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학민 지음 '태초에 술이 있었네'의 표지
▲ 표지 김학민 지음 '태초에 술이 있었네'의 표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내 책 제목에 빗대어 말하자면, 이 책은 '김학민의 술 문화답사기'이다. 그러나 김학민은 이 책에서 단순히 술에 대한 '사통오달'만을 사랑하지 않는다. 그는 술이라는 인류 최고의 논쟁의 음식을 매개로 동서를 넘나들고 고금을 오르내리는 '고담준론'을 펴 나간다.'

전 문화재청장이자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의 저자인 유흥준교수가 극찬한 책의 이야기다.

'술과 안주, 술집, 술꾼, 그리고 동서고금의 재미있게 설파하던 그의 머릿속 '술 이야기'들이 한 권의 책으로 풀려나왔다. 먼저 나온 그의 음식 칼럼집 '맛에 취하고 사람에 취하다'에서 이미 필력을 보여준 바 있지만, 이 책도 처음부터 끝까지 김학민의 내공이 만만치 않음을 드러내 준다.'

신경림 시인의 책에 대한 소개 글이다.

도대체 어떤 책이 길래

도대체 어떤 책일까? 우선 두 분의 문호가 이리 극찬을 할 정도의 책이라는 것에 눈이 번쩍 뜨인다.

'술은 양은 제한하지 않았으나 취해서 난잡하게 되는 일이 없으셨다" <논어> '향당'편에 나오는 공자님의 음주자세다. 공자님과 김학민 선생님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기는 마땅치 않지만, 술에 관해서라면 두 분이 비슷하다.' - '수렁에서 건진 내 딸'의 영화감독인 이미례 감독까지 거들고 나섰다.   

'음식문화학교 교장인 김학민의 술술 넘어가는 술 이야기'라고 표지 한편에 다소곳이 소개를 한 이 책의 제목은 <태초에 술이 있었네>이다. '술'하면 어떤 자리이든지 마다하지 않는 나로서는, 이 책을 그냥 머리맡에 두고 잠을 청할 수가 없다. 그저 눈이 벌겋게 충혈이 되도록 밤새 속독이라도 하는 수밖에.

술안주 이고 술주전자를 들고 신바람나게 징검다리를 건너는 주모. 2010년 3월 6일 아산외암리민속마을에서
▲ 주모 술안주 이고 술주전자를 들고 신바람나게 징검다리를 건너는 주모. 2010년 3월 6일 아산외암리민속마을에서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지은이 김학민 형과의 인연

그러나 밤새 한 번 보았다고 해서 그 책의 진가를 알 수는 없다. 김학민 형과는 오래전에 인연이 되어 술자리를 더러 함께 하기도 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라는 모임을 만들어 일 년에 몇 번은 함께 술잔을 부딪치고는 했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내가 역마살이 심해 혼자 멀리 떨어져 나가 있었으니, 고작 일 년에 한 두 번의 만남으로 만족을 했다.

그래도 술자리에서 만큼은 재담 하나는 빠지지 않는다고 자부를 하던 나이기도 하다. 한데 어찌된 것인지 형과 한 자리에 앉기만 하면, 그 달변에 절로 혀를 내두르고는 한다. 술에 관한한 정말 달인의 경지에 올라있다는 생각이다. 거기다가 술만이 아니라 음식까지 곁들여 이야기를 풀어나가면, 그야말로 목젖을 짜릿하게 만들며 넘어가는 술처럼 잘 넘어간다.

형의 주변에는 언제나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어느 곳이고 가리지를 않는다. 살아온 세상은 남들보다 항상 큰 자리에 있었음에도, 어떻게 그런 선술집을 드나들기를 좋아하는지 모르겠다. 아마 그런 형의 털털한 마음 씀씀이가, 이런 좋은 책을 쓸 수 있었는지 모르겠다.

