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 메일
http://omn.kr/1ubay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공유하기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 사회
  • 기사47
  • 연재 중
  • 우희창외 5명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우희창 (humanpro) 내방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김영호 (5670young) 내방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10만인클럽 회원 심규상 (djsim) 내방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우희철 (photo291) 내방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나재필 (jpna22) 내방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10만인클럽 회원 임재근 (seocheon)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47화'12.12 가해자가 내 옆에'... 잠들지 못하는 저항자들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7] 12.12 군사 쿠데타 주역들

    12.12 군사반란은 무혈 쿠데타에 가까웠던 5.16 군사정변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무지막지했다.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를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은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 등을 불법적으로 강제 연행하고 군권을 장악해...
    22.05.18 16:36 ㅣ 우희철(photo291)
  • 46화대전현충원에 안장된 5.16군사쿠데타 세력들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6] 김동하·최주종·박창암은 친일 경력도

    5월 16일은 육군 소장 박정희가 주동이 되어 일으킨 5.16 군사쿠데타 발발 61년이었다. 1961년 이날 새벽, 박정희 주도로 육군사관학교 8기생 일부 군인 등 장교 250여 명과 사병 3500여 명의 쿠데타 세력이 한강을 건너 방송국을 비롯...
    22.05.17 18:15 ㅣ 우희철(photo291)
  • 45화부인 덕에 대전현충원에 묻힌 친일행위자들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5] 서훈 취소돼도 이장시킬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친일반민족행위자라 하더라도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서 사망한 사람' 이외의 자격이 있다면 현행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국립묘지법)에 의해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보고...
    22.05.11 09:38 ㅣ 임재근(seocheon)
  • 44화한해 100만명이 찾는 걷기 명소... 대전현충원 보훈둘레길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4] 7구간 총 10.04㎞로 대전의 ‘걷고싶은 길’로 뽑혀

    보훈둘레길은 말 그대로 국립대전현충원의 외곽을 따라 크게 도는 길이다. 하지만 단순한 길은 아니다. 잘 보존된 현충원의 자연환경 속에 보훈이라는 정신적 의미를 담고 있다.이 길은 수많은 대전시민이 찾는 사랑을 받는 휴식처...
    22.05.04 14:48 ㅣ 우희철(photo291)
  • 43화사람 구하러 헬기에 오른 그들, 왜 목숨을 잃었나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3] 2000년 이후 민·관 헬기 사망·실종자 46명

    2014년 7월 17일 오전 10시 53분께 광주광역시 도심인 광산구 장덕동 수완지구 부영아파트 옆 인도에 소방헬기 1대가 추락했다. 강원도소방본부 제1항공대 소속 AS350N3 기종 헬기로 탑승자 5명이 모두 숨졌다.당시 보도에 따르면 한 목격자는 ...
    22.04.25 13:37 ㅣ 나재필(jpna22)
  • 42화사망일자, 사망장소가 똑같은 10명의 사람들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2] 안산 단원고 선생님과 세월호 승무원들

    국립대전현충원 순직공무원묘역 11호부터 20호까지 10개의 묘는 모두 사망 날짜가 동일하다. 2014년 4월 16일. 사망 장소는 전남 진도, 소속은 단원고등학교로 모두 같다. 학생들을 구하고 숨져간 세월호 선생님의 묘다. 한날한시...
    22.04.15 06:08 ㅣ 임재근(seocheon)
  • 41화천안함 피격에 이은 링스 헬기 추락... 해군의 잇단 악재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41] 2010년 사고로 권태하 대위 등 4명 순직

    링스(Lynx) 헬기는 '잠수함의 천적'이라고 불리지만 '조종사들의 천적'이라는 악명도 있다.링스는 1991년 우리 해군에 도입돼 MK-99형, 개량형인 MK-99A형 등 모두 20여 대가 운용되고 있다. 청해부대 일원으로 소말리아 해역에 파견돼 해적 퇴...
    22.04.08 16:35 ㅣ 나재필(jpna22)
  • 40화천안함 구조하다 침몰한 '98금양호'의 비극

    [살아있는 역사교과서 대전현충원 40] 투쟁 끝에 ‘의사자’ 인정... 정봉조 1명만 현충원에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찬란한 슬픔의 봄, 어떤 '목숨 값'을 위해 살아갈 것인가. 찬란한 부활의 봄, 어떤 '목숨 꽃'으로 다시 피어날 것인가." 천안함 ...
    22.03.31 10:03 ㅣ 나재필(jpna22)
  • 39화46인 용사도, 살아남은 장병들도 "불명예 씻어내지 못했다"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9] 천안함 승조원들의 안타까운 죽음

