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행

포토뉴스

대한민국 곳곳에 숨겨진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 두 눈으로 직접 보고, 두 발로 직접 걸으며 발견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문화유산 애호가가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가감없이 전해드립니다.[기자말]
§ 서울 문묘(文廟)와 성균관(成均館)
§ 지정(등록)일: 1964. 11. 10
§ 주소: 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25-1
§ 시대: 조선 태조 7년(1399)
§ 탐방일: 2025년 1월 5일

눈 덮인 명륜당 앞에서 사진을 찍는 관람객 ⓒ 박배민

서울에 눈이 쌓이기 시작하면 문화유산 애호가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은 보통 종로 창덕궁이다. 후원의 설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니, 그 마음도 이해는 된다. 하지만 나는 창덕궁 대신 성균관으로 발걸음을 돌린다.

성균관 담장에 볼록하게 눈이 쌓인 모습 ⓒ 박배민

봄, 여름, 가을에도 충분히 사색의 시간을 만들어주었던 성균관은 겨울이 되면 마치 숨을 고르는 듯, 더 깊고 포근한 침묵으로 나를 맞아준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쓴 유홍준 작가는 샛노란 은행잎이 가득한 가을의 성균관을 추천하였지만, 나는 눈이 소복이 쌓인 성균관에 제일 마음이 쏠린다.

국밥 한 그릇 먹은 뒤 성균관으로

늦은 출발 탓에 점심을 걸렀다. 일단 성대 사거리에서 따듯한 국밥 한 그릇으로 속을 달랜다.

비록 내리는 눈이 쌓이지 않고 녹아내릴 만큼의 영상 날씨지만, 역시 겨울은 겨울이다. 발끝이 시려 부착식 핫팩을 꺼내 발가락 위에 붙이지 않을 수 없었다. 절반만 녹아 바닥과 씨름 중인 눈이 질척거린다. 나는 미끄러지지 않으려 어정쩡한 모습으로 한 발씩 성균관에 가까워진다.

성균관의 입구임을 알리는 하마비(下馬碑). '엄숙한 공간이니 높낮음에 상관없이 말에 내리라'는 뜻이다. 비의 뒤편 기록에 의하면 1519년(중종 대)에 세워졌다. ⓒ 박배민

성대 사거리에서 5분쯤 올라가면 왕복 2차선 도로가 넓어지며 삼거리가 나오는데, 이곳이 성균관 입구다. 성균관대학교와 성균관컨벤션 사이에 성균관이 끼어 있어 궁궐이나 사찰처럼 "여기가 입구요!" 하고 존재감을 내뿜는 문 같은 것은 따로 없다(엄밀히 말하자면, 성균관이 몇백 년은 먼저 터를 잡았지만 말이다).

성균관 최남단에 위치한 신삼문. 평소엔 사용할 수 없다. ⓒ 박배민

신삼문(神三門)이라는 큰 문이 있긴 하지만, 조선에서도 특별한 행사 때만 사용하던 신(神, 죽은 자의 넋을 높이는 말)의 문이다.

성균관컨벤션 주차장을 지나 동쪽에서 성균관으로 입장한다. 몇 년째 찾아 오지만, '여기가 입구인가?' 싶은 느낌은 여전하다. 담벼락 너머로 보이는 대성전 지붕이 천막으로 뒤덮여 있다. '아, 공사 중이구나.'

2026년 다시 만날 '대성전'

예상은 적중했다. 오랜만에 찾은 성균관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대성전 지붕 보수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었고, 공사 기간만 해도 최소 1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문화유산 보수가 늘 그렇듯, 실제로는 1년 6개월 이상 걸릴 가능성이 크다.

지붕 보수 공사 중인 대성전. 서재에서 촬영. ⓒ 박배민

공사 안내문 중 '대성전 내부 공개: 14시'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문화유산 공사 내부 모습을 직접 볼 기회는 흔치 않은 일이라, 오히려 행운처럼 느껴졌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 안내문에 더 자세한 내용이 적혀 있었다.

'매주 목요일 14시 대성전 내부 공개.' 안타깝게도 이 날은 일요일이었다.

태학계첩의 성균관 배치도. 태학계첩은 성균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 국가유산포털

대성전은 공자와 그의 뛰어난 제자들(맹자, 최치원 등)의 위패를 모셔 두고 제향을 올리는 공간이다. 성균관은 남북으로 길게 뻗은 직사각형 구조로 설계하고, '전묘후학(前廟後學: 앞에 제향 공간, 뒤에 학습 공간을 배치한다)'의 원칙에 따라 동서로 이어진 담장을 경계로 북쪽은 명륜당이 자리한 강학 권역, 남쪽은 대성전이 위치한 제향 권역으로 구분된다.

보수 공사로 제향 권역을 살펴보지 못한 건 아쉬웠지만, 출입이 제한된 곳을 억지로 들어갈 수는 없는 일이다. 대신 명륜당을 중심으로 강학 공간을 천천히 둘러보기로 했다.

시선을 사로 잡는 세 가지 색

명륜당 처마 밑에서 느긋한 마음으로 마당을 둘러 본다. 사람들은 눈 쌓인 성균관과 자신을 사진에 함께 담으려고 여념이 없다. 사람들의 즐거운 소리에 까치가 여기저기서 울음소리로 화답한다.

서재(西齋)에서 본 명륜당. 흰색, 붉은색, 청록색이 이질감없이 어우러진다. ⓒ 박배민

세 가지 색이 내 시선을 사로 잡았다. 눈으로 차분히 정리된 이 모습이 내가 성균관을 찾는 이유다.

