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반 아이들과 나눈 상담 일지를 공개합니다. 한번 읽어보시고 요즈음 우리 고3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함깨 고민해 볼까요? 아이들의 이름은 가명으로 바꾸었습니다.

 

교대의 경우 내신이 50% 들어가기 때문에 정시로 갈려면 다른 아이들보다 10점을 더 맞아야 안정권이다. 충북대 수시는 내신 80점과 면점 20점을 합산하여 선발한다. 76.480인 충대 내신을 1점이라도 올리려면 2학년때 부진한 사회 과목을 3학년 사회과목의 윤리 한지 근현중에서 대치하고 영어를 올려야 한다.  (다혜) 충대 가군은 내신 50 수능 50이고 나군은 수능 100%로 선발한다. 충대 내신에 들어가는 과목의 등급을 올려라(은진) 충북대 수준이면 서울 사립에 갈 수 있는 대학은 서연고서성한이외시경중을 빼고 그 다음 순서의 대학일 것이다. 물론 과마다 다르다. 그리고 건강과 리듬을 지키기 위해 잠을 잘 때 푹자라(수연)

 

국어 문학 영어 정치를 3학년 1학기 내신의 어떤 과목으로 대치할 것인가? 생각해보아라. 영어듣기는 매일반복적으로 해라. 자신의 공부를 방해하는 요인은 자신안에 있는 법이다(현지) 서울 사립의 수시는 논술이 핵심이다. 논술로 역전시킬 수도 있다. 내신2등급은 내신으로 역전가능하다. 국문학을 전공한다면 충북대 국문학과를 수시로 도전해보는 것도 괜찮다(민선) 모의고사에 자신있다면 굳이 내신관리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 수능점수가 모든것을 말해준다. 정시로 가는 것이 가장 속편한 길이다(혜진)

 

건강관리가 점수향상의 비결이다. 자신의 성적을 잘 유지하는 나름대로의 노하우를 개발해라. 잘하고 있다. 항상 긴장을 늦추지 말아라(혜윤) 집중력을 가지는 것은 습관 들이기 나름이다. 긍정의 마인드를 가져라. 국영수는 가면 갈수록 시험이 어렵게 출제된다. 모의고사 등을 풀때 어려운 문제를 선택해서 풀어라(미옥) 충북대 수시는 1단계에서 4배수를 뽑는다. 만약 수능이 잘 나오면 수능이후에 보는 면접에 불응하고 정시로 가면된다. 사탐 최종 선택은 6월 모의수능을 본 다음에 해도 늦지 않다. 공부계획서를 잘 활용해라(한빛)

 

충북대 내신을 74점 이상으로 올린다면 충대 수시2를 쓸 수 있는 보너스가 주어지는 것이다. 9.25일경 원서를 접수하고, 10.25일경 1차 합격자를 발표하고, 11월 15일 수능을 본 다음, 11월 23일경 면접을 본다. 내신 2등급이면 255명중 11%이니 27등안에 들어야 한다(수지) 홍대 미대 수시2-1은 학생부로 6배수를 뽑아서 실기로 당락을 가린다. 지금 너 내신이 홍대기준으로 980점이므로 6배수에 간당간당하니 내신을 최대한 끌어올려라. 홍대 정시는 수능+실기이다. 정시에서 홍대는 나군이고 건국대는 다군이다. 국어 영어 모의고사 점수 좋다(은서) 문예창작과를 어떻게 갈 것인가? 추계예대나 서울산업대냐.. 정시로 간다면 가군에 충대를 쓰고 나군에 추계예대를 쓰면되니 수능점수를 팍팍 올려라(성주)

 

언어 비문학은 항상 실전처럼 푸는 연습을 해라. 초시계를 놓고 독해력을 길러라.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떨쳐버리고 자신감을 가져라. 공주대 문헌정보학과는 수능 2.8등급이 커트라인이다(푸름) 피아노는 성신이나 동덕보다는 이화여대를 노려라. 바쁜생활속에서 체력을 길러야 버텨낼 수 있다. 자신의 높은 꿈을 항상 생각해라(현진) 경찰행정학과는 동국대가 최상이다. 기타 지방 사립대는 낮은 편이고, 어차피 대학에 진학하여 자신이 노력하여 경찰시험에 합격해야 할 것이다. 우리 주위에는 대전대 경찰행정학부가 좋을 것 같다. SBS에서 나와서 우리 상담하는 것을 촬영하니 화기애애하게 상담할까?(솔미)

 

