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23일)이 모레입니다. 비온 뒤 갑자기 추워져 상강이 다가온 것을 실감했는데 오늘은 또 갑자기 따뜻한 햇살에 껴입은 옷이 부담스러웠습니다. 서리가 내리기 전에 농작물을 거두어 들여야 하는 시골은 부지깽이도 덤빈다고 할 정도로 바쁘겠지만, 도시에서는 겨울 내복이며 겉옷을 꺼내 들고 옷장 정리하는 것, 이불을 바꾸고, 보일러를 손 보는 것으로 겨울 준비를 합니다. 이런 생활 모습을 담아서 속담을 지어 보았습니다.

요즘 모기는 상강이 되어야 입이 삐뚤어진다.(처서에 모기 입 삐뚤어진다는 속담을 빗대어)
상강 즈음에 한국 시리즈 끝난다.
상강 즈음에 프로 농구 재미있다.
상강 되니 10분 일찍 자는데 10분 더 늦게 일어난다(해가 짧아져서 늦잠을 자게 된다는.)
상강에 옷장 정리한다. 
상강에 겨울옷 사러 간다.

서리가 내리면 아름다워지는 꽃이 국화입니다. 다른 모든 꽃은 이미 시들었지만 고고한 향기 뿜어내며 서 있는 국화는, 그래서 누님에 비유되었나 봅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상강 즈음 먹는 절기 음식이 국화전입니다. 국화꽃과 잎으로 수놓은 국화전, 생각만 해도 침이 넘어갑니다. 이 즈음 꽃을 따서 국화차를 만들기도 하고, 국화주를 만들기도 한답니다. 우리도 오늘은 국화전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

처음부터 거부하는 아이들도 있었지만, 호기심에 마셔본 아이들은 다들 향이 좋고 맛있다는 말을 연발했다.
▲ 국화차를 마시는 아이들 처음부터 거부하는 아이들도 있었지만, 호기심에 마셔본 아이들은 다들 향이 좋고 맛있다는 말을 연발했다.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국화전을 만들기 전에 먼저 국화차를 마시며 국화향을 느껴 보았습니다. 맛있다는 아이, 맛 없다는 아이 다양합니다. 안먹겠다는 아이도 있었지요. 그리고 미리 꺾어온 노란 감국 향을 맡아 봅니다. 다들 너무 좋아합니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국화꽃을 꺾어 베갯속에 넣기도 했다는 이야기를 해 주었지요.

하얀 찹쌀가루를 익반죽(가루에 끓는 물을 쳐 가며 하는 반죽)해서 동글 납작하게 빚은 후에 꽃과 잎으로 장식을 합니다. 여기에 빨간 산수유 열매 몇 개를 따다 함께 장식했지요. 여기 저기 꽃이 모자라다고 아우성입니다. '아이고, 저렇게 꽃을 많이 넣으면 써서 어떻게 먹으려고 그러노'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냥 두었습니다. 해 보는 것이 듣는 것보다 낫겠다는 생각에서입니다. 제가 만드는 모양을 보던 한 아이가 묻습니다. '근데 왜 샘님은 꽃을 한 개만 해요.' 빙긋이 웃으며 '글쎄, 왜 그럴까?' 했습니다.

