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언론 신뢰도:진단과 처방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 언론의 신뢰도가 매우 낮다는 사실은 나라 안팎의 자료에 의해 두루 확인되고 있다(지난 글
'기자들이 스스로 고백한 한국 언론의 불량 품질' 참조). 그렇다면 한국 기자들은 자신이 공급하는 뉴스 상품의 품질이 이처럼 불량하게 된 원인을 무엇이라고 보고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자료가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18년 11월에 발간한 '한국의 언론신뢰도 : 진단과 처방'이라는 연구서인데, 현직 기자들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국 언론의 낮은 신뢰도 원인을 찾아보았다. 22개 언론사별로 1명씩 모두 22명의 현직 기자들을 상대로 2018년 9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매체 선별은 신문, 방송, 인터넷, 뉴미디어를 대상으로 매체의 성향, 연차별, 성별 등을 안배했다고 이 보고서는 밝혔다. 그 결과 선정된 심층 인터뷰 대상 언론매체(한글 가나다순, 영문 ABC 순서)는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이상 '신문'), 강원 MBC, 채널A, JTBC, KBS, MBC, OBS, SBS(이상 '방송'), 머니투데이, 오마이뉴스, 연합인포맥스, 프레시안(이상 '인터넷'), 뉴스타파, 닷페이스, 메디아티, 포브스, SBS비디오머그(이상 '뉴미디어') 이다.
이들 기자 22명에게 한국언론의 낮은 신뢰도의 원인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복수 응답 허용). '(낮은 신뢰도에 대한) 언론의 내적 요인 가운데 결정적인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오보, 왜곡보도, 선정보도 등 낮은 수준의 기사'가 원인이라는 응답이 81.8%(18명)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이 '정치적·이념적 입장에 기초한 정파적 보도'라는 응답으로 40.9%(9명), '기자의 전문성 취약'이라는 응답이 36.4%(8명) 순으로 나왔다.
이 결과는 지극히 상식적인 추론을 확인해주고 있다. 한국언론의 낮은 신뢰도는 저널리즘의 기본인 확인된 사실, 진실, 정확, 공정 등을 지키지 못해서 온다. 그 기본을 지키지 못하는 보도가 다름 아닌 '오보, 왜곡보도, 선정보도 등 낮은 수준의 기사'이고, '정치적 이념적 입장에 기초한 정파적 보도'인 것이다.
오보의 발생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