가장 넓게 보이는 건 흰색이었다. 흰색의 눈은 온 세상에 솜을 깔아 둔 것처럼 마당과 건물을 덮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붉은 색이었다. 기둥, 벽 등 성균관 건물의 하단부를 칠한 붉은색은 새하얀 눈 사이에서 강렬한 색을 자랑했다.

명륜당 내부 천장. 청록색으로 가칠단청하고, 아무런 무늬가 없는 것이 인상적이다 ⓒ 박배민

마지막으로 시선이 향한 곳은 건물 상부 자재에 사용된 청록색이었다. 상부 부자재(공포, 서까래, 부연, 창방, 평방 등)를 덮고 있는 청록색 단청은 지붕 아래에 모습을 살짝 감추고 은은하게 색감을 퍼뜨리고 있었다.

명륜당을 등 지고 마당을 내려다 본 모습. 수백 년 수령의 은행나무가 보인다(울타리 안 두 그루). 나무 뒤로 천막으로 감춰진 대성전이 보인다. ⓒ 박배민

임금의 공간인 궁궐, 부처님의 공간인 사찰의 단청은 빨강, 초록, 하양, 검정 등 다양한 색을 사용해 화려한 무늬를 다양하게 그려 넣는다. 반면 유교 건축의 대표라 할 성균관은 검소함이 돋보였다.

대성전과 명륜당 같은 핵심 건물에도 기본적인 단청인 '가칠단청'만 칠해져 있었다. 가칠단청은 문양이나 선 등을 배제하고 바탕색만 칠하는 단청으로, 보통 부속 건물이나 위계가 낮은 건물에 칠한다. 그런데 성균관에서는 오히려 최고 위계 건물에 가장 기본 단청이 사용된 것이다.

동재(東齋)의 툇마루. 사진 왼편 안쪽으로 전향문이 보이고, 왼쪽 끝으로 식당이 벽이 살짝 보인다. ⓒ 박배민

유생들이 머물렀던 동재와 서재는, 이런 단청조차 없는 백골 건물이다. 유교에서 강조하는 절제와 검소함이 그야말로 건축 곳곳에 드러나 있었다.

건물 출입구가 서로 등지고 있는 이유

성균관을 찾을 때마다 독특한 건물 배치가 탐구욕을 자극한다. 유생들의 기숙사였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그 주인공이다. 동재는 동쪽을, 서재는 서쪽을 바라보며 출입구가 서로 마주하지 않고 등을 지고 있는 독특한 구조다.

동재와 서재가 문이 명륜당이 아닌 외곽을 향해 있다. ⓒ 박배민 (다음 지도 캡쳐 후 디자인 작업)

이 구조는 동재와 서재뿐 아니라 명륜당 북동쪽 뒤편의 향관청(享官廳)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향관청은 문묘 제사를 위해 집사가 머물며 축문과 향 등을 관리하던 공간이다. 향관청도 위에서 내려다보면 명륜당처럼 'ㄷ'자 구조로 되어 있다.

향관청의 동월랑. 마당을 향하지 않고 담장(동) 쪽으로 출입문을 냈다. ⓒ 박배민

향관청 양옆으로는 동월랑(東月廊)과 서월랑(西月廊)이라는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건물들 역시 출입구가 서로를 등지고 있었다. 동재와 서재처럼 유생의 기숙사로 사용된 점도 유사하다.

명륜당 현판은 건물 규모에 비해 과도해 보일 정도로 큰 것이 특징이다. ⓒ 박배민

왜 건물들이 서로 등을 돌리고 있는 걸까? 책과 자료를 찾아보았지만,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찾을 수 없었다. 다만 궁금증을 풀기 위해 수집한 단편적인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이렇게 등을 돌리게 배치한 목적은 명륜당의 상징성을 강화하려는 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강학 권역의 핵심인 명륜당의 위계를 강조하고 유생들에게 공간의 위계를 명확히 느끼게 하려는 의도였다.

성균관의 도서관이었던 ‘존경각(尊經閣)’. 1626년(인조 4)에 고쳐 지은 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박배민

동재와 서재는 생활 공간이었기에 출입구가 마당을 향해 배치되었다면 생활 동선과 학습 동선이 겹쳤을 것이다. 하지만 동재의 입구를 동쪽으로, 서재의 입구를 서쪽으로 배치하면서 생활과 학습의 동선을 철저히 분리할 수 있었다.

1988년 복원된 비천당. 가까이서 보면 단청의 새것 느낌을 바로 느낄 수 있다. ⓒ 박배민

도서관이었던 존경각(尊經閣)과 시험 장소이자 관리처였던 비천당(丕闡堂)까지 둘러본 뒤, 성균관 서쪽 외벽을 따라 천천히 내려온다. 눈이 내린 날에는 세상이 한층 더 조용해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정문인 신삼문에 다다를 즈음, 머리 위로 까치 십여 마리가 거목 사이를 오가며 날아다녔다. 까치가 저들끼리 떠드는 소리가 유난히 선명하게 들린다. 눈이 오는 날에만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 성균관의 숨겨진 모습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개인 채널(브런치 등)에도 실립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가유산포털
- 『성균관과 반촌』 (서울역사박물관)
- 『한국건축답사수첩』 (한국건축역사학회 편)
- 『전통건축 구조와 의장의 원리』 (홍병화)
- 「한국 유교건축의 경의 공간 에 관한 연구」 (이왕기)

#성균관#폭설#명륜당#종로구#설경
댓글

독자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