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진자 교육, 원격지 발령, 명예퇴직, 창업휴직제'

교보생명보험(회장 신창재)은 최근 구조조정 논란의 종지부를 찍고 15년차 이상 직원 480여 명의 희망퇴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복수노조 인가로 설립된 교보민주노조(위원장 홍찬관)는 이번 희망퇴직이 사실상 강제퇴직의 수순을 거쳤다고 반발했다. 노조는 또한 희망퇴직자 중 창업휴직제를 신청한 100여 명의 직원들의 조건부 복직의 단서조항이 삭제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창업휴직제란 본인이 희망하는 2년 이내 기간 동안 창업 등을 지원하고 어려울 경우 다시 회사로 복귀할 수 있다는 우대조항이다. 다만 사측은 복직 시 직무편제 지시를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아 사실상 직원들의 복귀를 닫아놓았다는 게 노조측의 입장이다.

"직원들에게 실질임금도 보전해주지 않았다"

사측의 구조조정의 이유가 미래위험이라고 하는데 자본 계정은 증가하고 주주배당은 계속 늘고 있는 양상이라고 노조는 밝혔다.
 사측의 구조조정의 이유가 미래위험이라고 하는데 자본 계정은 증가하고 주주배당은 계속 늘고 있는 양상이라고 노조는 밝혔다.
ⓒ 교보민주노조

관련사진보기


교보민주노조 5월호 소식지 '구조조정은 집단 이지매'에 따르면 사측은 낮은 생산성과 성과부족, 미래의 위험을 내세우며 희망퇴직을 처리했다.

하지만 노조는 교보생명이 지난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고 반박했다. 즉 지난 5년간 교보의 자본계정은 2조1천억 원(54.5%) 증가했고, 성과급 초과달성액 3393억 원도 고스란히 주주에게 지급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사측은 직원들에게 실질임금도 제대로 보전해주지 않았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이런 이유에는 주주배당액 지급액에 비해 직원 임금으로 인상된 임금은 5년간 362억 원에 불과했다는 것. 이는 연 평균 3% 수준의 물가인상을 감안하면 실질임금 상승률이 부족했던 셈이다.

노조는 또한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최근 5년간 '구조조정인원과 경제성장률'에 따르면 두 지표의 상관관계가 전혀 없다고 강변했다. 지표에 따르면 2008년 75만 명, 2010년 78만명, 2012년 86만 명이 구조조정으로 퇴직했지만 경제성장률은 최저 2.3%에서 최고 6.5%까지 성장했다고 밝히고 있다.

홍찬관 노조위원장은 "결국 '경제상황 때문에 구조조정을 할 수밖에 없다'는 기업들의 논리는 직원을 내쫓고 싶지만 마땅한 이유를 찾지 못할 때 습관처럼 내뱉는 변명일 뿐"이라고 질타했다.

삶의 역경을 돕는 교보생명... 직원의 삶은?

구조조정인원과 경제성장률 도표
 구조조정인원과 경제성장률 도표
ⓒ 한국고용정보원

관련사진보기


노조는 사측의 이런 일방적인 구조조정에 대해 생명보험업의 사명을 다시 한 번 각인하라고 촉구했다. 내용인즉슨 보험업 자체가 '사람에 의해 사람을 존중하는' 사업임에도 교보생명은 정작 실천은커녕 사람을 겁박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노조는 7월호 소식지를 내며 사측이 그동안 직원의 명예퇴직을 강권하기 위해 '원격지 발령''부진자 교육' 등을 하며 압력을 가해왔다고 주장했다. 또한 어떤 직원에게는 "평생 평가를 최하위(B)만 받게 될 것이다", "부진자인 네가 나가야 동료가 산다"라는 둥의 협박도 서슴지 않았다고 밝혔다.

홍찬관 위원장은 "정년퇴직을 하며 마치고 싶은, 그리고 그렇게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들에게 마치 염치없는 욕심을 부리는 것처럼 포장해 내쫓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교보생명이 최소한 가족친화 기업이고, 노사문화우수기업이라고 홍보라도 하고 싶다면 이런 비겁한 행동은 중단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번 구조조정과 관련해 교보생명은 여러 언론과의 해명 인터뷰를 통해 "장기적인 경제 전망을 직시해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사측은 민주노조 측의 여러 가지 주장에 대해서도 "대표노조인 교보노조와 노사합의로 이미 충분히 소통한 결과"라고 해명했다.


태그:#교보생명, #교보민주노조, #명예퇴직, #창업휴직제, #구조조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