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소 럼피스킨병 차단 방역.
 소 럼피스킨병 차단 방역.
ⓒ 하동군청

관련사진보기

 
전국이 소 럼피스킨병(LSD) 차단을 위해 비상이다. 가축시장이 폐쇄되고 소를 키우는 축사를 대상으로 방제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경남도 등 방역당국에 따르면, 27일 오전 현재까지 광역권으로는 경남, 경북, 전남을 제외한 지역에서 바이러스성 감염병인 럼피스킨병이 발생했다. 우리나라에서 소 럼피스킨병이 발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럼피스킨병은 지난 20일 서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1주일 만에 총 38건으로 늘었고, 전북에서도 발병해 전국으로 전파되는 양상이다.

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현재 전북 부안과 인천 강화, 경기 화성·김포·평택, 충남 당진·서산 등 한우·젖소농장 9곳에서 럼피스킨병이 확진됐다.

럼피스킨병은 주로 모기·파리 등 흡혈곤충을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된 소는 41℃ 이상의 고열 후 피부·점막의 결절(단단한 혹)이 형성되고, 소의 유산이나 불임, 우유 생산량 감소, 식욕 부진, 쇠약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7일 경남도 동물방역과 관계자는 "경남·북과 전남에는 아직 의심축사 신고가 없다"라며 "차단하기 위해 방제작업을 비롯해 다양한 대책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소 럼피스킨병이 의심되면 즉시 관계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경남도 관계자는 "발견자는 즉시 신고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축전염병예방법의 규정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전국 가축시장이 폐쇄되었다. 경남도는 "가축시장 폐쇄로 한육우 거래와 이동이 제한되고 있다"라며 "다만 젖소의 경우 가축시장을 거치지 않고 농장 간 문전 거래되는 등 전파 취약점으로 지목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소 반입 금지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소 반입 금지 지역은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강원도, 인천광역시 5개 시·도가 해당된다.

시·군청마다 방제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동군은 "럼피스킨병 바이러스의 유입 차단을 위해 방역대책상황실을 긴급 설치해 상시 비상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수의사를 통한 임상예찰과 민간 가축방역 전담관을 활용한 전화예찰을 실시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하동군 관계자는 "농가 자율적 소독과 접종이 가축질병 차단방역의 핵심"이라며 "소 사육 농가에서는 럼피스킨병 예방을 위해 소독 및 해충 방제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백신 접종을 벌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백신은 충분한 임상시험을 거쳐 이미 유럽연합에서 사용해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보되어 안심하고 소의 고기와 우유를 먹어도 된다"라고 전했다.
 
소 럼피스킨병 관련 안내문.
 소 럼피스킨병 관련 안내문.
ⓒ 농림축산식품부

관련사진보기


태그:#소럼피스킨병, #농림축산식품부, #경상남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