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이설 작가님과 만난 첫 번째 책은 <우리의 정류장과 필사의 밤>이었다. 가족이라는 혈연공동체의 족쇄에 발이 묶인 한 여성의 숨 막히는 일상들을 정밀하면서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이었다.

간결하면서 힘 있는 김이설 작가의 문체는 독자들을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다. 작가의 다음 작품이 궁금했다. 김이설 작가와 다시 조우하게 해준 <우리가 안도하는 사이>를 펼치게 된 이유는 단 한 가지였다. '내 이야기 같아서'이다.
책표지 우리가 안도하는 사이
책표지우리가 안도하는 사이 ⓒ 자음과모음
 
이 책에 등장하는 미경, 정은, 난주는 75년생 동갑내기 친구이다. 세 친구 중 미경의 직업은 공공도서관 사서이며 싱글이다. 필자와 동시대를 살았던 여자 세 명이 등장하고, (직업에 대한 세밀한 묘사는 없지만) 필자와 같은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싱글 여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인물이 서사의 한 꼭지를 풀어간다는 점에서 특별한 끌림이 있었다.

과거 미경의 강릉, 정은의 강릉, 난주의 강릉이 가진 의미는 제각각 달랐다. 끝끝내 고백하지 못한 강릉도 있었고, 다 같이 기억이 사라진 강릉의 밤도 존재했으며, 세상을 다 잃은 것 같은 허무의 순간에 찾았던 혼자만의 강릉도 있었다. 그 모든 강릉이 25년 만에 그녀들로 하여금 다시 강릉을 찾게 한 이유였을 것이다.

예상했던 것처럼 20대를 함께 보낸 뒤 25년 만에 떠난 강릉 여행에서, 그녀들이 고백하고 사과하고 화해하며 보낸 시간들에 뜨겁게 공감했다. 물론 대학을 졸업한 이후 각자 다른 삶을 살아갔기에 서로를 완벽하게 이해하기에는 공백의 심연이 깊은 듯 보였다.

이루어질 수 없는 관계로 상처받은 미경, 일도 연애도 제대로 해내지 못함에 패배감을 느꼈던 정은, 육아에만 전념하느라 세상 돌아가는 일에서 배제된 채 아줌마로 전락했다고 느낀 난주.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대의 추억과 현재의 고통을 필터 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그들의 찰나의 우정에 읽는 내내 안도했다. 50대 언저리에 강릉의 금은방에서 우정 반지를 나눠 끼고, 원 없이 술과 커피를 마시고 담배를 피웠던 새로운 강릉이 그녀들을 또다시 살게 할 거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세 친구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자연스럽게 자신의 과거 한 시절을 떠올리게 되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지만 이십 대인 것만으로도 힘들었던 그 시절로 잠시 돌아갔다 이내 복귀했다.

풋사랑에 세상이 무너질 것처럼 아파했던, 졸업을 앞두고 길이 보이지 않아 막막해했던, 아무런 준비 없이 사회에 내던져진 채 방황했던 한 시절이 소환되어 어색한 웃음을 지었다.
 
그럼, 이십 대는 그냥 이십 대인 것만으로 힘든 거야.
(197쪽)

어느덧 '하여간 그렇대. 우리 나이가 한참 늙느라 바쁜 나이래.(149쪽)'라고 말하는 나이가 된 지금, 세 친구들에게 '강릉'이 그러했듯이 그저 그리운 한곳이 있었으면 좋겠다. 살면서 감당할 수 없는 마음들이 켜켜이 쌓여 쿵 하고 내려앉을 때, 언제든 갈 수 있는 곳이자 결국 거기밖에 없는 곳이 존재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바닷물에 발을 담그다 물속에 가라앉고 싶은 마음이 아닌, 모래사장에 앉아 여유롭게 파도와 바람을 느끼며 생기를 가득 채우고 싶은 마음으로 찾아갈 수 있는 곳. 물론 그곳이 강릉이어도 좋겠다.
 
그저 그리운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혼자 있어도 외롭지 않고, 혼자여서 꽉 차는 곳.
언제든 갈 수 있는 곳이자, 결국 거기밖에 없는 곳.
(188쪽)

우리가 안도하는 사이

김이설 (지은이), 자음과모음(2024)


#우리가안도하는사이#김이설#여성서사#한국소설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도는 따뜻할 수 밖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