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6일, 이정미 정의당 의원(비례)이 인천도시철도 2호선 탈선사고 현장을 촬영한 폐쇄회로(CC)TV 동영상을 공개하면서 사고 전말이 드러난 이후,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가 감사·징계·고발 등의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시와 공사는 인천 2호선 탈선사고를 은폐하고 훈련으로 조작한 공사 임원 2명을 해임 한 뒤, 조작에 직접 개입한 임원과 직원 3명을 경찰에 고발했다. 또 허위문서를 작성한 팀장 등 6명도 조만간 징계키로 했다.

탈선사고 폐쇄회로(CC)TV 동영상을 통해 사건을 은폐하고 조작한 곳이 공사 경영진으로 밝혀지자, 정의당 인천시당(김성진 위원장)은 18일 성명서를 내고 "시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공사가 오히려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불안을 가중시켰다"며 시와 공사에 '인천지하철 안전위원회' 설치를 촉구했다.

시당은 우선 "사고 은폐와 조작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공사 내부에 견제와 감시 기능이 전혀 작동하지 않고, 스스로 자정능력을 완전 상실했기 때문이다. 재발방지와 안전대책 수립을 위해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근본적으로는 공사 내부에 견제와 감시 기능을 복원하는 혁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공사가 이미 자정 능력을 상실해 시민들의 불신이 팽배한 만큼,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인천지하철 안전위원회'를 구성해 투명하게 운영해야 한다. 그래야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의당 인천시당은 또 "지난 12일에 또 다시 열차가 멈추는 사고가 발생하며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공사는 '타임아웃(=열차와 관제소 간 통신두절)'을 원인으로 보고 있지만 정작 '타임아웃'의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17일 공사에 따르면 개통 후 현재까지 타임아웃 건수는 모두 97건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시당은 "인천2호선은 무인운행 하는 열차라 타임아웃은 심각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며 "개통 후 지속된 사고로 외부 전문가 합동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이미 드러난 만큼, 특별안전기구를 구성해 인천2호선에 대한 총체적인 안전 진단과 점검을 투명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현 인천시당 사무처장은 "약 40개 단체로 구성한 인천시민대책위는 지난 3년 동안 인천2호선 안전 개통을 위해 활동했다. 인천시민대책위가 안전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며 "공사 이사회의 인적구성을 쇄신해 내부에 견제와 감시기능을 복원하고, 자정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천시의 징계와 고발과는 별개로 '안전한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을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는 탈선사고를 은폐하고 조작한 공사 내부 지휘과정과 보고과정이 여전히 드러나지 않았고, 책임 소재도 불분명하다며, 시와 공사에 민관공동조사단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인천교통공사, #인천2호선, #인천2호선 탈선사고, #정의당, #이정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