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정희 대통령 ‘시해’ 혐의로 재판정에 선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혹자는 김재규가 박정희를 쏜 후 ‘육본’이 아닌 ‘남산’ 중앙정보부로 갔으면 역사가 바뀌지 않았을까 생각하기도 한다. 2020년 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남산의 부장들>이 개봉했다. 김재규와 그의 부하들 이야기는 임상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그때 그 사람들>(한석규와 백윤식 주연)이라는 영화로 제작해서 개봉한 바 있다.
▲ 김재규 재판 박정희 대통령 ‘시해’ 혐의로 재판정에 선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혹자는 김재규가 박정희를 쏜 후 ‘육본’이 아닌 ‘남산’ 중앙정보부로 갔으면 역사가 바뀌지 않았을까 생각하기도 한다. 2020년 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남산의 부장들>이 개봉했다. 김재규와 그의 부하들 이야기는 임상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그때 그 사람들>(한석규와 백윤식 주연)이라는 영화로 제작해서 개봉한 바 있다.
ⓒ 국가기록원

관련사진보기

 
김재규를 비롯 '10ㆍ26거사'의 7인과 수천 명 광주시민들을 제물로 삼아 전두환 일당이 정권을 탈취하고 이른바 제5공화국을 세웠다.

그들이 내세운 기치가 이른바 '정의사회'였다. 그리고 '민주정의당'이라는 관제정당을 만들어 권력에 굶주린 정상배ㆍ어용학자ㆍ곡필언론인들을 끌어모았다.

이승만이 국민의 자유를 짓밟으면서 '자유당'을 만들고, 박정희가 민주공화제를 말살하면서 '민주공화당'을 만들었듯이, 전두환 일당은 민주와 정의를 유린하면서 '민주정의당'을 창당하였다. 그 후예들 역시 자신들의 정체성과는 전혀 맞지 않는 당명을 내걸었다.

다시 역사의 반동기가 가속화되었다.

1980년 8월 16일 대통령 취규하가 사임하고, 11일만인 8월 27일 육군 대장으로 예편한 전두환이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이란 감투를 벗고, 박정희가 만든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에서 단일 후보로 2,524표를 얻어 99.9%의 득표율로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아무리 '통대'의 선거라지만 99.9%의 당선율이란 국제사회의 조롱거리가 되기에 충분했다. 역시 유신의 유산이었다. 어느 족벌신문이 「인간 전두환」을 특집하면서 '아량과 청렴결백'을 홍보한 것도 99,9%에 영향을 끼쳤을 지 모른다.

전두환은 권력욕이 박정희에 못지 않았다. 최규하의 잔여 임기에 만족할 인물이 아니었다. 국가의 기본법이라는 헌법을 입맛대로 고쳤다. 여러 가지 구실을 붙였지만 주요 목표는 자신이 대통령이 되는 방법이었다. 어용지식인들을 모아 개헌안을 만들었다. '통대' 대신 '선거인단'을 구성하여 대통령을 뽑는 제도였다.

5공헌법안은 국민투표에 붙혀져 95.5% 투표율과 91.6% 찬성율로 발표되었다. 유신시대처럼 정부의 '찬성계도'만 허용된 결과였다. 전두환은 만만한 야당후보 셋을 둘러리로 세워, 90.2%의 득표율로 7년 임기의 제12대 대통령이 되었다. 취임사가 걸작이다. '전쟁위협'과 '빈곤' 그리고 '정치적 탄압과 권력남용' 등 세 가지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을 다짐했다.

이렇게 하여 '5공(五共)'이 출범하였다. 헌정사적으로는 다섯 번째 공화국이라 하여, 그렇게 불렸지만, 실제로는 한국인이 20세기에 맞은(당한) 다섯 번째 공포의 '5공(五恐)'이었다.

일제강점→미군정→이승만독재→박정희독재→전두환독재로 이어지는 공포시대였다. 국민에게는 승냥이를 피하다가 늑대를 만난 격이 되었다.

반민주적이고 정의롭지 못한 무리가 '민주'와 '정의'라는 고귀한 용어까지 훼손하고, '기레기'들이 장단치는 세상에서 김재규장군의 유족이 숨쉴 수 있는 공간은 비좁았다. 구명활동에 나섰던 사람들도 된서리를 맞았다. 10ㆍ26거사는 결과론적으로 '늑대'들의 무대를 만들어 준 꼴이 되고 말았다. 역사의 반동기였다.
 
