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새벽에 껍질을 위로 한다> 시집 표지
ⓒ 도서출판 해암
시와 삶이 둘이 아니고 하나(不而二元論)

핍진한 삶이 시가 되고, 곤곤한 시가 삶일 수 없다. 거울 속에 나타나는 실체와 허상처럼 시에 삶이 투영되지만, 그 실상은 사실 허상이다. 언어의 공감에서 독자가 시에서 향유하는 것은 불확실한 세계의 미증유와 같다. 현대시의 곤경은, 사실 시인의 삶과 밀착되지 않는 간극에서 온다.

“아직까지 들려지지 않은 것은 들려지게 되며, 아직까지 사유되지 않은 것은 알려지게 된다”라고, 둘이 아니고 하나 (不而二元論) 즉 유신론적(有神論的 一元論) 높은 지식은 곧 하나라고 우파니샤드는 말한다.

실천문학의 사조가 퇴색하는 현시대에서 시인의 시와 삶을 별개로 보고, 또 삶이 시고 시가 삶일 수 없는, 유클리드의 평행선처럼 꿈과 현실 또한 어느 순간 합일하는 희열을 꿈꾸지만, 여전히 이 시대 시인의 삶은, 시와 별개의 세계에 속한다.

따라서 시는 있어도, 진정한 시인은 없다고 통탄하는 시대. 진정한 실천문학이 그리운 시인의 몸을 통한 시화가 부족한 시대에, 김두기 시인의 핍진한 삶이, 바로 시편 속에 육화된 삶과 동일선상에 놓여 있다. 그것은 한 그루의 나무에 사는 두 마리 새가 종국에 하나가 되는 우파니샤드처럼 서늘하다.

쓰레기더미에 핀 詩의 우담발화

각 가정과 공장, 건물에서 쏟아져 나오는 쓰레기 수거의 현장에서 오물을 뒤집어쓰고, 몸에 배인 악취가 아무리 씻어도 씻겨나가지 않는 미화원이 시인의 직업이다.

시인이기 전에 미화원인 그는, 모두가 잠든 미명의 안개가 깔리는 새벽거리에 빗자루를 들고 나와 새벽을 연다. 널브러진 휴지와 담배꽁초, 취객의 토사물과 흩어진 광고전단지 등이 어지러운 지난밤의 흔적과 얼룩을 깨끗이 빗질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어둠은 두껍게 벽을 높여 간다/ 소란스럽게 손발 놀리던 삶의 조각들이/(중략)단단하기만 하던 벽에 흔적이 묻어난다./ 어둠을 이젠 벽에다 걸어 놓고/ 물걸레로 닦아야 하는 것임을 알겠다.(새벽2시)” , “산다는 건 말이야/ 무거운 거야/ 그래서 난 너무 많은 것들을/하나 둘 가볍게 하기 다이어트 하는 중이야.(갈대)” 등 총 80여 편의 시편을 묶은 <새벽의 껍질을 위로 한다>(도서출판 해암) 시집은 이처럼 독자에게 들려주는, 초산을 흘리는 메시지.

이는 삶의 밑바닥에 내려와서 체험을 근간으로 형상화된 실천문학의 성취로 평가된다. 시의 한없이 높은 정신은 곧 삶의 어두운 밑바닥에서 솟구치는 샘물과 상통하고, 그 괄목(刮目)은 의의롭다.

곤곤한 일상과 고결한 정신의 은유隱喩

ⓒ 김두기시인
일명 성자, 청소부 김두기 시인의 숨겨진 이력은, 그의 삶의 궤적과 동궤한다. 그는 20대 초반에 뜻한바 있어 부산 범어사와 전라도의 송광사에서 힘든 승려 생활을 자원했다. 하지만 시인의 고백을 빌리면 타고난 피가 너무 뜨거워, 삼년 남짓의 승려 생활을 아쉽게 파계했다.

지금은 두 아들과 아내를 둔 가장이다. 그가 환속해서 청소부 직업을 선택한 가장 큰 영향은 시인의 부친과 모친이다. 시인은 어릴 적부터, 각 가정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부친과 모친의 일을 도왔고, 청소 용역일은 그에게 다른 직업보다 익숙했다.

학창 시절 시인의 이유 없는 방황은, 대대로 이어온 가난이었다고 한다. 작금에 와서야 청소부란 직업이 몇 십대의 경쟁률을 뚫은 대학 졸업증을 가진 고학력자이지만, 그의 부친이 청소부 일을 하던 시절은, 사회에서 천직의 대우를 받았다. 그 천시의 눈총을 고스란히 감성이 예민한 유년시절부터 감당했던 시인. 1996년부터 남구청 소속 일용 근로자 미화원 생활을 시작한 것은 숙명이요, 업이라고 시로써 토로한다.

“나는 일용직 일꾼이다/ 내 허리에 매달리는 눈동자들/ 흥부자식보다 더 송송 매달렸다/(중략) 불볕 자유로운 팔월이다 저 뜨거움 속을 누비다보면/여물어가는 눈동자속에 사랑의 단맛 흘러든다.”

시편의 전반에 흐르는 정조와 서정은 대개 거리 청소를 하면서 보고 겪은 일상을 시로 형상화 하고 있다.

“길 구석에 개똥 위로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그 누구도 이런 날은/ 왜 저기 버렸는지/ 바람조차 이유를 알려고 하지 않고 그저 빗물만이 개똥을 씻어주며/흙의 기운으로 서서히 사라집니다//저 개똥의 차가운 눈총이 군데군데 홈이 패여 내 눈물자국 흥건하게//홀로 버려진 자의 길위에는 개똥의 흔적만/ 내안에 집을 지으며(개똥과 비에서)“

이 시편은 얼마 전 돌아가신 동화작가 권 정생 선생님의 <강아지 똥>과 동일한 소재라 예사롭지 않다. 아무짝에 쓸모없는 강아지 똥에서 놀라운 존재의 발견을 이미지화한 <강아지 똥>과 <개똥과 비에서>에 찾아지는 존재의 의미론은 두 사람이 모두 삶과 문학이 하나라는 데에서 일치함도 우연 같지 않다.

김두기 시인의 시와 삶의 융화는, 한 나뭇가지에 앉은 두 새가 서로를 바라보다가 어느 순간 하나가 되는, 우파니샤드처럼 시편을 읽는 마음이 충일에 넘친다.

태그:#김두기, #시인, #새벽, #껍질, #도서출판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음이 곧 인간이다고 한다. 지식은 곧 마음이라고 한다. 인간의 모두는 이러한 마음에 따라 그 지성이 나타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