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준일 시사평론가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발제하고 있다.
김준일 시사평론가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발제하고 있다. ⓒ 남소연
이재명 비토층 흡수 실패, 이재명 공격 일변도, 부정선거 음모론 비판 소홀, 높은 비호감도, 갈라치기 정치, 세력의 부재 …

이준석 전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 앞에 쏟아진 '패인'이다. 개혁신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지 20일 만에 대선 의의와 한계를 논하는 세미나를 개최한 가운데, 당 안팎 인사들은 위와 같은 분석을 제시했다. 애초 개혁신당은 6.3 조기 대선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예상하며 선거비용 일부 보전을 노렸다. 그러나 대선 후보 3차 TV토론회에서 이준석 당시 대선후보가 '여성 성기 젓가락'을 언급하며 파문에 휩싸였고, 결과적으로 기대에 못 미치는 8.34%를 얻는 데 그쳤다.

23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가 주최하는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는 이준석 의원을 비롯해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 김재섭 국민의힘 국회의원,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진중권 광운대학교 특임교수, 김준일 평론가 등이 참석했다.

 개혁신당 천하람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이준석 전 대선후보, 김종인 전 상임고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하헌기 전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개혁신당 천하람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이준석 전 대선후보, 김종인 전 상임고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하헌기 전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남소연

대선 패배의 책임자이자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이준석 의원은 모두발언에서 "대선이 후보 중심으로 치러지는 만큼 공과가 있다면 다 제 책임"이라며 "이번 대선에서의 좋았던 경험을 살리겠지만, 한편으로 좋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면 그것을 최대한 억제해 다가오는 지방선거와 그 이후에 좋은 성과를 내겠다"라고 다짐했다. 담담히 자신의 포부를 밝혔지만, 이 의원은 다소 굳은 표정으로 노트북 화면을 쳐다보는 일이 잦았다. 천하람 원내대표가 발언자들과 눈을 맞추며, 노트에 필기하는 모습과 대조적이었다.

이후 약 1시간 정도 자신과 당에 쏟아진 비판을 청취한 이준석 의원은 "이날 오후 4시 예정된 동탄 지역구 일정"으로 세미나 도중 자리를 떴다. 이 의원이 자리를 떠난 뒤에도 진중권 교수 등이 매서운 지적을 쏟아내자, 발제자로 참석한 김재섭 의원은 "이런 자리에 끝까지 남아 의견을 들었으면 좋겠는데 (이것이) 그(이준석 의원)의 한계"라며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했다.

김종인 "이재명에 대한 비호감 가진 유권자, 왜 이준석 아닌 김문수에게 갔을까?"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 남소연

범보수계 원로 인사들은 개혁신당의 대선 패배를 주로 대외적 요인으로 분석했다. 기념사로 연사 중 첫 발언에 나선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은 "창당한 지 불과 1년 좀 넘은 신생 정당이 (대선에서) 전국적으로 그와 같은 득표(8.34%)를 한 건 상당히 성공한 것"이라는 칭찬으로 운을 뗐다. 그러나 뒤에 이어진 말은 "냉철한 분석·반성·평가"였다.

AD
김 전 상임고문은 "이번 선거가 비상계엄 선포와 윤석열 탄핵에 대한 심판 선거"인데도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41.15%를 득표한 것을 제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상임고문은 "김문수 당시 대선후보가 받은 표의 절반 정도는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에 대한 비호감을 가진 유권자들이 준 것"이라며 "왜 이재명 당시 후보에 대한 비호감을 가진 유권자가 소위 '이준석이 아닌 김문수에게 갔는지' 냉철하게 분석해야 된다"라고 말했다.

김 전 상임고문은 이어 이준석 의원을 잠시 바라본 뒤 "이준석 당시 후보의 비호감도도 굉장히 높았는데 이를 어떻게 낮추느냐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국민의힘에 대해선 "작년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패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윤석열 정부 들어서서 2년 반을 허비한 것"이라며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만 이야기했지, 국민이 무엇을 바라는지 아무것도 한 게 없다"라고 혹평했다.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 남소연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는 이번 조기 대선 성격에 대해 '비상계엄-탄핵 심판'을 넘어 '진짜 보수와 가짜 보수의 대결'이라면서 "이준석 후보가 TV토론에서 김문수 전 후보를 비판하며 지지자를 끌고 와야 했는데 소위 '이재명 비판'만 했다. 전략적 실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대선의 기준을 하나 뽑자면 부정선거 음모론이다. 음모론을 믿는 사람과는 대화도 토론도 안 된다"라며 "한국에는 부정선거 음모론을 믿지 않는 사람들, 이성이 통하는 사람들이 보수, 중도, 진보에 모두 걸쳐져 있는데 이들이 사회의 중심 세력이다. 개혁신당은 이들과 (적극적으로) 관계 맺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진중권 "유권자 절반을 갈라치는데 보편 정당 되겠나"
김재섭 "이준석, 집권 시 국정운영 도울 세력 부재"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대선 평가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 남소연

발제 후반부를 맡은 인사들은 당의 '내재적 요인'에서 패배 원인을 찾았다. 진중권 광운대 교수는 "소수 정당일 때야 '갈라치기'하는 (정치가) 경제적·합리적이지만 보편 정당으로 가는 데는 당연히 한계가 있다"라며 "유권자 절반인 여성의 투표율이 높은데 이들을 적으로 돌려놓으면서 어떻게 보편 정당을 지향하느냐"라고 꼬집었다.

진 교수는 "여성·노인·장애인·중국인 등 사회적 소수자들을 공격하고 갈라치는 건 포퓰리즘"이라며 "특정 계층의 문제가 해결이 안 된다는 좌절감을 감정적으로 해소하도록 자극해 반사 표를 얻으려는 건 정치인의 태도가 아니다. 국민의힘을 제치고 보수의 대안이 되고 싶다면 '보편 정당으로서의 책임'을 가져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준일 정치평론가도 "사람들한테 남은 것은 이준석의 네거티브 전략밖에 없고, 미래 자산도 상당히 잠식된 것 아니냐는 평가들이 있다"라며 "특정 세대와 젠더에 집중된 지지층은 열광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더 빠지지는 않겠지만, 확장성에 굉장히 영향을 주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소장파로 꼽히는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세력의 부재'를 치명적 단점으로 꼽았다. 김재섭 의원은 "예를 들어 이준석이라는 젊은 정치인이 대통령이 된다면 국정을 누가 이끌겠나. 국민은 이준석 옆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고 알 방법도 없다"며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정치적 견해를 같이 서포트해줄 사람이 없다는 건 정말 극복해야 될 문제"라고 제언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를 통해 국정운영은 개인 한 사람의 것이 아님을 잘 알게 되지 않았나"라며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이 됐지만, 정치적 세력이 부재했던 탓에 검찰 출신 인사나 본인들의 지인을 주요 관료로 써서 비판받았다. 어떤 방식이든 보수 진영이 합종연횡을 통해 재건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2025대선#개혁신당#이준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화빈 (hwaaa) 내방

팩트 앞에 겸손하겠습니다. 사회부 사건팀 김화빈 기자입니다.

오마이뉴스 사진부 기자입니다.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