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아나운서 시절의 신동호 ⓒ MBC 제공
위원 과반도 채우지 못한 2인 체제의 방송통신위원회가 또다시 EBS 사장 선임을 강행했다. 이에 EBS노조와 간부, 야권 성향 이사들이 집단 반발하면서 적지 않은 내홍이 예상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6일 전체회의를 열어 신동호 EBS 이사를 EBS 사장으로 선임, 의결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이날(26일)부터 2028년 3월 25일까지 3년이다. 현재 EBS 이사이기도 한 신동호 신임사장은 MBC 아나운서 출신으로 이진숙 방통위원장과도 인연이 있어, '사장 내정설'이 파다했던 인물이다.
여야 대통령 추천 5인 위원으로 구성되는 방통위는 대통령 추천 위원(이진숙, 김태규) 2인 체제에서 신동호 사장 임명안을 강행했다. EBS 노조 등이 사장 선임 과정에 신동호 이사와 인연이 있는 이진숙 위원장이 참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기피 신청을 냈지만, 방통위 2인 체제는 이 역시 각하했다.
법원이 방문진 이사 판결 등에서 "입법 목적 저해 우려"가 있다며 2인 체제 의결의 위법성을 지적한 것을 묵살한 결정이기도 하다. 신임 사장 임명에 대해 EBS 노조는 물론 보직 간부, 이사들도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들 EBS 구성원들은 '2인 체제'에서 위법하게 선임된 사장은 인정할 수 없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EBS노조는 이날부터 사옥 앞에서 신임 사장 출근을 막을 계획이다. 김성관 언론노조 EBS 지부장은 이날 "전례에 따르면 신임 사장이 오늘도 출근 시도를 할 수 있어 조합원들과 함께 출근 저지 투쟁을 할 것"이라면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차원에서 기자회견 등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지부장은 이날 오전 조합원들에게 보낸 별도의 호소문을 통해 "방통위 2인 체제로 사장을 임명하려는 시도는 공영방송의 운영 원칙을 훼손할 수 있으며 민주적 절차에 대한 신뢰도 큰 상처를 남길 수 있다"면서 "법과 원칙을 존중하지 않은 인사는 구성원 신뢰를 받기 어렵고 조직의 운영 안정성과 공정성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불법적 절차로 임명된 사장의 출근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EBS 노동조합은 불투명하고 위법 논란이 큰 사장 임명 절차에 맞서 끝까지 단호하고 정당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헀다. 앞서 EBS 노조는 지난해 김성동 부사장 임명 당시에도 일정 기간 출근 저지 투쟁을 벌였는데, 이번 사장 선임과 관련한 출근저지 투쟁은 강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28일 정부과천청사 방통위에서 열린 4차 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2.28 ⓒ 연합뉴스
EBS 간부 50여명도 신임 사장 임명에 반대하는 결의문을 내면서 노조와 같은 입장을 보이고 있다.
EBS의 부장 이상 보직 간부 53명은 지난 25일 결의문을 통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위법성이 지적된 2인 체제 하에서 EBS 신임 사장 선임을 강행하고 있으며 이는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이러한 절차에 따라 임명된 인사를 공영방송의 사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 간부들은 방통위의 사장 선임 강행에 맞서 보직 사퇴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정배 EBS 정책기획센터장은 이날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보직 사퇴까지 염두하고 결의문을 낸 것"이라면서 "보직 사퇴서를 내더라도 사장이 수리를 하지 않을 수는 있겠지만 사장에 대한 간부들의 대면 보고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유시춘 이사장 등 EBS 야권 이사들은 사장 선임과 관련해 소송전에 돌입했다. 유 이사장은 "EBS 사장 임명 취소 소송과 집행정지 신청을 동시에 낼 것"이라면서 "이사회 다수를 차지하는 야권 이사들도 신 사장 선임을 인정하지 않는다. 다수 이사들이 거부하면 이사회도 성립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유 이사장은 "2인 체제에서 임명을 강행한 것도 문제이고, 임명된 사장은 과거 국민의힘 후보 출마를 하는 등 뚜렷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그동안 정치 논란에서 자유로웠던 교육방송이 이번 사장 선임을 계기로 정치적 논란의 소용돌이로 휘말리지 않을까 매우 우려스럽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