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제갤러리본관 1층 입구. 작품을 설명하는 우순옥 작가
 국제갤러리본관 1층 입구. 작품을 설명하는 우순옥 작가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화여대와 당시 백남준이 교수로 있었던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공부한 중견작가 우순옥(1958~)의 '잠시 동안의 드로잉'전이 국제갤러리본관에서 12월 6일까지 열린다. 시적 은유와 철학적 사유가 넘치는 설치, 영상, 조각, 오브제 작품 등을 선보인다.

우순옥 작가는 구체적 대상보다는 덧없이 사라지는 것, 보이지 않는 것, 존재할 수 없는 것에 관심을 둔다. 언어 이전에 우리 속에 내재한 개념의 원류를 찾아간다. 또한 그는 회화보다는 설치, 형상보다는 개념, 색보다 빛을 중시한다. 그런 면에서 그의 작품 전체를 넓게 해석하면 '빛 드로잉'으로 봐도 좋으리라.

손에 잡히지 않는 달빛이 주는 상상력

우순옥 I '그 곳(The moon)' 비디오 프로젝션 2006-2011
 우순옥 I '그 곳(The moon)' 비디오 프로젝션 2006-2011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전시장 1층 전시장에 들어서면 왼쪽에 NASA에서 찍은 달이 느리게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 곳'이라는 작품이 있다. 분위기가 잔잔하고 고요하다. 작가에게 본다는 것을 그 범위를 넘어 심연을 본다는 것을 뜻한다. 그런 때 묻지 않은 감각으로 본 달빛이라 그런지 더욱 신비한 아우라가 느껴진다.

달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의 원천이지만 우순옥 작가에게는 무엇보다 만질 수 없고 소유할 수 없기에 더 아련한 동경의 대상이 되었나 보다. 달이 차면 지듯 인생의 덧없음도 곱씹으면서 "당신은 사라진다. 아름답게 희미해진다"라고 시를 읊는 것 같다.

영원히 머무를 수 없는 나그네 길에서 인생이란 잠시 왔다 떠나는 여행이기에 그런 맥락에서 이번 전시제목인 '잠시 동안의 드로잉'도 나온 것 같다. 우리는 삶의 여정에서 유토피아를 갈구하나 그 환영은 신기루 같이 금세 사라진다. 그러기에 작가로써 그는 이런 한계를 뛰어넘을 항구적 시간과 초월적 공간을 획득하고 싶은지 모른다.

죽은 나무를 살려낸 '빛 설치조각'
 
우순옥 I '커플 트리(Couple tree)' 철과 형광등(7개) 170×71×71cm 2011
 우순옥 I '커플 트리(Couple tree)' 철과 형광등(7개) 170×71×71cm 2011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런 고민에 빠진 그에게 길에서 우연히 본 '죽어가는 나무'는 창작의 동기가 된다. 생명에 대한 감수성이 누구보다 예민한 여성작가로써 더욱 그랬을 것이다. 무기물인 철에 형광 빛을 불어넣어 생명의 나무로 바꾼다. '커플 트리'라고 멋진 제목을 붙였다. 작가는 이 나무를 보고 너무 사랑스럽지 않느냐고 반문한다.

이런 눈길은 바로 품고 보듬고 어루만져 뭔가를 회생시키는 여성의 '살림' 본능에서 온 것이리라. '살림'은 '살린다'의 명사형이고 죽임의 반대말이다. 이런 정신이 바로 예술가의 몫이 아닌가 싶다. 예컨대 대가족제에서 며느리가 공부로 지친 자녀와 직장일로 힘든 남편과 노환 든 시부모를 밥을 먹여 살려내듯 우 작가는 이런 작품으로 그런 회생을 구현했다.

영화가 준 예술혼을 설치작품에 이입

우순옥 I '12편의 신기루' 연작' 영상설치 2011
 우순옥 I '12편의 신기루' 연작' 영상설치 2011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우순옥 I '장 콕토의 시인의 피(1930)' 2분 58초. 사람이 거울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우순옥 I '장 콕토의 시인의 피(1930)' 2분 58초. 사람이 거울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그리고 갤러리 1층 본 전시실로 들어서면 '신기루' 연작이 보인다. 작가가 대학시절 프랑스문화원에서 본 영화나 독일유학시절 대학 영상자료실에서 본 영화 중 감명을 받은 작품을 소재로 만든 설치작품이다. 1년이 12달이라 그런지 200편 중 12편만을 엄선했다.

