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부산대책위 방문에 문 닫은 새정치민주연합

새월호 대책위 항의 농성 준비하자 당사 잠그고 전원 철수

등록 2014.08.08 18:00수정 2014.08.08 18:00
2
원고료로 응원
a

세월호참사 부산대책위는 8일 오후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합의에 항의하는 의미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부산시당사 점거 농성을 추진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대책위 방문에 당사 문을 닫은 채 당직자들이 전원 철수했다. ⓒ 세월호참사 부산대책위


a

세월호참사 부산대책위는 8일 오후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합의에 항의하는 의미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부산시당사 점거 농성을 추진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대책위 방문에 당사 문을 닫은 채 당직자들이 전원 철수했다. ⓒ 세월호 부산대책위


여야가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뜻에서 크게 물러난 특별법 처리에 합의하면서 부산에서도 정치권을 향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막판에 입장을 바꿔 새누리당과 특별법에 합의한 새정치민주연합(아래 새정치연합)을 향한 항의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부산시당은 세월호 참사 부산대책위원회(아래 대책위)의 항의성 방문이 예정되자 당사 문을 닫아버린 채 모든 당직자들이 철수해버리면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당초 8일 오후 4시 초량동 새정치연합 부산시당사를 찾아 점거 농성에 돌입할 계획이었던 대책위를 기다린 건 불꺼진 당사였다.

대책위는 새정치연합의 이러한 대응을 이해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새누리당도 하지 않는 행동을 새정치연합이 하고 있다는 점이 놀라울 따름"이라며 "세월호 유가족의 뒷통수를 치더니 이제 시민들의 뒷통수를 치고 있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대책위는 이날 밝힌 입장을 통해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합의를 비판했다. 대책위는 "두 당이 국회에서 통과시키기로 약속했다는 특별법은 실질적인 수사권도 기소권도 없는 이름뿐인 특별법"이라면서 "실제로는 대통령 입맛에 맞게 특검을 구성할 수 있는 이 법으로는 어떤 진실도 밝힐 수 없다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책위는 새정치연합을 향해 "유가족과는 한마디의 상의도 없이 (특별법을) 새누리당과 합의한 것은 세월호 희생자를 두 번 죽이는 것이고 세월호 유가족을 짓밟는 일"이라고 쓴소리를 날렸다.

그러면서 대책위는 "새누리당과의 야합을 전면 백지화하고 국민과 유가족의 뜻에 맞게 수사권과 기소권이 있는 특별법을 만들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면서 ▲ 문재인·조경태·배재정 등 부산지역 의원의 입장 발표와 유가족 사죄 ▲ 특별법 합의 파기 등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해 새정치연합 부산시당 관계자는 "휴가 등으로 당사에 있던 당직자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급작스러운 방문에 우선 철수를 한 것 같다"면서 "시당 입장에서도 뾰족한 수가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새정치연합은 반발이 계속된 뒤에야 당직자를 보내 대책위와 면담을 진행했다.
#세월호특별법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3. 3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4. 4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5. 5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