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마산에 들어선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 윤성효
창원특례시가 이승만·박정희 독재를 제대로 표현하지 않는 등 갖가지 부실 지적을 받는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아래 민주전당) 개관식을 연기하고 임시운영을 계속하기로 하자 시민단체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열린사회희망연대(공동대표 이순일 등)는 24일 오후 "창원시 민주주의 전당 개관 연기 발표는 간교한 꼼수이며 허튼 수작이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앞서 이날 오전 창원시는 오는 29일로 예정됐던 민주전당 개관식을 연기하기로 했다.
열린사회희망연대는 "창원시가 시범운영을 계속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완해 나가겠다고 한다"면서 "이게 무슨 말장난인가?"라고 되물었다.
이들은 "지난 10일 시범운영이라는 이름으로 임시 개관한 각종 전시물이 공개된 이후 계속해서 각종 단체와 여러 인사들이 문제를 제기했다"라며 "모든 전시물이 심각한 문제가 있으니 개관을 하지 말라, 즉 일단 문을 닫고 전면적으로 민주전당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면 개편하라는 말이었다"라고 복기했다.
그러면서 "다시 말해 '개관을 하지 말라'는 뜻은 형식적인 개관식을 하지 말라는 게 아니고, 본래 말뜻 그대로 현 상태로 민주전당의 문을 열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었다"라면서 "그럼에도 창원시는 지금처럼 시범운영이라는 이름 하에 시민들에게 사실상 전면 개관을 계속하겠다는 말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개관식 미루고 시범운영? 불손한 의도 숨겨져 있다"
열린사회희망연대는 "창원시의 이런 생각은 불손한 의도가 숨겨져 있다고 판단한다. 지금까지 반대를 주장하는 시민들이 아닌 또 다른 입장과 생각을 가진 시민들의 의견을 유도하겠다는 간교한 꼼수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했다.
이들은 "민주전당은 여와 야, 진보와 보수, 민주와 반민주 세력의 균형을 맞추는 곳이 아니다. 이 전당은 2001년 여야 합의로 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의해 국비의 지원을 받아 만들어진 전당"이라며 "이 법 1조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설립하여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한다'고 목적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이 민주전당이 세워진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열린사회희망연대는 "지금까지 창원시가 우리의 말을 잘못 알아들었다면 다시 고쳐 말하겠다. 민주전당 시범 운영을 당장 중단하라. 민주전당 전면 개편될 때까지 즉각 폐관하라"라고 촉구했다.
민주전당은 지난 10일 시범운영에 들었고 오는 29일 개관식을 열 예정이었다. 창원시는 앞서 낸 보도자료를 통해 "20여 일의 짧은 시범운영 기간으로는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보다 열린 논의를 위한 것으로, 새로운 개관 일정은 추후 따로 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관련 기사]
문제 투성이 민주주의전당... 창원시, 결국 개관식 연기 https://omn.kr/2e9g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