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토관리, 지역개발, 도로·교통·물류, 지도 등의 공간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목록을 조사한 결과를 11일부터 국가공간정보포털(www.nsdi.go.kr)에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하는 공간정보 목록은 작년 4만752건 보다 33.1% 증가한 5만4256건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올해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 189개 기관에서 보유한 국가공간정보목록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공간정보목록을 공개하는 것은 국가공간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기관간 공동활용 및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이를 민간에 공개해 국가가 생산·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손쉽게 찾고 관련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연도별 공간정보 목록조사 등록현황
 연도별 공간정보 목록조사 등록현황
ⓒ 국토부

관련사진보기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하는 공간정보 목록의 유형은 국토관리·지역개발 분야 50.7%, 도로·교통·물류 17.5%, 지도 관련 8.9%, 일반 행정 8.1% 순이다. 토지, 건물, 용도지역 등 부동산관련 정보와, 도로, 철도 등 공공 기반시설 관리 등의 주제도정보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국토부는 "지난 8월 데이터 경제 활성화 규제혁신 현장방문 행사에서 대통령은 '데이터 경제시대를 맞아 데이터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며 관련 산업에 대한 예산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면서 "이는 공공의 데이터를 잘 가공하고 활용하면 생산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또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은 에어비앤비, 우버와 같은 글로벌 기업의 성공사례에서 보듯이 신성장동력이며, 그 중 데이터와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반인 '공간정보'가 그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매년 '국가공간정보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관리·생산하는 공간정보 목록을 표준화된 분류체계에 맞추어 조사하고 이를 공개하여 국가에서 생산한 '어떤 종류의 공간정보가 어디에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해 왔다.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센터 성윤모 과장은 "데이터 경제 시대의 중요 자원인 공간정보가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때 내비게이션 같은 정보의 가이드 역할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정보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공간정보, #국토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