미니모니터에는 영화장면 중에서도 하이라이트를 5분에서 10분 정도 반복해 보여준다. 그 TV 주변에는 작은 정원처럼 들꽃들이 둘러쳐져 있다. 관객이 주변을 서성거리며 영화도 찬찬히 보면서 삶을 좀 색다르게 사유해 보도록 유도한다.

희미한 옛 영화의 감회를 회상하며 그때 받은 환영을 불러낸다. 영화가 주려고 했던 메시지도 새삼스럽게 깨우치고 그 의미도 터득하게 한다. 그런 면에서 이 12편의 '신기루 연작'은 무당이 죽은 자를 불러내 산 자와 만나 화해시키는 것 같은 초혼제라 할 수 있다.

경쟁과 속도숭배 속, 숨과 쉼 찾기

우순옥 I '예술은 이미 우리 마음속에 있다' 비디오 2011
 우순옥 I '예술은 이미 우리 마음속에 있다' 비디오 2011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2층으로 올라가면 오브제와 비디오 작품 등이 듬성듬성 전시돼 있다. 정면에 보면 '예술은 이미 당신의 마음속에 있다'라는 제목이 붙은 영상물이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그 내용이 사유를 주제로 한 퍼포먼스라 독특하다. 우리가 일상에서 반추와 자기성찰을 통해 숨과 쉼을 얻으면 우리 마음속에 예술이 저절로 들어온다는 뜻인가 보다.

이 영상에서 작가가 직접 낭송하는 6세기 시(詩)도 들을 수 있다. 이는 아르헨티나의 환상적 리얼리즘작가인 보르헤스가 쓴 불교해설서에서 인용한 것이다. 인간이 자아를 버리고 무념무상의 빠질 때 맛보는 환희를 노래한 것이다. 우 작가는 불교신자는 아니지만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돌, 강, 물이었지 모른다고 윤회적 관점도 피력한다.

층층이 쌓인 스웨터에서 온기 느껴져
 
우순옥 I '잠시 동안의 드로잉_그 안(Drawing for a while inside of)' 유리박스 40×60×50cm 2011
 우순옥 I '잠시 동안의 드로잉_그 안(Drawing for a while inside of)' 유리박스 40×60×50cm 2011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이번에 2층 한 가운데 위치한 '잠시 동안의 드로잉_그 안에는'이라는 작품을 살펴보자. 따뜻한 스웨터가 유리박스 안에 차곡차곡 쌓여있다. 그리고 '포즈(Pause)'라는 큰 단어가 적혀있다. 그저 보기만 해도 마음이 훈훈해지고 솜이불 같은 온기가 느껴진다.

경쟁과 속도가 숭배되는 사회에서 치이고 밀리고 쫓기는 듯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런 작품은 큰 힘과 위로와 용기를 준다. 한편 아주 하찮은 것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사물을 찬찬이 들여다보는 재미와 느긋하게 기다리는 여유로움도 되찾게 해준다.

요셉 보이스의 오브제 연상시키는 작품

우순옥 I '데자뷰 연작('황금물이 흐르는 손', '테이블') 설치드로잉 50×40cm 2011
 우순옥 I '데자뷰 연작('황금물이 흐르는 손', '테이블') 설치드로잉 50×40cm 2011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다시 2층 전시장 왼쪽을 보면 뭔가 뭔지 알 수 없는 타원형의 연작이 벽에 걸려 있다. 이는 서구문명을 전복시키고 원시적인 것에서 생명을 구하려 한 독일작가 요셉 보이스(1921-1986)의 주술성 높은 오브제작품을 연상시킨다. 

보이스는 잘 알다시피 1차, 2차 대전과 나치즘으로 상처받은 독일인의 트라우마를 치유하며 씻김굿을 벌린 박수무당이었다. 그는 또한 '모든 이가 예술가'라고 주장한 문화민주주의자로 대중의 예술참여를 유도하는 '사회적 조각'이라는 개념을 내놓기도 했다.

여기 붙은 데자뷰 연작에는 '황금물이 흐르는 손', '거대한 기둥' 같은 다소 애매한 제목이 붙어있다. 작가노트에서 그는 "어디에도 없는 곳에 대한 꿈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했는데 이런 시각언어를 통해서 잃어버린 낙원에 대한 환상과 그리움을 형상화했는지 모른다.

