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사진] '아들 조형물' 꼭 껴안은 김용균 엄마

태안화력 앞 고 김용균 3주기 현장 추모제... "일하다 죽지 않게, 차별받지 않게"

등록 2021.12.07 14:09수정 2021.12.07 14:09
1
원고료로 응원

165개 단체로 구성된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위원회가 7일 12시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현장추모제를 열었다. 사진은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이 태안화력 앞 김용균 추모 조형물을 안고 있는 모습. ⓒ 신문웅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다 숨진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주간 행사가 7일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개최됐다.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일하다 죽지 않게, 차별받지 않게' 구호가 울러 퍼졌다.

165개 단체로 구성된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위원회'(아래 추모위)는 이날 낮 12시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현장 추모제를 열고 "정부와 여당은 2022년까지 산재사망률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지만 현실은 요지부동"이라며 "질병과 사고와 죽음을 가져오는 환경과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수치는 달라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용균의 동료들은 아직도 하청"이라며 정규직화 이행을 촉구했다. 또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5인 미만 사업장과 특수고용노동자에게도 적용하라"고 요구했다.
 

165개 단체로 구성된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위원회가 7일 12시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현장추모제를 개최하고 있다. ⓒ 신문웅


  

165개 단체로 구성된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위원회가 7일 12시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현장추모제를 개최하고 있다. ⓒ 신문웅


  

165개 단체로 구성된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위원회가 7일 12시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현장추모제를 개최하고 있다. ⓒ 신문웅


  

165개 단체로 구성된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3주기 추모위원회가 7일 12시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현장추모제를 개최하고 있다. ⓒ 신문웅

#고 김용균 #태안화력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방자치시대를 선도하는 태안신문 편집국장을 맡고 있으며 모두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2. 2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3. 3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