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6년 '차없는 날' 행사 장면.
 2006년 '차없는 날' 행사 장면.
ⓒ 오마이뉴스 안홍기

관련사진보기


자전거가 지구를 살린다는 말은 이제 더 이상 낯선 말이 아니다. 환경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혹은 자전거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와 지구 온난화 문제와 맞물려 단골처럼 등장하는 자전거에 대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고, 이제는 그런 말들에 대해서 고개를 끄덕일 만큼의 공감대도 형성됐다고 생각한다.

녹색 바람을 타고 자전거 이용인구가 늘고 있다. 그에 따라 많은 나라들이 자전거 타기 장려에 힘쓰고 있다. 또 각종 제도 마련과 사회적 기반 시설 확충에도 열을 쏟고 있다. 물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녹색, 그린이라는 단어가 사회전반으로 확장되면서 금융계까지 퍼져나갔다. 얼마 전 녹색금융협회가 출범을 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정책이 나왔다. 그 중에는 '자전거 보험'이라는 녹색 금융 상품을 개발에 대한 내용도 있었고, 며칠 전 첫 상품이 나왔다.

사실 자전거 보험은 오래 전부터 필요성이 요구돼 왔고, 실제로 상품도 있었다. 하지만 반영 기준이 모호하고, 일반인의 관심이 적은 데다, 보험사의 손해율도 커 실제로 정착이 되지 못하고 이내 사라졌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 들어 자전거정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마침내 자전거보험이 다시 등장했다. 김종창 금융감독원 원장이 첫 가입했다는 기사도 떴다. 과연 오랫동안 기다려온 자전거보험에 대해서 자전거인들은 환영 일색일까? 하지만 현실은 그렇진 않은 것 같다.

자전거 보험의 출현, 자출족들은 환영할까?

회원수 27만여명으로 국내 최대 자전거 커뮤니티인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엔 의견이 분분하다. "전시 행정"이라며 실효성을 의심하는 글들도 눈에 띈다. 크게는 기존의 상해보험과 크게 다를 바 없고,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도난' 혹은 '파손'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다는 지적이다. 즉, 과거와 크게 다를 바 없다는 반응이다. 많은 이들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이유다.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보험 상품이나 그 실효성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그 필요성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싶다. 보험은 '만일'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보험에 가입하면서 사고가 나기를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사고는 예고 없이 찾아오니, 만일의 사고를 위해서 미리 준비를 하자는 것이 보험의 취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차를 사면 보험은 당연히 들어놔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자전거의 경우는 어떠한가? 보험이 있는 것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자동차 사고도 위험하지만 자전거는 라이더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2007년 질병 관리 본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교통사고 환자 중 13.7%가 자전거 사고 환자라고 한다. 생각보다 그 수치가 높다. 나는 개인적으로 일주일에 2회 이상 자출(자전거 출퇴근)을 한다. 다른 날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가끔 자동차를 이용해서 출근하곤 하는데, 따지고 보면 자동차보다 자전거를 더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나와 같은 자출족들에는 자동차 보험보다 자전거 보험이 더 필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자출족들에게 보험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또 한 가지 우리가 잊는 사실 중 하나가 자전거는 차로 분류되므로, 법적으로는 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옳다. 이러한 불리한 환경 속에서 자전거 타기란 쉽지 않으며, 이로 인해 그 필요성은 더하다고 할 수 있다.

좀 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보험이 되길

국민은행에서 출시한 '녹색자전거보험'
 국민은행에서 출시한 '녹색자전거보험'
ⓒ 화면캡쳐

관련사진보기


곧 더 많은 손보사들이 자전거 보험 상품을 내놓을 전망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품이 어쩜 자전거를 타는 우리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험도 하나의 상품이고 소비자가 사야 하기 때문에 자전거 보험도 점차 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에 맞추어 발전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그런 면에서 소비자의 역할도 적다 할 수 없다. 좀 더 많은 자전거 이용 인구의 요구에 맞춘 상품이 개발이 되도록 소비자가 요구사항을 얘기하고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늘 자전거 보험을 생각하고 있던 필자에게는 좋은 소식이지만, 아직은 망설이게 된다. 상품화 되어 있는 자전거 보험을 보면 부족한 점이 더 많아 보이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타는 많은 이들이 선택의 폭을 좀 더 넓힐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실효성 있는 상품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또 정부차원에서는 그 부족한 부분을 정책적으로 채워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마지막으로 보험이 모든 것을 사고 이전으로 돌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전거 사고에 대해서 금전적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은 열렸다고 하지만, 사고 인해 받은 육체적, 심적, 정신적인 피해는 되돌릴 길이 없다. 그러니, 무엇보다 안전하고 방어적인 자전거 라이딩을 해야 하고, 그것이 몸에 배도록 스스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수백번 조심하고도 한 번의 사고로 더 많은 것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김준영 기자는 네이버 커뮤니티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 운영진이며, 최근 <자전거홀릭>이라는 책을 펴냈습니다.



태그:#자전거보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