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에 있는 한빛원전 전경. 1986년 상업 운전에 돌입한 한빛원전 1호기부터 6호기까지 모두 6기의 원전이 있다. 이들 원전은 2025년 한빛 1호기부터 순차적으로 40년의 설계 수명(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된다. 원전 운영사 한국수력원자력은 한빛 1, 2호기 수명을 연장하는 절차를 추진 중이다.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에 있는 한빛원전 전경. 1986년 상업 운전에 돌입한 한빛원전 1호기부터 6호기까지 모두 6기의 원전이 있다. 이들 원전은 2025년 한빛 1호기부터 순차적으로 40년의 설계 수명(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된다. 원전 운영사 한국수력원자력은 한빛 1, 2호기 수명을 연장하는 절차를 추진 중이다.
ⓒ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련사진보기

 
전남 영광 한빛원전 지상부에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을 위한 설계 작업이 2025년 하반기 완료를 목표로 물밑 추진 중인 사실이 드러나자 지역사회가 반발하고 있다.

'영광핵발전소 안전성확보를 위한 공동행동'은 22일 한빛원전 운영 사업자 한국수력원자력을 향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설계용역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공동행동은 이날 성명을 내고 "한수원이 당초 약속과 달리, 지역사회에 한마디 언급도 없이 설계를 추진한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났다. 약속 위반을 인정하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원전 부지 지질조사 임박'... "영광군, 신청 반려해야" 

공동행동은 시설 설계를 위한 지질조사가 임박했다는 관측과 관련해서도 "영광군은 지질조사를 위한 사업자 신청이 접수될 경우 즉각 지역주민에 알리고, 신청서를 반려해야 한다"고 했다.

설계 용역 시방서에 '건식저장시설은 50년 이상의 장기운영에도 그 성능이 유지되고 구조물의 건전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돼야 한다'고 명시된 점을 지목하면서 "한빛 6호기 운영허가가 만료되는 2042년 이후까지도 수십 년 더 저장시설이 운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사용후핵연료 저장 방식 사례. 중수로형 원전인 경북 경주 월성원전을 제외하고 국내 원전부지 내 지상 건식저장시설은 현재 없다. 또한 원전 부지 밖 중간 처분장(영구처분장으로 옮기기 전까지 저장)은 물론 영구처분장 또한 극심한 갈등 속에 역대 어느 정부도 입지조차 정하지 못했다.
 사용후핵연료 저장 방식 사례. 중수로형 원전인 경북 경주 월성원전을 제외하고 국내 원전부지 내 지상 건식저장시설은 현재 없다. 또한 원전 부지 밖 중간 처분장(영구처분장으로 옮기기 전까지 저장)은 물론 영구처분장 또한 극심한 갈등 속에 역대 어느 정부도 입지조차 정하지 못했다.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관련사진보기


그러면서 "(원전 사업자 측은) 최종처분장이 마련되면 옮기겠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했다. 역대 어느 정부도 지자체와 주민 반발 속에 사용후핵연료 최종 처분장 입지 선정조차 하지 못했다는 점 등에 미뤄 원전 부지 내 신설 추진 중인 건식저장시설이 영구처분장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시한 것이다.

공동행동은 또한 한수원이 지역사회 반발에도 40년 설계수명 만료를 앞둔 한빛 1, 2호기의 수명연장을 추진 중인 사실을 거론하면서 "노후원전 수명연장과 마찬가지로 부지 내 추가 핵시설 건설을 위한 설계 작업 또한 지역사회와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원전 수명연장 절차를 위한 주민 의견수렴 과정에서 고준위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를 위한 설계작업 사실이 알려질 경우, 주민이 반발하는 두 가지 사업이 겹쳐 사업 추진에 악영향을 받을까 봐 일부러 감춘 것 아니냐"고 했다.

공동행동은 불갑사, 원불교영광교구, 천주교 영광순교자기념성당, 영광군농민회 영광여성농민회, 영광여성의전화, 생명평화마을, 전교조영광지부, 여민동락, 진보당영광지역위원회 등 10개 단체·기관으로 구성됐다.
  
전남 영광 한빛원전 5, 6호기 발전소 내부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
 전남 영광 한빛원전 5, 6호기 발전소 내부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
ⓒ 독자제공

관련사진보기

 
국내 경수로형 원전은 원자로에서 타고 남은 사용후핵연료를 발전소 내 임시 저장수조에 보관 중인데, 한빛원전의 경우 이 물탱크 공간이 오는 2030년이면 가득 찰 것으로 한수원은 전망하고 있다.

사업자 측은 저장 공간 포화로 원전 가동을 멈추는 상황을 피하려고 원전 부지 지상부에 건식저장시설을 신설하기로 했다. 정부 승인 아래 지난해 4월엔 이 사업에 약 6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이사회 의결을 거쳐 확정했다.

당시 지역사회가 반발하자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건식저장시설 설계 방향이 구체화되면 설명회 등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면서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진화에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시설 '물밑 설계' 추진 사실이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지며 '한수원 약속 위반' 비판과 함께 지역사회 반발이 커지고 있다.

한수원 "방침 구체화되면 소상히 설명하고 소통 강화할 것"

이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 한빛원자력본부는 "설계가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나 아직 구체화된 것은 없다. 용역 결과가 나오고 설계 방침이 구체화되면 지역사회와 더욱더 소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기획①] 한빛원전에 핵폐기물 저장시설 추가... 사업자, '몰래 설계' 추진 논란 https://omn.kr/28qzz
[기획②] 한수원, 임시시설이라며 50년 이상 장기 운영 설계 고려?... 용도, 운영 기간, 위험성은 https://omn.kr/28r0f
[기획③] 내달 3개 원전 핵폐기물 저장시설 '지반조사' 착수할 듯...한빛·고리·한울원전 일괄 조사업체, 7개월 안에 마치는 일정... 졸속 추진도 문제 https://omn.kr/28r1b


   

태그:#한빛원전, #사용후핵연료, #수명연장, #노후원전, #한수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광주·전라본부 상근기자. 제보 및 기사에 대한 의견은 ssal1981@daum.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