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덕대교 쪽에서 준설을 하고 있는 모습 ⓒ 대전환경운동연합

▲준설 현장에서 확인된 흰꼬리수리 ⓒ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시가 대규모로 추진하고 있는 3대 하천 준설로 인해 겨울철새가 급감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과학적인 조사나 근거도 없이 강행되고 있는 무분별한 하천준설은 예산을 낭비할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를 회복불가능 한 상태로 만들고 있다"면서 준설 중단을 촉구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해 12월 14일과 지난 1월 25일, 2차례에 걸쳐 대덕대교에서 금강합류지점에 이르는 약 13km 구간의 갑천 겨울철새 서식현황 조사를 진행했다. 한쪽 제방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체 조류를 측정하는 '단안전수조사' 방식이었다.
두 단체가 4일 공동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조사결과, 지난해 12월 조사 시에는 63종 3,876개체였으나. 1월 조사 때에는 59종, 2,436개체로 줄었다. 개체수와 종수 모두 감소된 것이다. 이처럼 한달여 만에 철새의 개체수와 종수가 줄어든 이유는 현재 대전시가 진행하는 대규모 준설 때문이라는 게 두 단체의 분석이다.
실제로 대전시는 현재 170억원을 투입해 대전 3대 하천 20개 지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준설을 시행하고 있다. 이중 8곳이 이번 겨울철새 조사지역 내에 위치해 있고 이곳에서만 약 20만톤을 준설하고 있다. 지난해 완료한 원촌교 구간 까지 포함하면 사실상 전구간 준설을 하는 것이다. 두 단체가 처음으로 조사한 지난해 12월은 준설이 시작되기 전이며, 1월 조사 때에는 대규모 준설이 진행된 이후이다.

▲준설 현장에서 피해있는 겨울철새들 ⓒ 대전환경운동연합

▲준설하면서 설치된 오탁방지막 하류 ⓒ 대전환경운동연합
두 단체는 "준설 전후 하천 생태계의 심각한 교란이 개체수와 종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중 원앙, 알락오리, 쇠오리, 가마우지의 개체수 감소가 눈에 띈다"면서 "특히 원앙, 알락오리, 쇠오리는 수면성 오리로 낮은 수심에서 먹이를 찾으며, 하천변의 모래톱이나 하중도에서 휴식을 취하는 종이기에 서식지가 훼손되면서 개체수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이번 조사 결과 지난해 12월에 16개체가 확인된 멸종위기 야생조류 큰고니는 1월 조사 때에는 6개체만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4개체가 월동했던 멸종위기종 노랑부리저어새도 1월 조사 때에는 확인하지 못했다.
따라서 두 단체는 "대전시는 준설과정에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분석조차 하지 않았고, 멸종위기종에 대한 대응방안도 마련하지 않았다"면서 "지금이라도 현재 진행하는 대규모 준설을 중단하고, 멸종위기종 서식처를 확인하고 보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두 단체는 홍수 등 재해예방을 위해 준설을 하고 있다는 대전시의 주장에 대해서도 "지난해에도 40억원을 들여 대규모 준설 사업을 벌였지만, 홍수가 또 다시 발생을 해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고, 학계 등에서도 이런 방식의 재해예방이 효과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