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예전에 '내 아이 경제교육 어떻게 시켜야하나'라는 주제의 기사를 작성한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실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자녀 경제 교육법을 하나 소개 시켜드릴까 합니다.

 

일단 본론에 들어가기 전 한가지 꼭 기억했으면 하는 점이 있습니다. 흔히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아이와 한달 용돈에 관한 얘기도 하고, 이걸하면 얼마 저걸하면 얼마 이런 식으로 계획도 잘 짜시고, 실제 용돈을 주기까지도 하는 데 그 후의 관리는 소홀하신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무엇이든 A/S가 중요한 것이지요. 아이들 용돈 역시 계획하고, 주는 것 못지 않게 그 후에 어떤 관리를 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가 돈을 벌고, 얻는 방법 뿐 아니라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아는 것 역시 경제교육의 중요한 목록이기 때문입니다.

 

자, 제가 오늘 소개해드릴 S.O.S 시스템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인데요. 잘 참고하시어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Saving

 

첫 번째 "S" 는 "Saving" 의 약자입니다. 저축이 경제 교육의 첫째라는 얘기입니다. 어떤 사업을 해도 종자돈이 있어야 하지요? 그런데 바로 이 종자돈 모으기에 실패하는 분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일단 모으는 연습을 한다는 건 내가 꼭 필요한 필수지출 부분을 정리하게 합니다. 이건 즉, 생산적인 소비로 이어질 수 있지요. 그러나 게임기 등 소모적인 소비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스스로 경각심을 가질 수 있게 하지요. 그래서 저축 훈련이 그렇게 중요한 것입니다. 단순히 모으기 뿐 아니라 생산적인 소비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2.Offering

 

두번째 "O" 는 "Offering" 즉, 나눔입니다. 우리 나라 부자들은 왜 항상 지탄의 대상이 되곤 할까요. 부정적인 방법으로 부를 축척하고, "무전유죄 유전무죄" 라는 말처럼 특권을 누리는 게 그 핵심이겠지요. 그런데 여기에 추가할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이른바 "노블리스 오블리제" 의 실천이 부족하기 때문일겁니다. 예전에 금모으기 할 때도 그렇지 않았습니까.

 

내 아이가 부자가 되길 원하는 만큼 나눌 줄 아는 훈련을 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이건 그냥 되는 게 아니라는 거지요. 어릴 때부터 나눔의 연습을 해온 아이들만이 나눔의 기쁨을 알수 있습니다. 또한 설령 내 아이가 아주 큰 부자가 되지는 않는다하여도 이 나눔 훈련은 내 아이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드는 주역이 될 수 있게 하고, 내가 어려울 때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겁니다.

 

3.Spending

 

세번째 "S" 는 Spending 즉, 소비입니다. 소비는 앞서 저축에서 잠깐 언급했었는데요. 아이들과 함께 생산적인 소비와 소모적인 소비에 대해 충분히 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한달정도 직접 실천하게 해보구요. 그 후 용돈 사용에 대해 다시 얘기를 나눠보고, 아이와 함께 다음 달 소비 계획을 짜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런데 이 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제가 몇 몇 부모님들께 이 얘기를 해드렸더니 '어느 새 내가 아이에게 잔소리를 하고 있더라' 는 얘기를 자주 들을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할 때는 말 그대로 대화를 통해 아이 스스로 결정하고, 설령 그것이 틀리거나 부정적인 방향이라 하더라도 직접 경험하여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교육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점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정리하며

 

어떤 교육이든 다 "때" 가 있고, 세상은 생각하기 나름이라 하였습니다. 이런 면에서 보면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도 내 아이 교육을 위해서는 좋은 "호기" 가 될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자녀와 많은 대화를 해보고, 특히, "용돈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까지 신경을 쓸 수 있다면 내 아이는 잘 버는 것은 물론 넉넉한 마음 씀씀이까지 가진 아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필자의 블로그 [라이프]하늘바람몰이(http://kkuks81.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자녀교육, #경제교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