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무원으로 일하다 6년 전 은퇴한 실비는 기공, 도자기 공예, 무료 급식소 봉사 활동 등으로 바쁜 날을 보내고 있다.
목수정
65세에 은퇴한 실비는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노년을 누리고 있다. 18세부터 다양한 알바를 했고 우편배달, 연극배우 등을 거쳐 교육부 산하 청년 재교육시설에서 일했다. 바칼로레아(프랑스의 대학 입학 자격)를 취득하지 못하고 직업을 얻을 준비가 안 된 청년(18~25세)들에게 제2의 기회를 주는 일이다.
6~12개월 동안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재교육하고, 일정한 봉급을 받으며 일해 경험을 쌓도록 돕는 것이 그녀의 일이었다. 소년원에서 출소한 아이, 보육원에서 자란 아이 등 척박한 청소년기를 보낸 이들이 대부분이기에 수월한 과정은 아니었지만, 아이들에게 다시 한번 사회로 다가갈 기회를 주는 의미 충만한 일이었다.
62세 때 은퇴할 수 있었으나, 그땐 당장 일을 놓고 싶지 않았다. 기쁜 마음으로 바쁘게 일하고 있었기에 일을 놓았을 때 닥칠 공허가 두렵기도 했다. 그러나 65세가 되자 피로가 누적되었다는 느낌이 확연해졌고 자연스럽게 은퇴를 결심했다.
요즘은 매일 아침 마을 공원에서 이웃들과 기공을 하고, 오후엔 요가를 하거나 도자기 공예를 하며, 주말엔 합창단에서 노래를 부른다. 일주일에 한 번은 시민단체 '마음의 레스토랑'에서 자원봉사를 한다. 무료 식사를 제공하는 곳이다. 영화나 연극을 보러 다니고 남편과 함께 여행도 자주 간다. 매년 베트남에서 한 달간 지내며 그곳 보육 시설에서 자원봉사 하는 것도 은퇴 후 지속해 온 활동 중 하나다.
은퇴를 결정할 무렵, 직장에서 제공하는 은퇴 준비를 심리적으로 돕는 강연을 들었다. 이틀간 이어진 프로그램은 은퇴 후의 삶을 구상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젊었을 때 연극을 했기 때문에 영화·공연예술인·언론인공제조합 '오디언스'로부터도 작은 액수의 연금을 받는데, 특히 그곳에서 제공하는 양질의 서비스를 누린다.
오디언스에서도 사흘간 은퇴자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했는데, 심리학자 마리 드 에네젤(<늙는다는 모험> 저자)이 연사로 와서 심리적으로 은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계획하고 즐겨야 하는지에 대한 좋은 길잡이가 되어주었다.
은퇴 전엔 늘 새로운 사람들과 관계 맺으며 활기를 얻었는데, 지금은 만나는 사람이 제한된다는 게 은퇴 이후 조금 아쉬운 점이다. 그 부분은 은퇴 이후 맺은 새로운 관계 속에서 서서히 채워지고 있지만, 문제는 '의미'다. 지금의 시간을 채우는 것은 흥미로운 여가생활이지만, 일이 주던 의미를 충족시켜 주진 못한다. '마음의 레스토랑'에서 하는 봉사 활동이 어느 정도 채워주지만 앞으로 더 채워가야 할 대목이다.
마크롱 정부의 연금 개혁에 대해선, 특히 소통 없는 개혁의 일방적 방식에 대해 반대한다. 모든 직업이 같은 노동강도를 갖고 있진 않고, 이전의 연금법은 그러한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는 미덕을 가졌다. 그것을 일원화하여, 직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제대로 된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본다. 자신은 만족스런 제도의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두 자식은 그렇지 못할까 봐 걱정이다.
[사례 2] 베아트리스(Béatrice,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