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세화가 세상을 떠난 지 얼마 전 1년이 됐다. 기꺼이 '선생'이라는 호칭으로 부르기에 아깝지 않은 흔치 않은 어른이었던 홍세화를 십여 년 전 딱 한 번 만나봤다. 그는 인권연대에서 주최한 수요대화모임 초청강사였다. 당시 홍세화는 차별과 낙인에 대해 얘기했다. 그는 한국에서 "너 전라도 사람이냐"는 질문, 유럽에서 "너 유대인이냐"는 질문이 어떤 맥락 속에 있는지 예로 들었다. 그 이야기가 오래도록 기억에 남아 가슴에 아프게 박혔다.
한국 사회에서 "너 전라도 사람이냐"는 질문은 구별짓기와 낙인찍기를 상징한다. "너 경상도 사람이냐" 혹은 "너 서울 사람이냐"는 질문에서는 그런 맥락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미국에서 "너 기독교도냐"와 "너 무슬림이냐"라는 두 질문과 본질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서울서부지법 폭동에서 폭도들이 "너 중국 사람이냐"라고 묻는 장면을 뉴스에서 봤는데 홍세화가 말했던 특정한 질문들과 하나도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히 한국 사회에서 지역차별은 많이 줄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이제는 서울이 갖는 지위가 너무 압도적이라 그런 건지도 모르겠다. 서울이라는 기준에서 본다면 사실 부산이나 내 고향 마을이나 아무 차이가 없는 똑같은 '시골'이다. 그래도 어떤 기억은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는다. '지역감정'이라는 근본없는 물타기 용어로 통용되던 호남차별은, 차별이 흔히 그렇듯이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대학 시절 어떤 자리에서 "전라도 사람은 뒷통수 잘 친다"고 확신하는 사람들과 얘길 해본 적이 있다. 그들은 "주변 사람들이 다 그렇게 얘기한다. 사람들이 다 그렇게 말하는 건 뭔가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혹시나 싶어 전라도 사람한테 배신당한 적이 있느냐고 물어봤는데 그런 적도 없다. 그들은 알고 지내는 전라도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했다. 그들은 나와 인사한 지 한두 시간밖에 되지도 않았는데 내 앞에서 그런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했다. 그들은 내가 전라도 사람일 가능성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눈치였다.
그때 경험은 그냥 똥 밟았다 생각해버리면 그만일지도 모른다. 어차피 오래 만날 사이도 아니었다. 하지만 만약 상대방이 회사 상급자나 거래처 간부처럼 뭔가 나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자신의 고향을 밝히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운 상황에 빠질 가능성은 생각보다 훨씬 많았다.
이런 상황에 대처하는 전라도 사람의 태도 가운데 많이 나타나는 게 그냥 고향 얘기를 하지 않는 것이다. 이떤 분들은 "나는 태어나기만 전라도일 뿐 어릴 때 이사 와서 잘 몰라요"하며 고향 얘기가 나오는 것 자체를 회피한다. 이런 식으로 서울 사람 행세하던 고위공무원들을 여럿 봤다. 좀 더 심한 사람들은 서울이나 인천 같은 적당한 곳으로 둘러댄다. 짧게나마 대통령선거 후보를 지냈던 한덕수는 고향을 서울이라고 했던 경우였다. 예전 신문기사를 찾아보니 1996년과 1997년에는 분명히 서울 출생이라고 돼 있다.

▲"저도 호남사람 입니다"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5월 2일 오후 첫 지방 일정으로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았으나 광주시민들 저지로 묘역은 참배하지 못했다. 한 전 권한대행은 묘지 밖 공터에서 20여 분간 서서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라고 외쳤으나 시민들은 "내란공범 한덕수 물러나라"며 끝까지 길을 내어주지 않았다. ⓒ 김형호
초등학생 때 고향 전주를 떠나 서울로 이주했고 서울에서 초중고는 물론 대학까지 졸업하고 수십년을 서울에서 살았으니 서울을 고향이라고 하는 게 아주 이해 못할 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두 가지는 불편했다. 하나는 전주가 고향인 걸 알고 '전주 출생'이라고 쓴 기자들에게 굳이 전화해서 고쳐달라고 했다는 증언을 들었을 때였고, 또 하나는 1998년에는 '전주 출생'이라고 돼 있는 신문기사를 봤을 때였다.
고향을 숨기거나 다른 곳으로 둘러대는 사람을 비난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그들이 느꼈을 고충을 충분히 이해하기 때문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이랬다 저랬다 하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이 불편한 것 또한 사실이다.
한덕수는 지난 5월 1일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다음날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았다가 문전박대를 당하자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미워하면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 신문에서 이 발언을 듣고 보니 한덕수에게 따뜻하고도 구수한 고향말로 대답을 해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랑이 다 얼어죽었다냐?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권연대 주간 웹진 <사람소리>에도 실립니다.글쓴이 강국진 인권연대 운영위원은 현재 서울신문사에 재직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