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화

인천경기

포토뉴스

육당 최남선은 우리나라를 '호담국(虎談國)'이라 했다. 호랑이와 관련한 담론이 넘쳐나는 나라라는 의미다. 육당의 말처럼 우리 설화엔 '호랑이가 담배 피던 시절...'로 시작하는 옛날이야기가 부지기수고, 호랑이가 등장하는 그림을 쉽게 만날 수 있다.

호랑이와 관련한 지명만 해도 389개에 이른다. 호구포, 범섬, 인화리 등 인천에도 호랑이 의미를 품은 지명이 남아 있다. 그 옛날 이 땅엔 어떤 호랑이가 살았을까. 지금은 어떤 사람들이 살고 있을까. 임인년 설날 즈음해 '인천의 호랑이 땅'을 찾아가 봤다.
 
도심 사이 섬처럼 남아있는 인천 호구포대(남동구 논현동). 매립으로 소금기 사라진 새 땅엔 공단과 아파트가 들어섰다. ⓒ 유승현 자유사진가
 
바다를 향한 포효, 호구포

호구포(虎口浦, 남동구 논현동)는 이름 그대로 '호랑이의 입 모양으로 생긴 포구'라는 뜻이다. 향토사학자 고 이훈익(1916~2002년)이 쓴 <인천지지>(仁川地誌)는 지금의 논현동 근처 호구포를 '범아가리'라 부른다고 적고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오봉산 기슭에 호랑이를 닮은 바위가 있어 '호구암'이라 부르며, 포구에도 같은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호구암이 바다 건너 안산 대부도를 집어삼킬 듯이 응시하고 있어 대부도에서는 개들이 시름시름 앓다 죽었다는 전설도 있다.

신홍순(65) 남동문화원장은 "관련 전설이 여러 개 전해지는데, 원래 호구포의 해안선이 호랑이 아가리 모양이었다. 1879년(고종 16년) 인천도호부의 화도진을 그린 '화도진도'(花島鎭圖)를 보면 호구포 일대의 해안선 모양이 호랑이가 바다를 집어삼킬 것처럼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조선 조정은 인천 앞바다에 이양선이 자주 출몰하자 외적의 선박을 막기 위해 부평 연안에 화도진과 포대를 세웠다. '화도진도'에는 호랑이가 바다를 향해 포효하는 듯한 호구포에 위치한 호구포대(논현포대), 산천, 지금은 매립돼 사라진 연안의 섬 이름까지 그려져 있다. 인천시는 이를 근거로 지난 2006년 호구포대를 복원했다. 호구포근린공원 안쪽에 그 모습을 오롯이 갖추고 있다.

신 원장은 "1910년대쯤, 일제가 1921년 남동염전과 1937년 소래염전을 만들기 전 지도를 봐도 호구포 일대의 해안선 모양이 실제로 호랑이 입처럼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지금은 호구포대 앞에 남동공단(1985~1992년 조성)이 생겨 바다가 없어졌지만 본래 호구포는 이름 그대로 바닷물이 들어오는 어촌이었다. 1980년대 초까지도 남동염전 수로를 따라 육지 깊숙이 현재의 인천기계공고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 부모들은 바다에 고기를 잡으러 가거나 염전에서 일했고, 아이들은 갯벌에서 고기와 조개를 잡으며 놀았다.

그 이름처럼 인천 앞바다를 호령하던 호랑이 포구는, 매립과 도시 개발로 이제는 도심 한가운데 이름으로만 우리 곁에 남아 있다.
 
'화도진도'를 근거로 2006년 호구포근린공원에 복원한 호구포대. ⓒ 유승현 자유사진가
 
신홍순 남동문화원장이 호구포근린공원에서 '화도진도'를 설명하고 있다. ⓒ 유승현 자유사진가
 
1879년(고종 16년) 제작된 '화도진도'. 바다를 향해 포효하는 듯한 호구포 등 인천의 본래 해안선, 산천 등이 그려져 있다. ⓒ 유승현 자유사진가
 
나의 살던 고향, 호구포마을

남동구에서 가장 오래된 '호구포식당'(남동구 장도로 35). 소래포구 후미진 뒷골목에 자리해 있다. 1대 사장 고 안옥순(1938~2017년)씨의 뒤를 이어 장남 최태영(61)씨가 매일 육수를 끓여 낸다.