뜨거운 물을 부어서 반죽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조심해야 한다. 익반죽을 하는 동안 아이들이 고소한 찹쌀 냄새가 좋다고 모여들었다.
▲ 찹쌀가루 익반죽 뜨거운 물을 부어서 반죽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조심해야 한다. 익반죽을 하는 동안 아이들이 고소한 찹쌀 냄새가 좋다고 모여들었다.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노란 감국을 꺾어다 흐르는 물에 씻었다. 충분히 씻는다고 씻었는데도 눈꼽보다 작은 곤충들이 꽃술 속에 살아 있었다. 큰 국화꽃은 꽃술은 버리고 꽃잎만 가지고 국화전을 부친다.
▲ 산에서 꺾어 온 감국과 산수유 노란 감국을 꺾어다 흐르는 물에 씻었다. 충분히 씻는다고 씻었는데도 눈꼽보다 작은 곤충들이 꽃술 속에 살아 있었다. 큰 국화꽃은 꽃술은 버리고 꽃잎만 가지고 국화전을 부친다.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사람 얼굴, 강아지 얼굴, 별, 고양이 얼굴, 아이들은 몇 가지로 이렇게 생생한 모양을 만들어냈다.
▲ 다양한 모양 사람 얼굴, 강아지 얼굴, 별, 고양이 얼굴, 아이들은 몇 가지로 이렇게 생생한 모양을 만들어냈다.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빨간 산수유 열매, 푸른 국화잎, 노란 감국꽃이 잘 어우러졌다. 하지만, 국화꽃이 너무 많이 들어가면 쓰다.
▲ 우리가 만든 국화전 빨간 산수유 열매, 푸른 국화잎, 노란 감국꽃이 잘 어우러졌다. 하지만, 국화꽃이 너무 많이 들어가면 쓰다.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자기 몫을 다 만든 아이들 먼저 전을 구워주었습니다. 보기에도 예쁘고, 들기름 향도 고소하고 거기에 달콤한 조청까지 올려 먹으면 금상첨화겠지요. 너도 나도 친구들 기다리지 않고 먼저 한 사람은 먼저 먹으면 안되겠느냐고 안달입니다. 묵묵히 듣고 있다가 정말 그렇게 먼저 먹고 싶느냐고 물어보았습니다. '식으면 맛이 없으니까 먼저 먹겠다'고 합니다. 그래서 먼저 먹으라고 했습니다.

먹다보니 질렸다. 노란 국화 쓴 맛도 그렇고, 양이 너무 많은 것도 그랬다. 결국 먹다남은 것은 집으로 싸갔다.
▲ 처음엔 꿀맛이었는데 먹다보니 질렸다. 노란 국화 쓴 맛도 그렇고, 양이 너무 많은 것도 그랬다. 결국 먹다남은 것은 집으로 싸갔다.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꿀맛이니 어쩌니 하며 먹으려 하던 아이들이 금세 질려버립니다. 국화꽃을 너무 많이 넣어서 쓴 맛이 강했던 거지요. 게다가 자기가 만든 것은 자기가 다 먹으면 좋겠다고 해서 그렇게 해 보자고 했는데 양이 너무 많았던 겁니다. 예전 같으면 함께 만든 것을 모두 모아서 먹을만큼만 구워 먹고 나머지는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다음에 부쳐 먹었을텐데 10개도 넘는 것을 먹으려니 힘들었던 것이지요. 겨우 다 먹은 아이, 아직도 먹는 아이들로 부산한 가운데 끝날 시간이 되었습니다.

"얘들아, 모여보자. 예전처럼 다 같이 먹지 않고 오늘처럼 자기가 만든 거 자기가 다 먹고, 먼저 만든 사람은 먼저 먹고 하니까 좋았니?"
"네" "아니요" 묵묵부답...

함께 만들어서 함께 먹었으면 먹을만큼만 맛있게 먹었을텐데, 혼자 만들어서 혼자 다 먹겠다고 하니 혼자서 욕심만 부린 꼴이 된 것입니다. 생활 속에서 배운대로 실천하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그것은 대안적인 교육을 하겠다고 하는 대안 학교나, 일반 학교나 다 마찬가지입니다. 다 비슷비슷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결국, 그 문제를 풀어가는 방법과 그런 문제에 천착해서 풀 수 있는 구조가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입니다.

왜 이 꽃전을 보고 뭉크의 '절규'가 생각났을까? 무엇이 우리를 절규하게 하는 걸까? 하루 하루 만나는 일상적인 관계에서 '예의'를 가르치는 것이, '삶의 길'을 가르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 절규 왜 이 꽃전을 보고 뭉크의 '절규'가 생각났을까? 무엇이 우리를 절규하게 하는 걸까? 하루 하루 만나는 일상적인 관계에서 '예의'를 가르치는 것이, '삶의 길'을 가르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 한희정

관련사진보기


오늘 아이들은 늦게 먹는 아이들을 기다리면서 샘을 도와서 뒷정리를 했습니다. 바닥을 쓸고, 설거지를 하고, 그러다보니 20분이 훌쩍 지났습니다. 오늘 우리 아이들이 먹은 국화전은 국화꽃이 많이 들어간만큼 쓰디쓴 맛이었을 것입니다.

덧붙이는 글 | 아름다운마을학교는 북한산 자락 인수동에 자리잡은 대안학교입니다. 2010학년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편입생을 모집합니다. 매주 수요일 절기 공부를 하며 우주와 생명에 대한 감수성을 일깨우고 있습니다. 이 절기 공부는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의 환경교육현장지원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태그:#아름다운마을학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