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에게 총선 주연을 넘겨라' 조선일보의 주문이다.
대통령실
슬로우레터 2024년 1월 4일 (목).
1. 누가 음모론을 말하는가.
2. 이재명 공격한 피의자는 미래통합당 당원 출신.
3. 민주당의 이재명 구심력이 강해졌다.
4. 증오정치와 분노투표, 이대로는 안 된다.
5. 윤석열이 병문안을 가야 한다.
6. 피할 수 있었던 논란.
7. 기자회견 대신 민생 토론회?
8. "류호정처럼 되지 말자."
9. 윤세영의 눈물? 협박?
10. 제2의 레고랜드 사태?
11. 금투세 폐지하면 세수 1조3000억 원 증발.
12. 한국의 중도는.
13. 90초 룰, 한국이라면 어땠을까.
14. 비타민보다는 야채와 과일을.
15. 마실 생태밥상의 실험.
16. "회사를 위하여", 이것만으론 안 된다.
17. 얌전한 환자만 입원한다.
18. "다들 비난해도 윤석열 찬양하고 싶다."
19. 올해 초등학교 입학생 40만 명도 안 된다.
20.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공습했다.
21. 우회전 차량 65%가 일시 정지 안 지킨다.
22. 이재명 피습 사건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교훈.
23. 민주당에 쉽지 않은 선거가 될 수 있다.
24. "멋지게 사과해주면 좋겠다", 김순덕의 호소.
25. 아무리 조연이 뛰어난들.
_________________________
누가 음모론을 말하는가.
- 이재명(민주당 대표) 피습 사건 이틀 뒤, 오늘 아침 신문도 음모론이 넘쳐난다. 소셜 미디어에 도는 음모론을 비판하는 것 같지만 결국 이들 언론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는 양상이다.
- 해묵은 '가짜뉴스' 담론도 다시 떠돌지만 문제는 이런 헛소리에 힘을 실어주는 언론이다.
갈등과 혐오가 문제라고 비판하면서 은근슬쩍 편승하는 보도도 많다.
이재명 공격한 피의자는 미래통합당 당원 출신.
- 4~5년 가까이 미래통합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국민의힘으로 바뀌기 전이다.
- 지난해 3월 민주당에 입당해서 아직 당적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태극기 집회에 나갔다는 주변 인물들 진술도 나왔다.
-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 조선일보는 "
은둔형 정치 훌리건"이란 표현을 썼다. "보수 정당 지지 성향이 강했던 사람이 민주당 쪽으로 정치 성향이 바뀌었다고 들었다"는 이웃의 증언도 있다.
민주당의 이재명 구심력이 강해졌다.
- 신당 창당 논의도 탈당도 주춤한 상태고 재판은 줄줄이 연기됐다. 총선 이전에 1심 선고가 어려울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이낙연(전 국무총리)이 이번 주에 탈당 선언을 하려고 했는데 일단 관망하기로 했다.
- 윤석열(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김건희 특검법의 재의결 일정도 미뤄졌다. 총선이 임박해서 특검법이 통과되는 게 국민의힘에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증오정치와 분노투표, 이대로는 안 된다.
- 동아일보는 "
극단적 내용의 정치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 문화가 만들어낸 '집단극화'(group polarization·개인보다 집단의 의사결정이 더 극단적인 방향으로 흐르는 현상)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화와 타협을 포기한 채 상대를 적으로 돌리는 진영 정치의 극대화가 부른 '증오정치' 문화가 바이러스처럼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 조진만(덕성여대 교수)은 "21대 총선이 코로나바이러스 속에 치러졌다면, 22대 총선은 증오 바이러스가 창궐한 가운데 치러질 것"이라며 "여야가 '증오 없는 선거를 치르자'는 신사협정이나 어젠다 세팅(의제 설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내영(고려대 교수)은 "정치인들이 용기를 내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정치인들도 언제 칼 맞을지 모르는 상태가 됐는데 더 이상 눈치 볼 일이 아니다"라고 했다.
윤석열이 병문안을 가야 한다.
-
원로들을 내세운 조선일보의 제안이다. 윤여준(전 환경부 장관)은 "마침 상황이 이렇게 됐으니 대통령이 병문안을 간다든지 해서 물꼬를 틀 수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 신율(명지대 교수)은 "야당은 모든 것을 단독 처리하려 하지 말고 여당은 너무 손쉽게 거부권을 요구하려 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쟁점과 현안.]
피할 수 있었던 논란.
- 정청래(민주당 최고위원)가 "목은 민감한 부분이라 후유증을 고려해 잘하는 곳에서 해야 한다"면서 "가족들이 원한 것"이라고 한 게 논란이 됐다.
- 이경원(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은 "가까스로 쌓아올린 외상 응급 의료체계를 부정하며 허물어 버린 것"이라며 "지역의대 공공의대 신설과 지역의사제를 주장하는 이중적인 정치권 행태에 가슴을 치게 된다"고 말했다. "이런 식이라면 어느 국민이 지역 병원을 믿고 응급 의료체계를 신뢰하겠느냐"는 이야기다.
- 뉴스1이 만난 익명의 심혈관 전문의는 "그렇게 중요한 부위에 60%나 손상을 입었는데 그 부위를 손으로 눌러서 서울까지 갈 수 없다는 건 의료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상식"이라고 지적했다.
- 또 다른 심혈관 전문 교수는 "
내경정맥 60% 손상이라면 피가 콸콸 쏟아졌을 텐데 이런 상태의 환자를 혈관을 누른 채로 헬기를 타고 서울까지 올라왔다면 이런 결정을 내린 사람들은 살인미수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 대신 민생 토론회?
- 윤석열 정부
집권 3년 차인데 기자회견은 단 한 차례밖에 없었다.
- 생중계도 아니고 녹화 요약본으로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한겨레는 "결국 대통령실이 사전에 참여자와 주제를 선별하고, 토론회 내용도 편집해 내보내는 '정책 홍보의 장'이 될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이 있는지 없는지를 물어봐야 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