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의 한 쪽방촌 입구,
대구의 한 쪽방촌 입구, ⓒ 조정훈

대구에서 고독사 위험이 가장 높은 비율은 남성으로 65세 이상의 고연령층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시는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대구지역 1인 가구 7만 8330가구를 대상으로 '2024년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일 밝혔다.

전체 응답자 중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7.6%였고 이 가운데 남성의 위험군 비율은 9.3%로 여성(5.5%)보다 1.7배 높았다.

AD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의 노년층 위험군 비율이 9.6%로 가장 높았고 이어 장년층(50~64세) 8.2%, 중년층(40~49세) 7.2% 순이었다.

거주 유형별로는 쪽방·여관(24.5%), 고시원(22.1%), 원룸(15.2%) 등 주거 취약지에 거주하는 가구에서 고위험군 비율이 두드러졌고 다가구·다세대(9.0%), 단독주택(6.9%), 아파트(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요인을 보면 이혼(14.1%)과 사별(10.8%) 등 비자발적 단절을 겪은 응답자에서 상대적으로 고위험군 비율이 높았고 독립·미혼의 경우 6.4%로 낮았다.

근로 여부에 따라서도 무직자의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17.6%로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고 근로를 하고 있는 경우는 3.4%로 낮은 편이었다.

무직자의 사유로는 질병이 22.6%로 가장 높았고 기타 15.2%, 구직 중 12.5%, 가족 돌봄 4.8% 순이었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주거급여 수급자 등 복지수급자의 고위험군 비율이 31.7%로 비수급자(5.5%)의 약 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 대상자일수록 사회적 고립 및 심리·경제적 취약성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구시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한 쪽방, 고시원 등 주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집중 조사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 복지 대상자일수록 외부와의 단절 등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복지 수급정보와 연계한 선제 개입 시스템을 정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고독사 예방은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사회적 책임"이라며 "모든 시민이 복지안전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대응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지난 2024년 6월 발표한 '고독사 위험자 판단도구 권고안'에 따라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평가 도구를 활용해 각 읍면동에서 대면 또는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고독사#위험군#대구시#쪽방촌#고연령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