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더불어민주당 이탄희 의원과 동료 의원들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홍익표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탄희 의원과 동료 의원들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홍익표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반반"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지키자는 의견과 병립형 비례제로 되돌아가자는 주장은 '50:50'으로 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내년도 총선에 적용할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놓고 난상토론을 벌였던 30일 의원총회 이야기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오후께 시작해 저녁까지 이어진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 의원님들께서 연동형 제도와 병립형 제도에 대해 많이 의견을 개진했다"며 "특히 병립형의 경우에는 권역별 비례제(를 기반으로 한) 병립형(을 주장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서는 병립형으로 가는 것도 괜찮지 않겠냐는 주장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홍 원내대표는 "다만 '연동형'을 하더라도 제일 중요한 건 위성정당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라며 "오늘 의원들이 여야 간, 또 원내지도부를 포함해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차원에서 위성정당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에 합의할 수 있도록 협의해달라는 주문을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 

"병립형 회귀할 경우 국민적 사과 등 정치적 책임지겠다"

이에 더해 홍 원내대표는 "오는 12월 11일이 예비후보 등록일이기 때문에 소선거구제 하에서 예비후보 등록 관련 선거구 획정 시일이 촉박하다"며 "우리 당은 비례대표 (의석 수)를 늘리고 지역구 (의석 수)를 줄이는 게 기본 원칙이지만 현실적으로 여야 합의가 어려운 상태라 현행 제도인 '253석 통보'를 일단 양해한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국회가 선관위 지역구 획정 의견을 1회는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획정위원회에서 온 안을 보고 필요하면 거부하거나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홍 원내대표는 "병립형 비례제로 돌아갔을 때 이재명 대표의 대선 당시 공약이 파기되는 셈인데 이에 대한 부담이 없냐"는 질문을 받고 "모든 제도에 대해서 일장일단이 있다. 제도라는 건 늘 빛과 그림자가 있기 때문에 민주당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방향에 대해 큰 틀에서 의원들 간 별다른 차이가 없는데 나아갈 경로에 대해 이견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 경로를 우리가 선택하고 좁혀나가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책임져야 할 정치적 책임이 있다면 져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여기서 홍 원내대표는 '책임'의 사례로 "약속 파기에 대한 국민적 사과"나 "합당한 이유 제시" 등을 들었다.

한편 이날 의총장에서는 총 28명의 의원들이 발언대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의총 진행 도중 밖으로 나온 의원 중 일부는 선거제 개편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약속했다면 지켜야" VS "'권역별'이라면 병립형 나쁘지 않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소속 의원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홍익표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소속 의원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홍익표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먼저 우원식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위성정당을 만든 건 국민의힘이 만들었기 때문에 그런 꼼수를 쓰지 말라고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의 대세는 민주당이 돼야 하지만, 제1야당과 함께 비례 연합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비명계(비이재명계)'로 알려진 홍영표 의원은 "나는 우리가 약속(연동형 비례제)한 것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우리 정치가 이렇게 가면 되겠느냐, 대개혁이 필요한데 그건 선거법을 통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종민 의원 역시 "선거제도가 유리하냐 불리하냐로 선거가 결정되지 않는다. 민심이 선거의 승패를 결정한다"며 "민심을 얻는 길은 병립형으로 돌아가, 후퇴하는 게 아니라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어느 제도가 좋다 나쁘다를 말하는 게 아니라 약속을 했는데 안 지키면 정당이 앞으로 국민들에 무슨 얘기를 한들 국민들이 믿을 수 있겠냐는 취지"라고 부연했다.

반면 박용진 의원은 "의총하는 데 대구경북 원외 지역위원장들이 왔다.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석패율 제도'의 동시 등록제를 요구했는데 사실 이건 나의 지난 당 대표 선거 공약이기도 했다"며 "그런 의견들도 잘 모아 중앙위원회에서 논의 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병립형 비례제'로의 회귀를 시사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 대표는 이날 의총 과정에서 별다른 의견을 내지 않고 다른 의원들의 입장을 경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그:#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홍익표, #선거제도개편
댓글1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