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사를 지으려면 인가나 다른 밭에서 뚝 떨어져 있는 땅을 구해야 한다.
조계환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인증 심사가 철저해지고, 수치로 파악할 수 있는 농약잔류검사가 강화됐다. 원래 친환경 인증은 영농기록이라든가, 농사짓는 과정에 대한 평가도 굉장히 중요한데, 이보다는 수시로 측정하는 농약 잔류검사 결과가 가장 중요한 상황이 됐다.
요즘에는 농약 잔류된 인증 농가를 찾아 인증 취소시키는 것으로 실적을 내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다. 친환경 인증 농가가 몰래 화학농약을 사용하기라도 한다면 반드시 적발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소비자 입장이라면 한국의 친환경 인증 농산물은 정말 믿을만하다는 생각도 뒤따른다. 이웃 밭에서 날아온 미량의 화학농약 성분도 허용되지 않는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통계에 따르면 2021년 3968농가가 인증취소가 됐는데, 이 중 대부분이 이웃이 뿌린 비산농약 때문에 취소된 것이라고 한다. 이에 친환경 농가들이 억울함을 호소해 현재 법 개정이 추진 중이라는데, 아직 뚜렷한 개선안이 나오지는 않았다.
유기농사 지으려면 '좋은 이웃'을 만나야 한다?
유기농은 화학농법에 비해 잡초를 제거해야 하고, 상품성 있는 농작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몇 배 더 노력을 해야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유기농사법을 익히는 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다.
정부에서 인증한 유기농 자재만을 활용하면 유기농이 가능하고, 수천 년 전부터 이어온 유기농의 전통이 남아 있어 조금만 노력하면 쉽게 배울 수 있다. 유기농 선배들을 찾아가 일하면서 배울 수도 있다. 하지만 제일 어려운 것은 주변에서 농약이 날아오지 않을 만한 땅을 찾는 일이다. 좁은 땅덩이를 가진 나라에서 주변에서 농약이 날아오지 않게 하는 일은 참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