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미국의 차기 태양관측 위성 SWFO-L1(Space Weather Follow On-L1) 위성 개요, 지구로부터 150만km 떨어진 지점(L1)에 위치해 태양풍 및 태양코로나물질방출 조기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미국의 차기 태양관측 위성 SWFO-L1(Space Weather Follow On-L1) 위성 개요, 지구로부터 150만km 떨어진 지점(L1)에 위치해 태양풍 및 태양코로나물질방출 조기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 국립전파연구원 제공

관련사진보기

 
태양폭풍을 감시하기 위한 한국과 미국의 공조체계가 마련됐다. 나아가 국내 제주에 미국 위성정보 공유를 위한 수신국이 구축·운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RRA, 원장 서성일)과 미국 상무부 소속 국립해양대기청(NOAA :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은 17일 "태양활동으로 인한 우주전파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한-미간 태양폭풍 감시 역량에 관한 전략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협정서(Agreement)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RRA에 따르면, 태양흑점이 폭발하면 방송·통신 장애, 위성 오작동, GPS(미국 위성항법시스템) 수신장애와 같은 첨단 서비스들에 피해를 주는 우주전파재난(지구 대기권 밖에 존재하는 전자파에너지의 변화로 발생하는 전파와 관련한 재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태양활동에 대한 면밀한 감시와 정확한 우주전파 예·경보가 필요하다고 한다. 

특히 태양활동이 가장 활발한 '태양활동 극대기'(2024~2026년)가 올해부터 시작됨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는 것. 

이에 입자 검출기와 X-ray(XFM), CME 영상관측기(CCOR), 자력계(MAG) 등을 탑재(예정)한 우주전파환경 전용 관측 위성으로 NOAA의 SWFO-L1(Space Weather Follow On-L1) 위성이 내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이 위성은 지구로부터 약 150만Km 떨어진 곳(L1 지점)에 위치하여, 태양에서 방출된 양성자, 전자 및 코로나물질방출(CME : Coronal Mass Ejection) 등의 현상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이러한 물질들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 미리 알려주는 조기 경보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코로나물질방출(CME)은 태양활동으로 발생한 뜨거운 플라즈마 물질 등이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는 현상이다. 방출 후 2~3일 내 지구에 도달하며, 지구 자기장을 교란시키는 주 원인이기도 하다. 

RRA는 "그동안 세계 최고의 태양감시 위성과 우주전파환경 예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미국 태양풍 감시위성(ACE, DSCOVR, STEREO) 공동 수신, 예측모델 공유, 전문인력 교류 등 기술분야 협력을 강화해왔다"면서 "이번 NOAA와 체결된 협정서는 올해부터 시작되는 태양활동 극대기를 대비하여 태양폭풍 감시역량을 확대할 목적으로 2009년 이후 다섯 번째로 체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립전파연구원이 구축·운영 중인 미국 태양관측위성 수신국.
 국립전파연구원이 구축·운영 중인 미국 태양관측위성 수신국.
ⓒ 국립전파연구원 제공

관련사진보기

 
RRA는 이번 협정 체결을 통해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SWFO-L1 위성이 수집한 자료를 직접 처리하고, 상호 공유하기 위해 국내 제주에 위성 수신국을 구축·운용할 예정이다. 

서성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이번 체결된 한-미간 협정서는 우리나라의 우주전파환경 예보‧경보 기술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태양활동 관측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태양활동 극대기가 올해부터 시작되므로 이로 인한 전파이용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태그:#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 #태양폭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