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 인공지는 서.논술 평가 시스템 설명 ⓒ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개발해 본격 운영에 나선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1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공개하며 "이 문제(AI 서·논술형 평가)는 우리나라 교육의 미래를 결정할 정도로 중요한 숙제"라고 강조했다.
임 교육감은 "교육의 본질은 정답을 찾는 기술이 아니라, 학생이 살아갈 미래 사회를 위한 역량과 인성을 기르는 것"이라며 "AI 기반 평가시스템은 학생 성장을 지원하고 입시 중심 교육을 바꾸기 위한 시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도교육청은 교육의 미래를 위해 누구도 찾지 않고,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열어가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 설명 ⓒ 경기도교육청
이날 간담회에는 평가시스템을 현장에서 실제로 운용하고 있는 담당자와 교사가 함께 참석해 시스템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해당 교사는 "(AI 채점 덕분에) 채점 시간은 줄이고 정확도는 높일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라고 평가했고, 학생들 역시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가 생겼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AI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은 경기도교육청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Hi-Learning)'에 탑재되어 운영된다. 평가 전 과정을 표준화해 교사를 지원하며, 특히 교사가 설계한 평가 기준과 요소에 맞춰 AI가 학생의 답안을 자동 채점하고 피드백까지 제공하는 것이 핵심 기능이다.
또한 OCR(광학 문자 인식) 엔진을 통해 학생의 손글씨 답안을 디지털 문자로 변환해 채점하며, 이에 따라 학생별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학생 평가 누적 조회 기능 등을 통해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고, 학교 평가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스템은 지난 1월, 임 교육감이 발표한 '미래 대학입시 개혁안'의 일환으로 이뤄졌으며, 현재 1학기에 7개 학교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2학기에는 10개 학교를 추가 선정해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적용은 오는 7월부터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국어·사회·과학 교과에서 시작되며, 이후 전 학년·전 교과로 점차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경기도교육청은 교원의 평가시스템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4000여 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할 계획이며, 정책 실행 및 시범운영 연구회를 통해 AI 서·논술형 평가의 실증 연구와 현장 우수 사례 발굴도 병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