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비판적 기사에 대해 온라인으로 대응하려 하는 것 아니냐."

 

13일 오전 국토해양부(이하 국토부) 기자실에서 이성구 국토부 온라인 대변인은 취재진의 날카로운 검증을 피할 수 없었다. 이날 국토부는 "온라인 대변인을 만들어 스마트폰·트위터 등을 통해 정보를 국민에게 빠르게 전달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를 그대로 믿는 취재진이 많지 않았다.

 

국토부가 "언론 통제와는 관련 없다"고 해명했지만, 지금껏 국토부가 4대강 사업 추진본부의 트위터를 통해 소통보다는 일방적인 홍보나 비판 언론에 대한 감시, 반박 등에 치우친 탓에 취재진의 우려가 컸다.

 

국토부, 온라인 대변인제 도입... "소통 강화" 글쎄?

 

국토부는 이날 대변인실에 국토부 홈페이지를 담당하는 부서를 확대·개편해 이성구 온라인 대변인 등 국토부 직원 6명으로 이뤄진 뉴미디어계(기술부문 담당 용역 직원 6명 제외)를 출범시켰다. 국토부는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 맞춰 유익한 정보를 국민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또한 "정보 전달의 대표격이었던 '보도자료'를 핵심내용 중심으로 압축해 소셜네트워크용 '100자 뉴스'로 새롭게 서비스하고, 인터넷 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된 자료로 가공된 '온라인 뉴스'를 새롭게 선보이게 된다"고 전했다.

 

특히, 국토부 공식 트위터(@korea_land)를 통한 홍보에 중점을 두겠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김형렬 국토부 대변인은 "국민이 즐겨 이용하는 소통 채널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온라인 대변인제 신설이 소통 강화보다 일방적인 홍보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국토부는 지난 5월에도 4대강 사업과 관련해 소통을 강화한다며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행복 4강'을 내놓았지만, 6·2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국토부의 홍보 책자를 그대로 옮긴 것에 불과해 일방적인 홍보를 통한 선거운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일방적인 홍보·비판 언론 통제가 목적 아니냐"

 

무엇보다 이번 온라인 대변인제 신설의 목적이 비판 언론을 감시나 통제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 이성구 온라인 대변인은 "100자 뉴스나 1분 30초 정도의 영상을 제공하고, 트위터 등을 통해 확인 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퍼지는 것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언론에 대한 통제는 우리와 관련 없는 일"이라고 해명했다.

 

이 대변인의 답변에 취재진은 "그런 역할을 하기에 인력 6명은 너무 많은 것 아니냐, 4대강 사업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려는 의도 아니냐"며 의혹의 시선을 감추지 않았다. 실제, 국토부는 현재 4대강 사업 추진본부 트위터(@save4rivers)를 통해 소통보다는 정부에 유리한 정보나 기사를 퍼트리고, 4대강 사업 반대 언론보도나 의견을 적극 반박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지난달 4일 추진본부 트위터는 안희정 충청남도지사가 4대강 사업 중 보 건설과 대형 준설에 대해 재검토를 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일부 언론이 "안희정 지사가 4대강 사업에 찬성했다"고 왜곡 보도한 내용을 그대로 퍼날랐다.

 

당시 일부 트위터 사용자들은 추진본부 트위터가 전달한 내용만을 보고 4대강 사업에 대한 안 지사의 입장 변화에 큰 실망을 나타냈다. 이후 안 지사가 자신의 트위터(@steelroot)를 통해 "4대강 사업에 대한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사실 관계를 바로잡고 나서야 오해가 풀린 바 있다.

 

평소 트워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김진애 민주당 의원(@jk_space)은 "트위터를 통한 소통은 환영한다"면서도 "하지만 질문에 대한 답하기를 통한 소통이 아닌, 일방적인 홍보나 유리한 정보 전달, 비판 언론에 대한 감시 등으로 흐를 수 있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태그:#온라인 대변인, #트위터, #국토부, #4대강 사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