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에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 이희훈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남북 간 적대 상황을 완화하고 연락채널을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제가 해야 할 일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다지는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후보자는 "지난 3년 동안 꽉 막혔을 뿐만 아니라 일촉즉발 위기까지 치달았던 적대와 대결 상황을 완화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완전히 단절된 대화 채널을 복원하는 것이 다음 순서"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남북 간) 신뢰가 완전히 무너졌다. 제일 중요한 건 신뢰를 다시 쌓아 올리는 일"이라며 "신뢰는 소통에서 시작한다"라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최근 정부의 대북전단 살포 중지 요청과 대북확성기 방송 중지, 북한의 대남방송 중지로 이전 정부 때와는 달라진 세상을 맞았다고 평가했다.
정 후보자는 "대북전단은 남북 갈등의 촉매제였다"라면서 "(전단을 살포한 민간) 단체 측의 전단 살포 재검토를 높이 평가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정 후보자는 대북전단을 살포해 온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대북전단 살포를 재검토해줘서 고맙다"라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면서 장관으로 취임하면 대북전단 관련 단체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또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북미 회담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향후 성사될 가능성이 있는 북미회담에 대한 질문을 받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은 이뤄질 것이고, 이뤄져야 한다"라면서 "(북미 대화는) 부시 정부나 오바마 정부에서는 시도하지 않았던 일로, 트럼프 대통령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정 후보자는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할 생각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평화와 안정을 구축한 바탕 위에서 통일을 모색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명칭 변경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1965년 독일 브란트 정부가 들어왔을 때 '전독부(全獨部)'의 명칭을 '내독부(內獨部)'로 바꿨다. 전독부는 우리말로 통일부, 내독부는 동서독 관계부"라면서 "통일은 마차이고 평화는 말이다. 마차가 앞에 가서는 말을 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북한과의 대화와 교류·협력에 더 중점을 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 후보자는 또 윤석열 정부가 통폐합한 '남북회담본부' 등 회담 관련 조직을 되살리겠다는 의지 또한 분명히 밝혔다.
그는 "남북회담사무국, 교류협력국 개성공단지원사무소 모두 통폐합해 남북관계관리단으로 뭉뚱그린 것 같은데 비정상이라 생각한다"라면서 "통일부의 역할과 기능,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