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 경남, 대구, 경북 등 영남권 수돗물에서 "낙동강 녹조의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주택과 식당 등 부산 1곳(수영구), 창원2곳(진해구) , 경남 1곳(김해 내동), 대구 2곳(수성구, 동구) 등 6곳의 먹는 물에서 독소가 검출됐다.
 부산, 경남, 대구, 경북 등 영남권 수돗물에서 "낙동강 녹조의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주택과 식당 등 부산 1곳(수영구), 창원2곳(진해구) , 경남 1곳(김해 내동), 대구 2곳(수성구, 동구) 등 6곳의 먹는 물에서 독소가 검출됐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올해 최악으로 치달은 낙동강 녹조가 먹는 물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과 농작물, 바다에 이어 일반 주택의 수돗물에서도 간 독성을 가진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됐다. 이는 고도정수 처리를 통해 독소를 모두 거르고 있다는 환경부, 지방자치단체의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부산 1곳, 창원 2곳, 경남 1곳, 대구 2곳...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은 31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영남권 지역 수돗물의 녹조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달 14일부터 25일까지 부산 6곳, 경남 9곳, 대구 5곳, 경북 2곳 등 모두 22곳에서 표본을 채수했다. 시·도민에게 최종 공급하는 정수된 물이 대상이며, 이 가운데 21곳은 가정집, 1곳은 식당이다. 국립부경대학교 식품과학부 이승준 교수팀이 분석했다.

결과를 보면 부산 수영구 1곳(0.56ppb), 창원 진해구 2곳(0.175ppb/0.092ppb), 경남 김해 내동 1곳(0.092ppb), 대구 수성구·동구 2곳(0.064ppb/0.051ppb) 등 6곳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왔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1ppb, 미국 연방 환경보호청(USEPA) 0.3ppb 기준보다는 낮지만, 미 캘리포니아주 환경건강위험평가국(OEHHA)의 음용수 기준 0.03ppb보다 높은 수치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남조류가 뿜어내는 간·생식 독성을 가진 독소다. 국내에는 아직 규제 기준이 없다. OEHHA는 마이크로시스틴이 정자나 난자에 미치는 독성까지 적용해 먹는 물 기준을 강화했다. 이를 비교하면 부산 수영구와 창원 진해구 사례는 각각 OEHHA의 2.03배, 5.8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4대강 사업 이후 지난 2016년 경남 창원 지역의 한 아파트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확인된 적이 있으나, 영남권의 여러 수돗물에서 같은 독소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단체는 사태의 심각성을 우려했다.
 
부산, 경남, 대구, 경북 등 영남권 수돗물에서 낙동강 녹조의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이 31일 부산시의회를 찾아 관련 내용을 언론에 공개하고 있다.
 부산, 경남, 대구, 경북 등 영남권 수돗물에서 낙동강 녹조의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이 31일 부산시의회를 찾아 관련 내용을 언론에 공개하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은 "원수와 정수장을 넘어 이번엔 집으로 가는 수돗물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라며 "낙동강은 현재 5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조류경보제가 발령되는 곳인데 OEHHA와 같은 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라고 설명했다.

임 위원장은 낙동강 양산 원동 배수장에서는 무려 1만6952ppb의 마이크로시스틴이 확인됐다는 보고도 곁들였다. 그는 "시민들이 이 식수와 농산물을 먹고 있다"라며 "전 국민의 밥상 문제, 건강권의 문제"라며 윤석열 정부에 해결책을 요구했다.

하천 전문가는 "충격적"이라는 말로 이번 조사 결과에 반응했다. 대한하천학회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는 "지난 10년간 녹조가 낙동강을 뒤덮었지만, 수돗물에서까지 나올 것이라고는 생각을 못했다. 환경부 등 정부는 정수하면 괜찮다고 하는데, 위험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 역시 정부를 상대로 "사회적 재난 수준으로 가고 있는 녹조 사태를 도대체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라고 질문을 던졌다.

일부 환경단체 회원은 법적 대응까지 시사했다. 짙은 녹색 빛의 녹조를 유리병에 담아온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설마설마했는데 수돗물에서 녹조의 독이 검출되니 무슨 물을 먹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개탄했다. 정 국장은 "그동안 국가가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 소송으로 반드시 피해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라며 "그리고 국가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이에 동조한 어용학자들에게 구상권을 청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조류의 독성은 현재까지 200여 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나라의 검사법으론 이를 모두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정확도를 이유로 4~6종을 분석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C-MS) 방식의 검사를 하고 있다. 반면 환경단체는 총 마이크로시스틴을 파악을 위해 미국이 사용하는 효소결합면역흡착분석법(ELISA) 방식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신뢰도를 놓고 논란이 일자 정부는 두 방식의 병행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과 공동 조사를 진행한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가 31일 부산시의회에서 영남권 수돗물 녹조 독성물질 검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과 공동 조사를 진행한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가 31일 부산시의회에서 영남권 수돗물 녹조 독성물질 검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태그:#수돗물, #먹는물, #녹조, #낙동강, #사회재난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