"나고 자란 곳, 내 고향이 호구포마을이에요. 지금처럼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에. 듬배산 아래 호암어린이 공원쯤..." 분주하게 점심 장사를 준비하던 최씨 얼굴에 순간 그리움이 스쳐 지나간다. 스물둘에 시집온 어머니는 최씨가 초등학교 입학하던 해인 1968년에 식당을 열고 '호구포식당'이라 이름 지었다. 동네 사람들에게 국수를 말아 팔았는데, 담백하고 구수한 맛에 항상 문전성시를 이뤘다.

장사가 잘돼 5년 만에 지금의 호구포역 부근으로 식당을 옮겼다. 설렁탕, 곰탕, 순댓국, 육개장 등 메뉴도 늘렸다. "목이 좋아 염전, 한국화약 직원, 버스 기사까지 단골이 많았어요."

1970년대 호구포마을은 동인천을 오가던 버스 종점으로, 거대한 주거지와 공장이 형성돼 '잘나가는 동네'였다. 하루에 수백 대의 버스가 "범아가리 내리실 분. 오라이~!"라고 외치며 끝도 없이 사람을 쏟아냈다.

그런데 남동공단이 조성되며 사람들의 일터가 바뀌고, 종점도 소래포구역 근처로 옮겨갔다. 손님들 따라 호구포식당도 소래로 또 한 번 자리를 옮겼다.

"자리는 옮겨도 이름은 지켜야죠. 여기도 개발돼 곧 헐릴 것 같아요. 다른 곳으로 이사 가도 이름은 영원히 호구포식당일 거예요. 내 고향이 호구포니까."
 
인천 남동구에서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알려진 '호구포식당'의 최태영 사장. ⓒ 유승현 자유사진가
 
영종대교 아래 엎드린 호랑이, 범섬

서구에는 범섬, 예로부터 호도(虎島)라 부르던 섬이 있다. '대동여지도'(김정호, 1861년) 등 고지도엔 육지에서 10리(4km) 떨어진 섬으로 그려져 있다. 지금은 바다를 매립해 뭍 가까이에 있다.

지난 1월 13일 정서진 노을종 아래에서 만난 배성수(53) 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영종대교 한가운데 있는 게 범섬이다. 서구와 영종도를 최단거리로 잇기 위해 섬 남쪽을 깎고 다리를 얹었다고 한다. 다리 옆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절반만 남아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범섬은 밀물 때나 썰물 때나 바닷물이 머무는 넓은 갯골 한가운데 앉아 있다.

"범섬과 물치도 사이는 수심이 깊고 조류가 완만하게 흘러 큰 배가 다니기 쉬웠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미국 함대 다섯 척이 강화에서 신미양요(1871년 5월)를 일으키기 전 며칠 동안 이곳에 정박했어요."

<고종실록>(1863~1907년)은 '이양선이 호도 앞바다에 닻을 내렸다'라고 여러 차례 기록하고 있다. 당시 경기만 연안과 강화를 거쳐 서울로 들어가는 해로에 호도가 위치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한제국기 뱃길 역할을 했던 호랑이 섬, 오늘날에는 그 위 새로 난 길로 하루 수만 대의 차가 달린다.
 
지난 한 세기 동안 매립으로 인천 서구의 34개 섬 중 26개가 육지와 연결돼 새 땅이 됐다. 남아 있는 8개의 섬 중 하나, 범섬. ⓒ 유승현 자유사진가

호랑이가 지켜주는, 강화 인화리

강화대교 건너 48번 국도 끝자락, 양사면 인화리(寅火里). 호랑이 눈에서 빛이 나는 바위가 있다고 해서 '범 인(寅), '불 화(火)' 자를 쓴 호랑이 마을이다. 정조 때인 1783년 강화유수 김노진이 간행한 <강화부지>에 '남쪽을 향한 바위가 호랑이 모양이어서 인화석진(寅火石津)이라 부른다'라고 전한다. 마을에서 올려다보니, 북쪽 산기슭에 올라앉은 호랑이 머리가 남쪽을 향해 마치 마을을 호위하는 듯하다.