한문에 취미가 있다면 한문학과를 노려라. 성균관대 동양학부 전형에서는 국어 도덕 한문에서 한과목이라도 2등급이 있으면 지원가능하다. 그러나 합격하기 위해서는 대회수상경력이 절대적이다. 청대 한문교육과를 갈려면 아마과목이나 6과목을 잘해놔야 한다. 6과목 모두 2등급 이상은 되어야 지원가능할 것이다(은미) 공주대는 정시에서 국어35% 영어35% 사탐두과목30%를 반영한다. 매일 하는 영어듣기에서 15개 이상 맞춘다면 영어에서 2등급 실력은 되는 것이다. 국립대인 한밭대의 문과쪽 과를 가려면 백분위가 73이상은 되어야 한다. 충대 내신은 1학년때 성적이 20% 반영되고 2-3학년때 성적이 80%반영된다(수정) 사회복지학과 중 좋은 곳이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이다. 꽃대 장학금이 있어 4년동안 장학생으로 다닐 수 있다. 청대 수시 2-1 수시 2-2의 지역학생 전형은 청주시내 인문계 학생들만 지원할 수 있다. 등록금은 국립대가 200만원정도라면 전문대는 300 사립대는 400이상이다(은미)

 

정확한 일년계획하에 한달계획이 나오고 일주일 계획이 나오고 하루계획이 나온다. 계획을 세워서 공부해야 한다. 수시2학기는 무조건 3학년 1학기 성적까지만 들어간다. 한국관광대는 국영수중 택1과 사탐1과목이 반영된다(민주) 인생을 살면서 딱 한번뿐인 것들에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 생활태도를 180도 바꾸면 자신의 꿈이 현실이 된다. 국영수 점수를 일단 200점을 넘겨라. 하루 공부하고 하루 쉬고 하면 밑빠진 독에 물붓기이다(아영) 모든 일에 자신감을 가져라. 자신감이 10%를 향상시킨다. 영어점수가 제일 중요하다. 어느대학엘 지원해도 항상 반영되는 것이 영어이다. 자율학습 실적을 항상 80% 이상으로 해라(혜정)

 

수시2학기에 지원한다면 자신이 전략적으로 집중해야 할 과목을 찾아서 해라. 공주대는 정시에서 백분위로 국어 85이상 영어 75이상 사탐 40이상되어야 가능하다. 청대 관광과는 원점수로 500점 만점에340은 되어야 한다(서희) 수능 210일 전이다. 오로지 수능만 올리겠다면 내신을 버리고 수능과목에 올인해야 한다. 무조건 자신을 묻어라. 자신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게으름, 잠등을 모두 날려버려라(소영) 언론정보학부는 각 대학마다 모두 커트라인이 높다. 영어공부 특히 듣기는 수능이후에도 계속 필요한 것이니 기를 쓰고 들어라. 사탐과목은 모의수능과 수능 문제 3년치를 구해서 달달 외울정도로 풀어보아야 한다. 언어 비문학을 못하는 것은 조급함때문이다. 조급하면 독해가 될리 만무하다. 수학은 복습이 중요하다. 스스로 풀 수 있어야 한다(슬기)

 

수능공부중 가장 비중있게 해야 할 과목이 영어이다. 고3때 공부하는 것은 먼 인생길의 터전을 닦는 것이다. 사탐과목은 전략적으로 2과목에 집중해야 한다(초롱) 사진학과는 중앙대가 최고이다. 정시에서 학생부 30 수능40 실기30으로 뽑는다. 실기는 수능이후에 해도 된다. 수능까지는 무조건 수능 국어 영어에만 올인해라(수진) 세종대 호텔관광학과는 세종대에서 최고 인기학과이다. 수시에서는 전교1등짜리들이 몰린다. 정시로 갈려면 원점수로 언어90점 영어80점 사탐 42점 이상은 되어야 한다. 목표를 크게 잡으면 공주대 관광이나 청주대 관광이나 정시에서 자동으로 해결된다. 수능에 올인해라(지은)

 

산업디자인은 주위에 국립대로는 충주대가 있다. 수시는 내신 좋은 실업계 아이들때문에 어려우니 정시로 도전해라. 충주대는 언어40% 영어40% 탐구1과목20%을 반영한다. 작년 합격자 평균이 백분위로 67.34였다. 대전에 있는 한밭대 산업디자인이 더 좋을 것이다(단비) 중간고사후 나의 점수를 분석하여 내신을 계속할 것인지 수능으로 갈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청주대 경영학과는 무작위 6과목이 222233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준아) 유아교육과는 우리 주위에 공주대와 충주대가 있다. 공주대는 백분위로 83정도는 되어야 하고, 충주대는 73정도 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교에 가서 잘 배워서 우리 아이들의 깨끗한 영혼을 잘 가르치는 훌륭한 유치원 선생님이 되는 것은 하느님에 너에게 주신 소명이다(진실)

 

자신의 목표를 높게 잡아야 한다. 그러면 차순위의 목표는 자동으로 해결된다. 충대 경영학과는 언어 90점 수학 50점 영어 80점 사탐 40이상은 되어야 안정권이다(지원) 장로회신학대학교를 일단 정시로 가는 것으로 목표로 삼고, 3학년 1학기 내신은 수능과목과 겹치는 과목을 집중해서 해라. 수시는 도전해보고 정시로 간다(인하)

 

모두모두 열심히 노력하여 꼭 성공하기 바란다!

 


태그:#입시컨설팅, #입시상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교사로 산다는 것'의 저자 김재훈입니다. 선생님 노릇하기 녹록하지 않은 요즘 우리들에게 힘이 되는 메세지를 찾아 떠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