작가가 영상설치에 더 관심 둔 이유

일문 일답하는 우순옥 작가
 일문 일답하는 우순옥 작가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끝으로 70년대 대학시절을 보낸 우순옥 작가가 어떻게 회화보다 영상과 설치에 더 관심을 두게 되었는지 궁금해 물었더니 먼저 대학시절과 독일유학동기부터 말을 꺼낸다.

"저도 물론 이화여대 다닐 땐 교과과정도 그랬지만 페인팅과 드로잉을 많이 했죠. 개인적으로 시도 좀 썼고요. 그러다가 1986년 독일음악과 보이스를 좋아해 독일유학을 가게 됐는데 보이스는 이미 작고했어요. 마침 제 마음에 드는 우커 교수를 만나 지도교수가 됐죠."

이어 1980년대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의 분위기를 전하면서 그 이유를 밝힌다.

"당시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는 전위예술의 전진기지로 전쟁터 같았어요. 굉장히 아방가르드하고 그 유명한 '플럭서스(60년대 전위미술운동)'의 주 무대였죠. 백남준은 명성 높았고 우리 그걸 본 산증인이죠. 저는 거기서 어떤 생각을 한 가지 매체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자신의 개념을 영상으로 하면 설치가 되고, 글로 쓰면 시가 되고, 오브제하면 개념미술이 되잖아요. 귀국해서도 그런 작업을 쭉 해왔죠."

한국의 대표적 중견작가 우순옥과 그의 스승 우커 교수
우순옥 작가(1958~)는 이화여대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하고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귄터 우커(Günther Uecker 1930~) 교수의 지도로 학교를 졸업한다. 인공화랑(1991), 국제갤러리(1993, 2006), 대림미술관(2002), '마인드 프로젝트-꽃씨'(서울 카페마운틴 2006), 아틀리에 705(2009)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젊은 예술인을 위한 예술상전'(독일 쾨갤러리 1991), '도시와 영상(서울시립미술관 1999)', '내 마음에로의 여행'(삼성미술관 2003), '차가움과 따뜻함'(성곡미술관 2005), '추상하라!'(덕수궁미술관 2011) 등 국내외 단체전 및 프로젝트 참여했다. 현재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서양화 교수로 후배를 양성하고 있다.

여기에 우 작가의 독일스승인 귄터 우커 교수의 작품을 우 작가의 글과 함께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 작품은 2008년 학고재갤러리에서 전시된 작품으로 회반죽, 못 등이 사용되었다.

귄터 우커 '구조화된 필드' 1992. 회반죽 못 1992
 귄터 우커 '구조화된 필드' 1992. 회반죽 못 1992
ⓒ 김형순

관련사진보기

"백색의 그의 장소_작업 중인 우커의 못을 박고 있는 소리를 무심히 듣고 있노라면 그 일률적으로 반복되는 소리가 마치 생명을 이어주는 맥박소리 같기도 하고 어느 수도승의 목탁소리처럼 느껴지기도 하여 무념 무상한 마음이 집에 있는 듯 저절로 편안해지곤 했었다.

명상적이면서 래디컬한 작업을 하는 우커는 그의 작품과 삶이, 그리고 그의 공간이 어쩌면 그렇게도 따뜻한 인간미가 넘치는 그 자신과 닮아있는지 언제나 내 마음을 뭉클하게 했다. 그것은 바로 한 작가의 삶과 세계가 한 공간에 응축된 그런 강렬한 느낌이었다. 어쩌면 그는 그의 영원한 화두인 삶과 죽음의 거대한 피라미드를 미리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나는 그 부드러운 흰빛 정서의 따뜻하면서도 우아한, 그리고 치열한 예술적 에너지가 느껴지는 그의 백색의 장소(백지와 같이 텅 빈)에서 조교로 지내던 5년 동안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을 수 있었다. 나는 지금도 가끔 독일로 건너가선 그의 아틀리에를 들르곤 하는데 그때 그 마음은 아직까지도 한결같다." - 우순옥 

덧붙이는 글 | 종로구 삼청로 54번지 국제갤러리 본관 1-2층 www.kukjegallery.com 02)735-8449



태그:#우순옥, #영상설치미술, #요셉 보이스, #귄터 우커,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 중 현대미술을 대중과 다양하게 접촉시키려는 매치메이커. 현대미술과 관련된 전시나 뉴스 취재. 최근에는 백남준 작품세계를 주로 다룬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