호랑이바위에 오르면 사방의 풍광이 한눈에 들어온다. 북으로는 바다가, 남으로는 너른 들녘이 펼쳐진다. 교동대교 너머 북녘땅이 손에 잡힐 듯하다. 배성수 연구관과 호랑이바위 바로 옆 인화돈대(寅火墩臺)로 걸음을 옮겼다.

"조선 시대 숙종(1674~1720년) 임금은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강화도에 50여 개의 돈대를 설치했습니다. 이 위치는 한강과 예성강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바다로 합류하는 초입에 있어, 돈대를 쌓아 지키고자 했던 거죠."

안타깝게도 수풀 속에 인화돈대의 주춧돌만 남아 있었지만, 한양으로 들어가는 길목을 지키던 요새답게 사방이 훤히 보였다.
 
배성수 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관이 인화리 호랑이바위를 살펴보고 있다. ⓒ 유승현 자유사진가
 
마을 북쪽 산기슭에 올라앉은 호랑이바위. ⓒ 유승현 자유사진가
 
마을에서 제작한 '인화리 홍보 책자'. ⓒ 유승현 자유사진가
 
인천 인화리는 예로부터 어업이 번성한 동네였다. ⓒ 유승현 자유사진가
 
어업이 번창했던 부자 동네, 인화리

인화리는 예로부터 어업이 번성한 동네였다. '다른 곳은 보리밥 먹어도 인화리 사람들은 쌀밥을 먹는다'는 소문이 날 정도였다. 주민들은 한강 하구, 연평도, 예성강까지 가서 고기를 잡아 팔았다. 서울 마포나루에서 시선배(상선 또는 운반선)가 들어와 조기와 젓갈을 사 갔다. 일부는 해주항을 거쳐 개성 부잣집까지 실어가기도 했다.

고기잡이가 한창이던 시절 주민들은 해마다 정월이면 풍어제를 올렸다. 첫날 호랑이바위에서 마을 공동 제사인 대동굿을 올리고, 둘째 날엔 선주들의 배연신굿이 이어졌다. 호랑이바위 옆에 서낭당이 있어 무녀들이 제를 주관했다. 주민들은 일제히 집집마다 불을 밝히고 마을의 안녕과 만선을 빌었다. 한국전쟁 전까지 이곳은 풍요로웠고,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으로 해안가에 철책선이 들어서고 주민들은 더 이상 바다로 나갈 수 없게 됐다. 생업도 농업으로 바뀌었다. 어부들의 안녕을 빌어주던 무녀들도 떠났다. "다섯 살 때부터 농사지었는데, 아흔까지 지어야지." 평생 인화리에서 땅을 일군 정상진(70)씨에겐 산자락에 붙은 손바닥만 한 논이 소일거리로 딱이다.

엄형식(58) 인화리 이장은 올해 호랑이바위를 많은 사람에게 알릴 계획이다. 지난해엔 호랑이바위 주변을 정갈하게 단장하고, 마을 홍보 책자도 만들었다.

"오는 3월 개통 예정인 서해랑길 마지막 코스가 인화리예요. 서해랑길 103코스. 창후리선착장에서 시작해 인화리를 지나 평화전망대까지 가는 코스이니, 호랑이바위 바라보며 소원 빌고 가세요."

여전히 인화리 사람들에게 호랑이바위는 신성하다. 그래서 매일 간절히 염원한다. 호랑이 기운으로 세상의 나쁜 기운을 물리쳐 달라고, 세상 사람 모두 건강하고 평안하게 해 달라고.

호랑이바위에 오르면 사방이 훤히 보인다. 교동대교 너머 북녘땅이 손에 잡힐 듯하다.

취재영상 보기(https://youtu.be/pfa9wVpm3aA)
 
인화리에서 평생 땅을 일군 마을 사람들. ⓒ 유승현 자유사진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천시에서 발행하는 종합 매거진 <굿모닝인천> 2022년 2월호에도 실립니다.

태그:#인천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굿모닝인천>은 인천시에서 발행하는 종합 매거진으로, 1994년에 창간해 인천시민과 함께해 왔습니다. <굿모닝인천>은 032-440-8306으로 구독 신청하면 매월 무료로 받아볼 수 있으며, 모바일북으로도 서비스합니다.

독자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