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선서를 하고 있다. ⓒ 유성호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 이종석 후보자님은 굉장히 친북적인데 국가정보원장이 되시면 국정원이 북한의 대남 연락사무소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 전락할 것 같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윤석열 정부 국정원장을 두고) 윤석열 내란 수괴 보호 연락 소장이라고 부르면 좋나? 사과해달라.
19일 오전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여야가 이 후보자의 안보관을 검증하다가 충돌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이 후보자의 과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관련된 발언 등을 일일이 소환하며 쏘아붙이자, 이를 듣던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다소 격양된 목소리로 사과를 촉구했다. 그러나 송 의원이 사과를 거부하면서 잠시 고성이 오고 가기도 했다.
송언석, 이화영 전 부지사 근무 인연도 꺼내 "잘 아시는 분이죠?"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성향이 친북적인데 이런 분이 국정원을 이끄는 수장이 됐을 때 국정원이 과연 대한민국을 지키는 기관으로 기능을 할지 아니면 북한의 대남 연락 사무소 기능을 하는 그런 기능으로 전락할지 이런 것들을 걱정하게 된다”라며 이 후보자에게 질의하고 있다. ⓒ 유성호
이날 오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로 선출된 송언석 의원은 "성향이 친북적인데 이런 분이 국정원을 이끄는 수장이 됐을 때 국정원이 과연 대한민국을 지키는 기관으로 기능을 할지 아니면 북한의 대남 연락 사무소 기능을 하는 그런 기능으로 전락할지 이런 것들을 걱정하게 된다"고 운을 뗐다. 이 후보자는 "그게 왜 친북적인 것인지 제가 정확하게 가늠을 못 하겠다"고 답했다.
송 의원은 이 후보자가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으로 유죄가 확정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함께 근무한 인연도 짚으며 공세를 폈다. 송 의원은 "후보자께서는 이 전 부지사와 굉장히 오랫동안 활동을 같이 하셨다. 경기도 정책 토론회, 2018년 10월 4일 평화 방북단도 같이 하고 경기도 평화정책자문위원회 회의도 하셨는데 잘 아시는 분인가"라며 "이 전 부지사가 대북 송금을 했다는 사실을 혹시 알고 계셨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이 후보자는 "제가 경기도 평화 정책 자문위원장이었다. 알지만 같이 활동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송 의원은 "그렇게 같이 활동하며 밀접한 관계에 있으셨는데 왜 대북 불법 송금을 듣지 못 했나"라며 "대법원 판결은 존중하시나"라고 되물었다. 이 후보자는 "판결의 자세한 내용은 모르지만 존중돼야 한다"고 짧게 답했다.
이 후보자는 송 의원이 이 전 부지사와 활동한 인사 중에 종북 인사들이 많았다고 지적한 데 대해 "그분들을 종북 인사라고 일방적으로 말씀하시는 것도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국정원장 후보자를 대남연락소장으로 지칭하는 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라고 의사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 유성호
이에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에서 송 의원을 겨냥해 "10년 전, 20년 전 발언을 '기억하나, 안 하나' 이렇게 물어보는 건 초등학교에서 '1+1은 2냐, 이거 모르냐' 이렇게 물어보는 방식"이라며 "특히 국정원장 후보자를 대남연락소장으로 지칭하는 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 (국민의힘에) 윤석열 내란수괴 보호 연락소장 이렇게 부르면 좋아하지 않지 않느냐.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 의원은 김 의원의 사과 요구를 거부했고 이 과정에서 서로 신경전을 벌였다. 김 의원은 송 의원이 발언 중 끼어들자 "발언 중이라고"라며 소리쳤고, 송 의원은 "왜 반말을 하고 그러느냐"고 맞받았다. 김 의원은 "반말 안 했다, 좀 지켜보라"고 했고, 송 의원은 "빨리 말씀하시라"고 받아쳤다.
국힘 안보관 공세에 민주당, 12.3 내란-비화폰 삭제 맞불... 이종석 "살펴보겠다"
▲이종석 국정원장 후보자 "흔들림 없는 굳건한 평화 구축에 이바지"
유성호
국민의힘이 이 후보자의 안보관 검증을 집중 공략하자 민주당은 국정원이 12.3 내란과 비화폰 기록 삭제 등에 관여된 문제를 지적하며 맞섰다.
김영진 의원은 "윤석열 비상계엄 관련 재판의 과정을 보면 지난해 3~4월경부터 비상 계엄에 관한 모의하고 여러 가지 회의를 진행했다"며 "국정원은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했나. 아니면 안 했나"라고 물었다. 더해 "(12.3 내란 관련해) 비화폰 내역이 삭제된 경위나 비화폰 지급규칙을 어기고 전직군인 노상원이나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에게 지급된 점도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국정원이) 불법 내란에 관여된 걸로 의심받고 있는 정황들이 여러 가지 있다. 조태용 전 국정원장과 경호처의 통화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화폰 기록이 삭제되지 않았나"라며 "조 전 원장이 내란 주요 증거를 삭제 인멸하도록 조언하거나 방조, 가담했는지 조사가 필요하지 않나"라고 이 후보자에게 물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도 "국정원법에는 내란죄, 외환죄, 반란죄에 대해서 감시하고 필요하면 보고서를 작성해서 대통령께 보고해야 된다"며 "기본적으로 대정부전복 임무가 직무에 포함돼 있는데도 (윤석열 정부) 김규현·조태용 국정원장 시절에는 국가안보를 수호할 실질적 일을 하기는커녕 직무를 유기했다"며 감찰을 요구했다.
반면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국정원이 정권교체기 정치화되는 흐름을 조심해야 된다"며 "지금 특검이 임명됐으니 전적으로 맡기고 국정원은 자료 제출로 수사에 협조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여야로부터 상반된 의견을 청취한 이 후보자는 "특검 수사가 기본"이라면서도 "저희도 내부의 나름대로 조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살펴보는 정도는 해야 되지 않을까 판단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이 후보자는 모두발언에서 "새 정부의 외교 안보 정책 비전인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성공을 뒷받침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세계 각국이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경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지금 국정원의 정보 역량을 가동해 국익 극대화 지점을 가장 먼저 찾아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