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치

서울

포토뉴스

제20대 대통령선거일인 9일 오전 서울 강서구 현대태권도 체육관에 마련된 화곡8동 제5투표소에서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받고 있다. ⓒ 연합뉴스
 
선거에서 '기계'가 도입된 것은 선거사무업무를 도와 선거비용을 절감하고 자동화를 통해 선거업무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에 한정됐다.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구축, 스마트폰 보급 등 요인에 따라 선거사무·보조의 역할로만 한정하기엔 디지털 기술이 진화했다. 유권자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디지털 기술에 익숙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사람이 중심이 되는 선거가 아니라 기계(인공지능)가 선거를 좌우하는 시대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대 대선의 추이

<한겨레> 기사를 통해서 알려진 바로는 한나라당 시절인 2006년 선거부터 약 100개의 계정을 사용해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려 공론장을 왜곡하기 시작했다. 17대 대선 이명박 당선 때에도 '기계'를 용병처럼 선거에 활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18대 대선에서도 박근혜를 지지하는 트윗글을 자동으로 리트윗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한 일당이 재판에 넘겨져 법적 심판을 받았다. 제19대 대선에서는 '드루킹'이 김경수 경남지사와 공모해 킹크랩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이를 문재인 대선후보에 유리한 방향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려 여론을 왜곡했다.

이를 통해 네이버·다음 등 포털에 댓글을 자동으로 게재하는 기계(일명 매크로 프로그램)를 돌려 존재하지도 않은 여론을 생성하거나 정반대로 기계가 정반대 여론을 일으켜 민의를 막는 것도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매크로 프로그램은 요즘 많이 회자되는 로보틱 프로세스 오토메이션(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기술에 기반을 둔다. 단순 전산업무를 RPA봇이 대신 수행함으로써 기업과 단체 업무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인다는 점에서 크게 각광받는 기술이긴 하나, 양질의 일자리를 기계가 대신한다는 측면에서 비판 역시 받고 있는 기술이다.

역대 대선에 사용된 매크로 프로그램은 RPA가 본격 도입되기 전, 선거에 본격 사용됐다. 이는 한국 정치가 선진화하지 않았다는 비판과 동시에 한국의 선거는 최신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는 시도 등이 벌어져야 권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기계가 만들어서 배포하는 여론조사 생성과 배포 전체 과정 ARS 여론조사업체 매크로 자동화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여론조사결과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통해 획득한 공신력을 바탕으로 언론사에서 로봇기자가 뉴스화를 하고 인공지능 뉴스알고리즘을 통해 배포되는 선거판세여론 생성 전체 작업흐름도 ⓒ 이광춘
 
20대 대선

이번 20대 대선에서도 자동화 매크로 프로그램 역시 진화했다. 네이버·다음 등 포털 중심의 디지털 환경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여론을 좌우하는 뉴스가 넘쳐나고 네이버를 비롯한 주요 포털에서 인공지능(AI)이 뉴스 우선순위를 정해 유권자에게 추천하는 방식으로 바뀐 점이 크게 달라진 지점이다.

이에 더해 스팸광고와 동일한 디지털 기술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ARS(전화자동응답시스템) 여론조사가 활성화되면서 선거 기간 내내 여론조사 쏟아졌다. 즉, 민의를 온전히 담았다고 볼 수 없는 기계식 ARS 여론조사결과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웹사이트에 올라가면서 공신력을 얻게 됐다. 이렇게 공신력을 얻은 여론조사 결과는 각 언론사를 통해 뉴스로 포장됐다.

이후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 뉴스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이란 창구를 통해 각 유권자에게 전달됐다. 유권자에게 전달된 뉴스는 여론을 만든다. 'ARS 여론조사업체 → 언론사 기사화 → 포털 인공지능 알고리즘 → 유권자'로 압축되는 순환체계는 선거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전까지 계속 반복됐다. 그 결과 최종득표율 0.73%p 차이의 '초박빙 윤석열 당선'으로 귀결됐다.

마무리

선거 결과는 후보와 정당, 선거캠프, 유권자가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기에 '기계'를 넣어도 크게 잘못된 것이라 말하기 어려운 세상이 됐다. 선거 개표과정에서 기표된 투표용지를 읽어 기록하는 과정부터 보면 기계가 선출권력에 관여하지 않는 지점을 찾기 어렵다. 디지털 선거기술이 시나브로 선을 넘었다고 판단될 정도로 발전된 지금 시점에서 '기계'의 선거개입을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는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 아닐까.
태그:#매크로 프로그램, #ARS, #뉴스 알고리즘, #디지털 민주화, #사회적 논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챗GPT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공공오픈 데이터를 분석하여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