술자리에 가끔 동석을 하면, 승무의 기능보유자인 이애주 교수도 동석하고, 극단 아리랑의 방은미 단장도 보인다. 어디를 가나 형의 그 털털함과 끊어지지 않는 구수한 입담이 많은 사람들과 동석을 하는가 보다.

책 '태초에 술이 있었네'
    
책은 모두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 첫번째는 '태초에 술이 있었네.'이다. 술, 신의 물방울 등, 술은 음식인가? 기호품인가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두번째는 '이런 술, 저런 술맛'이다. 전국의 유명한 술을 직접 맛을 보면서 그 술에 얽힌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한 지 석 달도 되지 않아 김대중 대통령까지 돌아가셨다. 사람과 죽음의 문턱을 숱하게 넘어 마침내 대통령에 당선되고 노벨평화상까지 받으신 그 분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흔히 인동초에 비유한다. 연이은 두 전직 대통령의 서거를 황망하게 겪으면서 금화와 음화의 애잔한 전설을 오늘에 곱씹어 본다」-본문 82쪽 인동초 막걸리, 그리고 전설따라 세 대통령   

세번째는 '동서남북 음주문화'를 적고 있다. 향음주례를 만나다. 맥주 맛있게 마시는 법, 막걸리여 영원하라, 술 한 잔으로 노무현과 작별, 건배를 조심해, 룸살롱으로 서민경제 활성화? 등의 내용이 담겨져 있다. 네번째는 '내가 좋아한 술집'편이다. 여기저기 다니면서 만난 술집과 그곳의 유명한 음식, 그리고 주인장들의 마음씨까지 쏠쏠하게 담아냈다.

예천 삼강주막. 2009년 9월 7일에 찾아간 삼강주막에 많은 사람들이 술 한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 삼강주막 예천 삼강주막. 2009년 9월 7일에 찾아간 삼강주막에 많은 사람들이 술 한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경북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의 낙동강, 내성천, 금천이 만나는 수려한 경관의 세물머리에 우리나라 마지막 주막이 남아있다. 1900년 전후 세 물길이 만나는 삼강리 나루터에 세워져 소금과 쌀, 소소한 생활필수품 등을 이고지고 오가던 보부상, 장돌뱅이는 물론, 근교의 시인묵객, 서울로 향하는 나그네들의 허기와 갈증을 풀어주던 곳이다. 100년이 넘게 명맥을 유지해 오던 삼강주막은 제 2대 주모이자 '낙동강의 마지막 주모'로 불렸던 유옥연 할머니가 2005년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면서 발길이 끊겼다가,...」- 본문 216쪽 낙동강의 마지막 주막, 삼강주막

다섯번째는 '그들이 사랑한 술집이다'. 좀 다르게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즐겨 찾았다는 술집을 직접 찾아가, 그 속에 숨어있는 이야기를 끄집어내고 있다. 그 책 말미에 '개 같은 세상, 작가들의 단골 개고깃집, 대교'라는 소제목을 달렸다. 저자는 이 글에서 '70~80년대 그림쟁이들의 단골집이 인사동의 부산식당이었다면, 글쟁이들의 아지트는 마포 공덕동의 대교였다'고 적고 있다.

밤새 눈이 벌겋게 되도록 책을 보았지만, 아침이 되니 머릿속이 몽롱하다. 책 한 권을 읽으면서, 너무 많은 술을 먹은 탓이다. 글을 읽으면서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제야 느꼈으니 아직 애주가가 되려면 멀었나 보다. 그저 이 책에 대해선 한 마디만 하고 싶다.

"당신이 애주가라면 이 책을 읽어라. 당신이 술 좀 마신다고 하면 이 책을 읽어라. 당신이 술자리에서 아는 체 좀 하고 싶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라. 그러기 전에는 술에 대해 논하지 말라."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수원인터넷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초에 술이 있었네>/지은이 : 김학민/펴낸곳 : 서해문집/발행일 : 2012년 1월 10일/책 값 : 332쪽 15000원



태그:#태초에 술이 있었네, #김학민, #술, #책 리뷰, #서해문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