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총선 승리를 위해 선대위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고 있다.
▲ 민주당 선대위 합류 발표하는 김부겸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총선 승리를 위해 선대위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저출생·지방소멸 등 시급한 국가 과제를 해결하려면 "패싸움" 정치를 청산하고 윤석열 대통령부터 프랑스의 '동거정부'에 가까운 거국내각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승자독식의 선거제도를 바꿔야 '지속가능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김 전 총리는 16일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 탄력성' 세미나에서 "포퓰리즘 자체가 정치의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잡았다"며 "감당할 수 없는 자산 양극화, 소득 양극화가 대중들에게 일상적 분노를 유발시키고, 그나마 불평등을 완화시켜달라고 해볼 곳은 정치인인데, 좌파든 우파든 무능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한국 정치에선 정치적 양극화보다 정서적 양극화로 나타나는 것 같다"며 "우리 편이 무조건 옳고, 상대 편은 악마화시킨다"고 우려했다.

대결만 남은 정치는 아무것도 해결 못하고 있다. 김 전 총리는 "저출생이 심각한데 거의 궤멸적 수준이지 않나"라며 얼마 전 TV 프로그램을 봤는데 (외국은 합계출산율) 1.2, 1.3명을 갖고 고민하는데 우리는 0.78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방소멸, 기후위기, 국민연금, 젠더갈등 등을 꼽으며 "이런 부분에 대해서 이번(총선)에 토론다운 토론이 있었나. 한 번도 논의 안 했다. 어떤 형태로든지 문제를 풀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한국의 민주주의는 위험하다"고 짚었다.

당면 현안도 마찬가지다. 김 전 총리는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예로 들며 "야당 대표가 주장하고, 대통령은 안 된다고 했는데 (선거 과정에서) 토론다운 토론은 한 번도 안 이뤄졌다"며 "심판론 하나면 다 먹혔다. 그런데 이게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심판론은 어찌 보면 내용은 공허한 채 깃발만 있는 꼴"이라고 얘기했다. 다만 "(1인당) 25만 원을 준다고 해서 가계가 활짝 피거나 이런 건 아니다"라며 지금은 '선별지원'이 더 적절하다고 봤다.

"윤 대통령부터 생각 바꿔야... 프랑스는 동거정부 있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미리 준비해 온 메시지를 품에서 꺼낸 뒤 윤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미리 준비해 온 메시지를 품에서 꺼낸 뒤 윤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결국 '정치의 복원'이 시급하다. 하지만 여야 강 대 강 대치가 풀릴 기미는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 김 전 총리는 "우선 윤 대통령이 생각을 바꿔야 한다"며 "이 상황(총선 결과)은 국민들이 대통령과 의회에다가 공동으로 국가적 과제를 풀어나가라고 위임한 것이다.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공동 책임지겠다는 정도로 빨리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책임을 공유하려면 권한도 줘야 한다"며 "국회에서 총리를 추천하거나 선출하는 그런 파격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좀더 적극적으로 한다면 거국내각 방식으로. '윤석열 정부와 국회가 함께 책임지는 국정운영을 하겠다' 이런 정도로 있어야 할 것 같다. 프랑스는 그동안 서너 번의 동거정부가 있었다. 대통령이 의회 다수를 획득 못하니까 (국정을) 끌고 갈 수가 없는 거다. 그래서 미테랑 대통령 때는 시라크 내각이, 시라크 대통령 때는 조스팽 내각이 있었다. 

이런 큰 틀의 국정운영 방향과 콘셉트 자체를 대통령이 확 좀 바꿔주는 게 길이다. 총리를 국회가 추천하거나 국회에서 뽑되 장관추천권, 일종의 조각권을 나눌 생각을 해야 된다. 계속 이렇게 대통령과 의회가 다투는, 그래서 국가적인 과제들에 대해서 심도 있는 진전이 안 되는 건 막아야 한다."


위성정당 두고 쓴소리... "그대로 둬선 안 된다"

김 전 총리는 제도 면에선 "소선거구제 단순다수대표제를 이번에 반드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헌 이야기도 나오는데, 이게 제일 핵심"이라며 "나라 전체가 이대로 맨날 패싸움만 하는 정치구도로 계속 갈 건가. 안 되지 않나"라고 했다. 그런데 현재 제도는 여야 공통의 이해관계가 낳은 산물이다. 김 전 총리는 "부끄럽지만 정권마다 전부 다 국회에 선거구제 개편을 던졌다"며 "그러면 뭐하나. 윤석열 정부 때는 국민의힘 영남 의원들이 반대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이라고 다르지 않았다. 김 전 총리는 "어떨 때는 민주당이 '우리가 한 석이라도 더 잃을 걸 왜 하냐'고 했다"며 "20대 때는 위성정당 만든 데에 대해 정말 부끄럽고 죄송하다고 했는데 이번에는 '어쩔 수 없잖아요' 이렇게 뻔뻔하게 변했다. 다음에는 아무도 시비 안 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걸 그대로 두고 가선 안 된다"며 "결국 국민들이 압박하는 수밖에 없다. 좋은 민주공화국에 살고 싶으면 그런 치열한 접근을, 노력을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김 전 총리는 "무조건 우리 편은 옳고, 상대 편이 없어져야 우리들의 세상이 열린다는 것은 착각"이라며 "그렇게 해선 지속가능하지 않다. 포퓰리즘으로부터 한국의 민주주의를 구할 수 있는 제도개혁이 필요하다"고 거듭 당부했다. 또 "국가적 어젠다는 행정부와 의회가 바로 부딪칠 수 있는 방식으로는 안 된다"며 "국회가 빨리 공론의 장을 만들어줬으면 좋겠다. 사회 곳곳에서 토론이 일어날 수 있는 첫 시발점을 22대 국회가 열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선거제 개편 공론조사에서 참여자들이 분임 토의를 하고 있다. 2023.5.6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선거제 개편 공론조사에서 참여자들이 분임 토의를 하고 있다. 2023.5.6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태그:#김부겸, #윤석열, #거국내각, #소선거구제, #선거제개편
댓글1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정치부. sost38@ohmynews.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