    2010년 4월 29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는 천안함 '46용사(勇士)' 합동안장식이 엄수됐다. 천안함 피격사건이 발생한 지 33일 만이었다.이날 안장식은 대전현충원이 문을 연 1979년 이래 최대 규모였다. 당시 장의위원장인 김성찬 해군참모총장과...
    22.03.24 09:49 ㅣ 심규상(djsim)
  • 38화월드컵 응원 뜨겁던 그 날, 서해에는 포성이 울렸다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8] 제2연평해전 발발

    국립대전현충원은 매년 3월 넷째주 금요일을 '서해 수호의 날'로 지정하고 각종 행사를 연다.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으로 희생된 55용사를 기리고, 국민의 안보의식을 북돋으며 국토 수호 결의를 다지기 위한 법정 기념일이다. ...
    22.03.14 10:13 ㅣ 심규상(djsim)
  • 37화28년 전 헬기 추락으로 순직한 공군참모총장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7] 1994년 조근해 공군참모총장 순직

    충격적인 대참사였다. 문민정부의 출범과 함께 새로운 변신을 시도하던 공군은 1994년 3월 5일 조근해 참모총장 부부 등 6명의 생명을 졸지에 앗아간 헬기 추락 참사에 비통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이들은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4...
    22.03.07 18:33 ㅣ 나재필(jpna22)
  • 36화한꺼번에 6명 순직한 최악의 참사 '홍제동 화재'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6] 화재 현장에서 순직한 소방관들

    소방관은 화재를 비롯한 재난, 재해를 예방하고 대응하며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구조 구급활동을 통해 국민의 재산과 신체를 보호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하는 공무원이다. 따라서 화재현장에서, 교통사고 현장에서, 태풍피해 현장에서, 폭우 현장에서,...
    22.02.28 11:54 ㅣ 나재필(jpna22)
  • 35화윤장호 하사, 자살폭탄 테러로 아프간에서 순직... "한미동맹의 상징"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5] 해외에서 숨진 우리 군인들

    베트남 파병 후 해외에서 적대세력에 의한 첫 인명피해2007년 2월 27일 오전 10시20분 아프가니스탄 카불 북동쪽 65㎞ 떨어진 미군의 공군기지인 바그람 기지 정문에서 연이은 두 건의 자살폭탄테러가 일어났다. 바그람 기지...
    22.02.21 15:17 ㅣ 나재필(jpna22)
  • 34화"나 할 말 많다" 미그기 몰고 귀순한 북한군 조종사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4] 15억 보상금 받았지만 말년엔 죄책감에 시달려

    1983년 2월 25일 오전 10시 58분, 서울 등 수도권에 갑자기 대공 경보 사이렌이 울렸다. "여기는 민방위본부입니다. 지금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에 경계경보를 발령합니다. 국민 여러분 이것은 실제 상황입니다. 북한기들이 ...
    22.02.14 11:44 ㅣ 나재필(jpna22)
  • 33화'15일 8시간', 최장생존시간 기록한 전역 해병대원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3] 1967년 청양 구봉광산 매몰사건 생존자 김창선

    지난 1월 10일 대전국립현충원에서는 해병 7기 김창선 일병(향년 90세)의 안장식이 가족과 지인들이 모인 가운데 조촐하게 치러졌다.그는 지난 1950년 해병대원으로 근무하던 중 6.25전쟁이 발발, 옹진반도 전투에 참가했고 한 쪽 ...
    22.02.07 10:12 ㅣ 우희철(photo291)
  • 32화"탈출하겠다... 아, 전방에 마을이 보인다, 탈출불가"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2] 민간인 피해 막고 산화한 이상희 대위

    지난 1월 11일 임무 수행 중 F-5E 전투기 추락사고로 순직한 조종사 심정민(29) 소령(1계급 특진 추서)이 1월 14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영면에 들었다.심정민 대위는 지난 11일 오후 1시 43분경 F-5E 전투기를 타고 수원기...
    22.01.31 18:20 ㅣ 우희철(photo291)
  • 31화후배 소방관 먼저 대피시키고 희생된 김형성 소방관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31] 화마에 스러져간 소방관들

    소방관은 화재를 비롯한 재난, 재해를 예방하고 대응하며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구조 구급활동을 통해 국민의 재산과 신체를 보호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하는 공무원이다. 따라서 화재 현장에서, 교통사고 현장에서, 태풍피해 현장에서, 폭우 현장에...
    22.01.24 09:35 ㅣ 나재필(jpna22)
  • 30화'탈북 국군포로' 전용일, 50년 만에 그리던 고국 품에

    [살아 있는 역사교과서 대전현충원 30] 한국전쟁 중 전사처리…2003년 아들과 목숨 건 탈출

    전용일은 6·25전쟁 막바지인 1953년 7월 강원도 제암산 전투중 중공군에 생포돼 북으로 끌려간 국군포로다.1931년 8월생인 전씨는 고향인 경북 영천군 신영면에서 농사를 짓던 중 전쟁이 터지자 만 19세의 나이로 입대해 6사단 19연대 3대대...
    22.01.19 09:51 ㅣ 나재필(jpna22)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