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마상무예를 잘하는 사학자인 최형국 씨의 책 <친절한 조선사>에서는 강자에게 가려져 알려지지 않았지만 생명력 넘치는 군상들의 이야기를 담으면서도 역사의 큰 맥을 놓치지 않으려고 한 저자의 고민을 읽을 수 있다.
 마상무예를 잘하는 사학자인 최형국 씨의 책 <친절한 조선사>에서는 강자에게 가려져 알려지지 않았지만 생명력 넘치는 군상들의 이야기를 담으면서도 역사의 큰 맥을 놓치지 않으려고 한 저자의 고민을 읽을 수 있다.
ⓒ 오승주

관련사진보기

‘역사’ 하면 떠오르는 그늘진 말들이 있다. 그것은 바로 ‘헤게모니’와 ‘주류’라는 수식어이다. 흔히 듣는 말로 ‘강자의 역사’라는 냉소는 시험에서 역사 과목이 좌천될 때까지 지속된다. 이 역시 역사의 과정일까. 근사한 역사의 모양은 이러한 헤게모니와 주류, 강자의 역사에서 반성의 역사, 현장의 역사로 이동하고 있는 듯하다.

<친절한 조선사>(미루나무)가 예뻐 보이는 것은 이러한 흐름을 진하게 확인시켜 주었기 때문이다. 패전국 독일이 곳곳에 흩어진 구비문학을 수집하고 여기서 독일인의 자신감을 회복했듯이, 수천 년 동안 왕의 부지런한 신하들이 세상 곳곳에 유행하는 노래나 말, 욕설까지도 채록해서 정사의 거울로 삼아 태평성대를 누렸듯이, 역사의 기록자나 모든 말의 관리자들은 언 땅에 맨살 엉덩이를 떼지 못해 고달프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 의자 하나를 더 당겨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저자인 최형국씨는 문무를 겸비한 독특한 학자다. 오마이뉴스 시민기자이며 <푸른깨비의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 시리즈를 18회에 걸쳐 연재했으며 그 내용이 이번 책에 실렸다. 중앙대 대학원에서 사학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한 그는 현재 무예24기보존회의 시범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독특한 경력이 어우러져 고답적이지 않고 발랄한 문체가 탄생했다.

이 책은 서술방식 못지 않게 도화와 사진의 배열과 이에 대한 설명글이 인상적이다. 일반적인 내용설명 위주의 형식을 탈피해 독자의 입장에서 가장 궁금해 할 만한 정보를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친절한 조선사>의 가장 큰 미덕은 군상들(작가의 말로는 작은 사람들)을 구출해낸 점일 것이다.

이는 사마천이 <사기열전>을 편찬하던 취지와 맥을 같이 한다. 사마천은 거시사와 미시사, 주류와 비주류의 역사를 총괄한 사관으로 유명한데, 거시사이자 주류의 역사는 <본기>와 <세가>이다. <본기>는 왕의 사적을 다루었고 <세가>는 제후와 중신들의 행적을 다루었다.

영웅호걸과 저잣거리의 범상찮은 군상들을 다룬 것이 바로 <사기열전>인데, <친절한 조선사>의 작가는 사마천을 무척이나 동경이라도 한 듯 <사기열전>의 인물들을 닮은 까메오로 등장시킨다.

왜관에 깊숙이 들어가 왜검을 익혀 국가안위에 기여한 김체건은 <자객열전>에 비할 수 있고, 연장질을 일삼던 조선판 조폭 ‘검계원’들은 알맹이만 쏙 빠진 <유협열전>이 생각나게 한다. 인정사정 없이 이들을 진압해 쏙들어가게 만든 장붕익은 <혹리열전>에 비교할 수 있겠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의 2부를 가장 사랑한다.

경어체가 거북스럽지 않고 필력이 자연스러우면서도 공백이 느껴지지 않을 만큼 감칠맛 나는 글감과 세심하면서도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친절하다. 얼핏 목차를 보면 신문기사가 연상되면서도 포털의 횡포와는 전혀 달리 ‘낚시글’이라고 할 만한 게 없다. 역사적 의미의 다발을 붙드는 모양이 사랑스럽다. 마치 탐사보도를 보는 듯하면서도 동시에 가벼운 마음으로 잡지를 읽는 듯한 기분이다.

사소한 문장이나 사진 소개에서도 농을 걸어오는 품이 가볍지 않고 제법 오래 공을 들였을 법하다. 특히 과거의 모습을 통해 현재 우리의 삶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었던 점이 무척 고맙다. 이 책을 거시사에서 미시사로 넘어오는 흐름의 부표로 삼아도 나는 하나도 부끄럽지 않다.


친절한 조선사 - 역사의 새로운 재미를 열어주는 조선의 재구성

최형국 지음, 미루나무(2007)


태그:#친절한 조선사, #최형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책 놀이 책>, <인문고전으로 하는 아빠의 아이 공부>, <공자, 사람답게 사는 인의 세상을 열다> 이제 세 권째네요. 네 번째는 사마천이 될 듯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