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8일 민주당 광주광역시당을 항의 방문하고 '민주당 광주 경선 즉각 중단' 등을 요구했다.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8일 민주당 광주광역시당을 항의 방문하고 '민주당 광주 경선 즉각 중단' 등을 요구했다.
ⓒ 이주빈

관련사진보기


경선 과열로 전직 동장 출신 자원봉사자가 투신자살한 이후 4·11총선 광주지역 민주통합당 후보 선출을 위한 일정이 얼어붙었다. 하지만 시민사회는 민주당의 결단을 촉구하며 들끓고 있고, 민주당 지도부는 '광주 전략공천' 카드를 만지작거리며 국면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28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진보연대,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 민교협 광주전남지회 등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민주당 광주광역시당을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민주당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발생한 전 동구청 공무원의 투신 사망사건의 본질은 "민주당 공천만 받으면 당선이라는 정치풍토와 관권과 금품경선이 낳은 비극"이라며 "민주당은 경선관리 무능력에 대한 책임을 지라"고 성토했다.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번 사태가 민주당의 개혁공천과 정치발전을 위한 뼈아픈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 ▲ 경선방식 전면중단 ▲ 박주선 의원에 대한 예비후보자격 박탈과 유태명 동구청장에 대한 출당 조치 ▲ 사법당국의 철저한 수사 등을 요구했다.

광주 시민사회는 "이번 사태는 정치인들이 민심과 함께하는 정치를 펼치기보다 선거 때 잘해서 공천만 받겠다는 저급한 정치문화가 낳은 사태"라고 규정했다. 따라서 이번 사태를 민주당 일당독점주의와 저급한 지역 정치문화를 개혁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와 관련 광주 시민사회는 29일 오후 '4·11총선 관련 광주 시민사회 비상시국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 시민단체 간부는 "그동안 광주 시민사회는 민주당과 견제와 협력이라는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지금의 국면은 시민사회가 보다 민주당 개혁을 위해 강하게 압박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를 쉽게 넘기진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민주당 일당독점구도가 낳은 필연적 비극이라는 비판 높아져

광주에서 시민사회가 들끓고 있는 동안 민주당 지도부는 '광주 전략공천' 카드를 적극 모색하며 국면전환을 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한명숙 대표는 "국민께 심려를 끼쳐서 송구하다"고 공식사과하고 "불법 선거가 적발되면 경선 중단 및 후보자격 박탈 등 강력한 제재를 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사건 발생 직후 광주 동구의 공천심사 등을 중단하고 27일 광주에 진상조사단을 급파했다. 진상조사단은 27일 기초 사실관계를 파악한 후 28일엔 민주당 광주 동구 예비후보자들을 연쇄 면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이번 주에 시작할 예정이었던 광주지역 후보자들에 대한 공천심사 일정도 동구 진상조사 이후로 미뤄졌다. 민주당은 선거일정 등을 고려해 진상조사 결과를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당 안팎에선 진상조사단의 조사보고와 지도부의 결정이 늦어도 29일엔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돌고 있다. 따라서 광주 동구 외 다른 지역구 후보자들에 대한 면접심사 등 공천심사도 29일부터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민주당 지도부 일각에서는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보다는 정치적 책임을 묻는 것으로 사태 해결의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28일 신경민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기본적으로 호남에서 전략공천을 해야 되는지에 대해 회의론이 있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광주 동구 전략공천 얘기는 안 나왔지만 사고 비슷한 게 났다"고 말했다. 1차 공천결과 발표 이후 쏟아지는 세간의 따가운 비판을 광주 동구 등에 전략공천을 실시하면서 국면전환을 꾀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선거인단을 모집하던 전직 공무원이 투신자살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은 광주. 민주당 일당독점구도가 낳은 필연적 비극이라는 비판이 높아가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지도부가 어떤 수습책을 내놓을지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태그:#민주당, #박주선, #공심위, #투신 자살, #공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