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이 제2기 국응복 이사장 체제로 새출발을 시작했지만 조합 내부에서는 다수에 의한 전횡이 여전해 파행을 겪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월 30일 치러진 이사장 선거에서 당선된 국응복 이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제2기 허베이조합 이사장에 선출된 국응복 이사장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이 제2기 국응복 이사장 체제로 새출발을 시작했지만 조합 내부에서는 다수에 의한 전횡이 여전해 파행을 겪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월 30일 치러진 이사장 선거에서 당선된 국응복 이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이 이사장 연임에 성공한 제2기 국응복 이사장 체제로 새출발을 시작했지만 조합 내부에서는 다수에 의한 전횡이 여전해 현실과 동떨어진 안건을 상정하는 등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관련기사 : 허베이조합 제2기 이사장에 국응복 선출… 1표차 신승으로 연임 성공)

특히, 국응복 이사장의 손과 발을 묶으려는 시도가 곳곳에서 포착되는 가운데 지난 26일 열린 이사회에서는 안건으로 상정된 사무처장의 임면 승인을 부결시키며 국 이사장을 고립시키기 위한 정점을 찍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에 허베이조합 본부의 간부직원인 사무처장 후보자로 지원한 이는 이미 국 이사장과 제1기 체제를 함께 걸어왔던 태안군청 공무원 출신의 D씨로, 국 이사장을 근거리에서 보좌하며 파행을 겪어왔던 허베이조합 태안지부의 정상화를 이끌어낸 인물이다. 국 이사장의 복심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사실상 국 이사장의 손발을 묶은 셈이다.

당시 제4차 임시이사회의 분위기와 안건 심의결과를 접한 태안군내 정보라인에서 조차 "국 이사장 취임 이후 이사회 장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사장이 추진하려는 계획들이 이사회에서 부결 또는 보류되는 분위기"라고 허베이조합 내부 분위기를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4월 26일 허베이조합의 제4차 임시이사회에서는 또한 서천지부 등에서 안건으로 상정한 허베이조합 본부의 내포 이전 문제도 심의했는데 심의결과 차기 이사회에서 의결키로 하고 '심의 보류'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안건을 상정한 서천지부 등에서는 허베이조합 본부와 지부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충남도청 소재지인 내포로의 이전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허베이조합 본부의 내포 이전 문제는 접근성이나 실효성 면에서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안건"이라는 게 태안유류피해민들 사이에서 의견이 팽배하고 있다. 

임시이사회에서는 또 허베이조합을 통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수탁받은 삼성지역발전기금을 4개 지부로 이관해 달라는 안건도 상정됐다. 이 안건 또한 '심의 보류' 결정으로 차기 이사회에서 의결키로 했지만 국 이사장을 비롯한 조합 이사회 내부에서 조차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임시이사회에 참석했던 C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허베이조합 본부의 이사회가 다뤄야 할 안건이 있는 건데 기금을 지부로 분할하자는 게 맞는 건지 납득할 수 없다"면서 "이사회에 상정된 안건을 보고 참석하지 않은 이사도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국 이사장도 한숨을 내쉬었다. 기금의 지부 이전은 각 지부별 분할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국 이사장은 "허베이조합의 기금 이전은 4개 지부가 공히 안건으로 상정한 것으로 할 수도 없는 일을 하자는 것"이라고 강하게 받아쳤다.

국 이사장은 "지역발전기금은 허베이조합으로 내려준 것으로 기금의 주체가 (지부가 아닌) 허베이조합이다"라면서 "지부로 기금을 달라는 것은 지부에서 기금을 마음대로 쓰려는 억지 주장으로 지부를 분할하기 전에는 절대로 안 된다고 했다"고 말했다.

국 이사장은 이어 "기금을 지부에서 쓰려면 분할을 해야 하는데 순서가 지부 분할을 이사회에서 의결한 뒤 대의원총회에서 의결해 놓고 해양수산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분할 및 기금 배분 문제를 협상해야 한다"면서 "분할이 쉽지도 않지만 분할도 하지 않고 기금을 나누자는 것은 해 줄 수도 없는 것을 억지 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 이사장의 취임식도 막은 이사회… B상임이사는 '비상근 상임이사'로 이름만 바꿔 겸직 허용?
 
지난 26일 열린 허베이조합의 이사회에서는 허베이조합 본부 내포 이전, 기금의 지부 이관 등 현실과 동떨어진 안건도 상정해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이사회 연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 지난 26일 열린 허베이조합의 이사회에서는 허베이조합 본부 내포 이전, 기금의 지부 이관 등 현실과 동떨어진 안건도 상정해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허베이조합 본부의 내포 이전과 기금의 지부 이전 등 억지 안건을 상정해 '심의 보류' 결정을 내린 허베이조합 이사회는 또 이날 사무처장 후보자의 임면 부결에 이어 새롭게 출발하려는 허베이조합의 의지를 알리기 위해 기름유출사고의 상징인 만리포에서 추진하려 했던 국 이사장의 취임식 또한 반대했다.

국 이사장의 취임식은 감사 서면을 발송하는 것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코로나19가 이유지만 이 또한 국 이사장을 견제하기 위한 이사회의 술수라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 법 위의 허베이조합… 직제규정에도 없는 '상임이사'를 이사장 후보자로 받은 근거는)

이날 이사회에서는 또한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도 있었다. 상근직인 허베이조합 A지부 B상임이사의 겸직 건인데, B상임이사는 A지역에서 이미 사회단체의 상근직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는데도 허베이조합 이사회가 직제규정에도 없는 B상임이사의 직책을 기존의 상근 상임이사에서 '비상근 상임이사'로 인정키로 했다는 것이다. 이는 두 단체의 상근직 겸직이 논란이 일자 '비상근 상임이사'로 이름만 바꾼 꼼수라는 지적이다.

허베이조합 본부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겸직을 허용했다기 보다는 규정을 개정해서 차기에 심의하기로 했다"고 사실상 겸직 허용을 인정하면서도 "이사회에서 결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내부사정까지 알려주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임시이사회에 참석했던 C이사는 "상임이사에서 비상근 상임이사로 이름을 바꿨는데, 일을 할 수 있게끔 해달라는 취지였다"면서도 "상근이건 비상근이건 간에 일을 못할 게 뭐냐고 따졌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B상임이사의 겸직 문제는 논란의 소지를 남기고 있다.

덧붙이는 글 | 태안신문에도 송고합니다.


태그:#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 #국응복, #태안원유유출사고, #삼성지역발전기금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태안의 지역신문인 태안신문 기자입니다.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밝은 빛이 되고자 펜을 들었습니다. 행동하는 양심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