이 위령비엔 박정희 전 대통령을 죽인 김재규가 3군단장으로 적혀있었으나, 10·26 직후 누군가 정으로 이름을 파냈다.
▲ 한계령개통 위령비 이 위령비엔 박정희 전 대통령을 죽인 김재규가 3군단장으로 적혀있었으나, 10·26 직후 누군가 정으로 이름을 파냈다.
ⓒ 정덕수

관련사진보기

 
장례 후 김재규 일가는 갑자기 조용해졌다.

매일 같이 주둔해 있던 헌병들도 철수했고, 혹간 협박성 전화도 거의 끊기다시피 했다. 간혹 김재규장군의 과거 부하들이 주위의 눈총을 아랑곳하지 않고 용감하게 다녀가기도 했으나, 찾아오는 방문객이 거의 없어 김재규 장군댁은 귀신 나오는 집처럼 으스스할 정도였다.

노모 권유근 씨는 육군교도소로 김재규장군을 두 차례 면회간 후 김재규장군 묘소에는 한 번도 가지 않았다. 아들이 먼저 갔는데, 산소에 갈 면목이 없다는 것이다. 노모는 김재규 처형 후 봉화군 소재의 현불사에서 3년 정도 기도하며 김 장군의 극락왕생을 빌었고…. (주석 1)


김재규장군은 대법원 판결 뒤 교도소를 찾은 부인의 목에 염주를 걸어주며 유언하였다.

내가 죽으면 불교에 귀의하여 만사를 부처님에게 의탁해서 사시오. 부하들의 유가족을 잘 보살펴 주시길 부탁하오. 내가 죽고나면 나의 묘 옆에 당신의 묘소를 마련하고, 좌우에 두 분의 대령들(박선호와 박흥주)를 묻고, 그 양옆으로 세 사람의 부하들을 묻어 사육신묘처럼 만들어 주시오. 관에 들어갈 때 장군의 옷을 입혀주시오. 장군으로 죽고 싶소. (주석 2)

남편의 이와 같은 간절한 유언을 그러나 부인은 실행할 수 없었다. 재산은 모두 몰수당하고 묫자리도, 장군의 동정복도 입혀 보낼 수 없는 처지였다.
  
김재규 전 중정부장이 안식을 취하고 있는 광주 오포 삼성묘역 입구에 세워진 안내판
 김재규 전 중정부장이 안식을 취하고 있는 광주 오포 삼성묘역 입구에 세워진 안내판
ⓒ 추광규

관련사진보기

 
아무리 폭압의 시대라도 의(義)의 정맥은 끊이지 않는다. 9년의 세월이 지난 1989년 2월 24일, '5월의 아픔'을 겪은 전라남도 광주의 민주인사들이 모인 송죽회(松竹會) 회원들이 김재규 장군을 추모하여 〈의사 김재규장군지묘〉라는 묘비를 세우고, 해마다 기일이면 참배하였다. 고인이 생전에 듣고 싶었던 호칭이었다. 비석 뒷면에는 다음의 추모시를 새겼다.
 
묘비의 '의사', '장군' 네글자가 심하게 훼손 되어 있었다.
 묘비의 "의사", "장군" 네글자가 심하게 훼손 되어 있었다.
ⓒ 인터넷언론인연대

관련사진보기

 
 먹구름이 하늘을 덮고 광풍 몰아 덮칠 때에
 홀로 한줄기 정기를 뿜어 어두운 천지를 밝혔건만
 눈부신 저 햇살은 다시 맞지 못하고
 슬퍼라, 만 사람 가슴을 찢는구나
 아! 회천의 그 기상 칠색 무지개 되어
 이 땅 위에 길이 이어지리.

                         1989. 1. 20.
 
훼손된 묘비
 훼손된 묘비
ⓒ 인터넷언론인연대

관련사진보기

 
유신잔당이나 5공광신도들에게는 이런 비문도 못마땅했던 것일까, 얼마 뒤 누군가 비석의 '의사'와 '장군'이라는 글자를 쪼아낸 채 상처 난 비석은 덩그라니 남겨졌다.


주석
1> 오성현, 앞의 책, 225~226쪽.
2> 문영심, 앞의 책, 346쪽.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박정희를 쏘다, 김재규장군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김재규, #김재규장군평전, #송죽회, #전두환, #전두환독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지식인 134인 시국선언' 주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