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형매장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고 일부 폐업하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 관련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회에 '홈플러스 사태 해결과 국회 청문회 개최 결의안'이 제출된 데 이어 노동자·시민들이 해당 국회 상임위원회를 압박하고 나선다.

홈플러스 최대주주는 MBK 김병주 회장이다. 홈플러스는 3월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신청했고, 계약해지와 폐점 통보된 매장은 36곳에 이른다. 기업회생 계획안 제출 시한이 7월 10일이다.

국회 청문회를 연다면 해당 상임위는 정무위원회다. 정무위 위원장은 국민의힘 윤한홍 국회의원(마산회원)이다. 이에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아래 공대위)는 윤 의원을 압박하고 나섰다.

AD
공대위는 오는 16일부터 27일까지 평일에 윤한홍 의원 지역사무소 앞에서 "지키자 홈플러스. 책임져라 MBK. MBK 김병주 청문회 개최 촉구 1인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공대위는 미리 낸 자료를 통해 "국회 정무위원장 윤한홍 의원이 책임지고 MBK 김병주 청문회 개최하라", "MBK 김병주 회장의 청문회를 통해 홈플러스 사태의 진상규명, 김병주의 책임있는 사태해결, 대책촉구"한다며 "7월 10일경 예정된 기업회생 계획안에 기업청산이 아닌 기업회생방안을 제출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국회 정무위원장인 윤한홍 의원을 상대로 홈플러스 사태 관련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윤한홍 의원 지역사무소 앞 기자회견 때 모습.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국회 정무위원장인 윤한홍 의원을 상대로 홈플러스 사태 관련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윤한홍 의원 지역사무소 앞 기자회견 때 모습. ⓒ 마트노조

홈플러스 사태 해결 및 국회청문회 개최 결의안 제출

이런 가운데 국회에 '홈플러스 사태 해결 및 국회 청문회 개최 결의안'이 제출되었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비례)은 지난 10일 민병덕(더불어민주당)·신장식(조국혁신당) 의원과 공동으로 결의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결의안은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사태에 대해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관련자에 대한 법적·정책적 조치를 촉구", "국회법에 따라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된 진실 규명 및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청문회 개최"를 결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결의안에는 진보당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총 25명의 의원이 동참했다.

진보당 의원은 "10만명의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계가 달린 일이다. 국회가 책임있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야당 국회의원들이 결의안을 공동 발의하게 되었다. MBK의 먹튀행각이 고용위기에 내몰린 노동자는 물론, 입점업체와 국민들까지 불안하게 하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청문회가 필요하다"고 결의안 발의의 취지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인 민병덕의원은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는 이제 책임을 방기한 '홈마이너스'가 됐다"며 "이번 기습 회생은 회생을 가장한 민영 청산이자, 사모펀드가 국민의 삶을 비용처럼 처리하는 구조적 폭력"이라고 비판했다.

신장식 의원은 "MBK파트너스와 김병주 회장 등은 홈플러스 회생 신청 과정에서 사기적 · 부정 거래 혐의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해 초래된 막대한 국민적 피해에 대해 어떠한 사회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홈플러스 사태의 실질적 책임 규명을 위해서라도 이들에 대한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우철 마트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홈플러스 기업회생은 사모펀드 MBK의 신종먹튀"라며 "MBK의 먹튀를 방치한다면, 협력직원까지 10만에 이르는 고용 위험과 주변 상권에 끼치는 영향까지 엄청난 경제적 파국이 도래할 것이다. 청문회를 통한 철저한 진상규명으로 MBK의 책임을 묻고, 홈플러스가 정상화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윤성효 (cjnews) 내방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