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0.17 06:59최종 업데이트 23.10.17 07:43
  • 본문듣기

여당의 강서구청장 보궐 선거 패배 다음날인 10월 12일 <조선일보> 사설 ⓒ 조선일보PDF

 
보수언론이 여당의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에 대해 연일 강도높은 비판을 쏟아내 배경이 주목됩니다. 조선, 중앙, 동아 등은 선거가 끝난 후 거의 매일 사설, 칼럼 등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질타하고 있습니다. 이런 모습은 그간 윤석열 정권 비판을 자제해온 종전의 보도 태도와는 다른 것이어서 눈길을 끕니다. 언론계에선 여권의 변화 없이는 내년 총선에서 이길 수 없다는 보수진영 내 위기감의 표출이라는 반응이 많습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국정기조에 대해서는 지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 비판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보수언론의 여권 비판 정도는 사설 제목에서 확연히 드러납니다. 조선일보는 선거 참패 다음날부터 <대통령이 달라지면 전화위복, 아니면 설상가상> <대통령 여당 안바뀌면 중대개혁 다 물건너가> <선거 참패한 당이 쇄신안 내놓지 못한 채 집안싸움 중> 등 대통령과 여당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중앙일보도 <보선 패한 여권 독선적 국정운영 아니었나 돌아봐야> <여권의 총체적 쇄신과 성찰 없이는 국정 신뢰 회복 어렵다> <중도·청년·중산층 모두 여권에 등 돌렸다> <대통령 눈치만 보는 여당으론 총선도 기대 어려워> 등으로 날을 세웠습니다.


동아일보도 <여 강서구청장 보선 참패...예상넘는 큰 득표차가 뜻하는 것> <김행 하차는 출발점일뿐, 국정쇄신은 '내탓' 성찰로부터> <여, 등 떠밀려 쇄신...진짜 문제 외면하고 시늉 그쳐선 안 된다> 등 연일 비판을 이어갔습니다. 이런 보수언론의 입장은 윤 대통령부터 달라질 것을 촉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전의 논조와는 크게 달라진 것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운영이 독선적이었다고 규정한 것부터가 이례적입니다.

조중동의 뒷북 행태 

언론계에선 보수언론의 윤 정부 비판이 뒷북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윤 대통령의 실정이 쌓일때에는 침묵을 지키다 보궐선거에 패하니 뒤늦게 때리기에 가세했다는 겁니다. 선거를 통해 드러난 민심이 심상치 않다는 것을 감지한 결과라는 얘깁니다. 보수언론이 그간 권력에 대한 감시라는 언론의 역할을 소홀히한 데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보수언론의 윤 대통령 비판은 언론의 책무를 다하지 못했음을 자인하는 셈이라는 얘깁니다.

이런 주장의 근거는 보수언론의 사설 내용에서도 확인됩니다. 조선일보는 12일자 사설에서 윤 대통령이 김태우 후보를 사면해 출마의 길을 열어주고 국민의힘이 재공천한 것은 국민에게 오만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었다고 질책했습니다. 하지만 이 신문은 윤 대통령의 사면과 여당의 공천이 이뤄졌을때 제대로 비판하지 않았습니다. 14일자 사설에서는 대통령실의 부실한 인사검증과 자질 부족 인사들에 대한 일방적 임명을 꼬집었지만 앞서 여러 의혹이 제기될 때는 이를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중앙과 동아도 다르지 않습니다. 중앙일보는 12일자 사설에서 김행, 유인촌, 신원식 장관 인사가 독선적이었고, 결점많은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를 관성적인 밀어붙이기로 낙마시켜 35년 만의 사법부 수장 공백사태를 빚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들 인사를 윤 대통령이 지명했을 때는 별다른 이의제기를 하지 않았던 것과는 정반대의 보도태도입니다. 동아일보도 1년 넘도록 기자회견을 하지 않는 불통과 곳곳에 '내사람' 을 심어 국정을 주도하겠다는 오만, 직접 이념전쟁의 전사로 뛰어드는 독선에서 벗어날 것을 주문했지만 뒷북이라는 지적을 면키 어렵습니다.

보수언론의 갑작스런 윤 정부 비판은 위기의식에서 비롯됐다는 게 대체적인 해석입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내년 총선에서 질 수밖에 없고, 정권 재창출에도 적신호 켜진다는 보수진영의 절박감을 대변하고 있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실제 여권을 비판하는 사설과 칼럼의 바탕에는 윤 대통령의 전반적인 국정 기조는 옳다는 시각이 깔려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보수언론의 지적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진영을 떠나 권력에 대한 비판과 감시는 언론의 본령이라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충재의 인사이트> 뉴스레터를 신청하세요. 매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주필을 지냈던 이충재 기자는 오랜 기자 경험을 토대로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우리 사회 현안을 들여다봅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