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가 지구온난화에 대비해 진행 중인 '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육 및 광합성 반응 연구' 시설 모습.
바른지역언론연대
아열대농업에 힘 쏟는 '전남'을 가다농촌진흥청과 부설기관들이 큰 그림으로 아열대농업을 연구한다면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농업기술원은 지자체 실정에 맞는 작물 연구와 기술 지원을 맡는다. 각종 사업 지원으로 농민들과 현장에서 만나는 단위는 기초자치단체와 시‧군의 농업기술센터다.
농촌진흥청이 2017년 말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진흥청 선발 주요 아열대작물 20종의 재배현황은 1725농가에 면적 354.2ha 규모다. 이 가운데 공심채, 롱빈 등 12종의 주요 채소는 1360농가가 245ha 규모로 재배하고 있다. 망고, 백향과(패션프루트) 등 주요 과수 8종(바나나 제외)의 재배에는 109.2ha에 365농가가 참여하고 있다.
이를 지자체별로 보면, 과수 부문은 제주가 규모 면에서 월등히 앞선다. 재배면적이 41.4ha로 전국의 38%를 차지한다. 반면 채소는 전남 81.9ha, 전북 81.2ha로 엇비슷한 가운데 전국 최다 재배면적을 자랑한다.
이들 중 뉴스사천이 주목한 곳은 전남이다. 전남농업기술원은 1994년부터 과수, 2009년부터 채소 연구를 시작하는 등 아열대작물 연구에 발 빠르게 대응해 왔다. 이를 보여주듯 전남농기원 입구에는 아열대식물원이 조성돼 이색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전남농기원 원예연구소에서 최소의 난방으로 고품질의 작물 생산을 연구하는 조윤섭 농업연구관은 아열대작물 재배에 따른 현실적 고민들을 털어놨다.
"아열대작물의 다양한 기능성에 주목하는 농민들도 있지만 다른 작물에 비하면 생산농가가 턱없이 적다 보니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게 사실이다. 농민들은 음료나 잼 등 1차 가공식품 생산에 머물고 있다. 가온시설이나 바람막이시설 등 초기 투자비용이 큰 만큼 농민들은 아열대농업 부문에도 국가 차원의 정책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일종의 모델케이스가 필요하다는 얘긴데, 자칫 특혜시비에 휘말릴 수 있어 이래저래 조심스러운 게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