 펴냄 / 2013. 11 / 247쪽 / 2만 원)



Brewing Change - 로스 메세스 플라코스, 커피 산지의 굶주림

릭 페이저 지음, 테라로사(2013)


태그:#BREWING CHANGE, #커피 산지의 굶주림, #릭 페이저, #빌 메어스, #로스 메세스 플라코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늘도 행복이라 믿는 하루가 또 찾아왔습니다. 하루하루를 행복으로 엮으며 짓는 삶을 그분과 함께 꿈꿉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