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찌민 전쟁 박물관전시물
김무환
20세기 한국은 두 차례 전쟁을 치렀습니다. 하나는 동족상잔의 비극인 한국전쟁이며, 다른 하나는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죠. 한국전쟁이야 말할 것도 없이 큰 상처를 남긴 전쟁으로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지만 2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대해선 아는 이가 얼마 되지 않습니다. 8년 동안의 참전, 확인된 국군 사망자만 5000여 명에 이르는 이 전쟁은 한국에선 다른 이름으로 더 유명합니다. 베트남전이 그것이죠.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한국에겐 상처뿐인 역사입니다. 전쟁을 촉발시킨 통킹만 사건(미해군 구축함에 대한 북베트남 어뢰정의 공격 사건)부터가 미국에 의해 조작된 자작극이란 사실이 공개됐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당시에도 국제적으로 정당성이 의심받고 있던 제국주의적 침탈전쟁에 한국이 주도적으로 요청해 참전했다는 사실은 비판의 소지가 다분합니다.
심지어 국군 전쟁포로들에 대해 방관으로 일관해 적지 않은 수가 북송되도록 방치한 점, 1만 명에 이르는 부상자와 고엽제 피해자 등 참전용사들에 대해 국가적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 일부 참전부대가 베트남 현지에서 민간인 학살 등 전범행위를 자행했다는 점 등은 결코 외면해선 안 되는 수치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반면 참전으로 혹여 있을지 모를 주한미군 철수를 방지했다는 점, 이후 미군과의 군사동맹과 경제적 협력이 진전됐다는 점 등에선 분단국가이자 개발도상국이었던 한국의 고충이 읽히기도 하지요. 미국이 여전히 한반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는 국가란 사실을 고려하면 우리는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여파 속에서 오늘을 살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역사적으로 깊이 연구하고 재평가해 시민들에게 널리 교육할 필요가 여기에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