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위원장 최희선)에 소속되어 있는 7개 국립대병원지부가 10일 오전 전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병원의 경영 위기를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반대를 이유로 시작된 전공의 집단 사직, 의대생 집단휴업 등 의료 공백은 새 정부가 바뀌어도 여전히 진행 중이고 지난 정부의 잘못된 의료개혁 추진으로 인한 국립대병원의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국립대병원장들이 병원 경영난을 이유로 긴축 경영을 하면서 강제 휴가, 인력 충원 중단 등 노동자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의정갈등으로 인한 경영악화를 노동자에게 떠넘기지 말라보건의료노조에 소속되어 있는 7개 국립대병원지부가 10일 오전 전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병원의 경영 위기를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 강연배
이들은 위급한 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으려면 보건의료 인력이 충분히 충원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병원 사용자들이 노동자들에게 희생만 강요하고 성실한 교섭을 하지 않는다면 국립대병원지부들도 7월 24일 진행하게 될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에 함께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 오미령 민주노총 광주본부 수석부본부장과 보건의료노조에 소속되어 있는 경상국립대학병원지부, 부산대병원지부, 부산대치과병원지부, 서울대치과병원지부, 전남대병원지부, 전북대병원지부, 충남대병원지부 간부들과 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지역본부 간부 등 30여 명이 참여했다.

▲의정갈등으로 인한 경영악화를 노동자에게 떠넘기지 말라보건의료노조에 소속되어 있는 7개 국립대병원지부가 10일 오전 전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병원의 경영 위기를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 강연배
한연지 보건의료노조 조직부장의 사회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취지 발언을 통해 "지난해 의정갈등으로 인해 환자가 급감했고 국립대병원은 경영위기가 찾아왔다. 그 적자를 메꾸고자 노동자들은 많은 희생을 치렀다. 그리고 1년 5개월이 지났는데 우리에게 또다시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유독 전남대병원 사용자는 지난 5월부터 노동조합에서 수차례 교섭요청을 했지만 갖가지 핑계를 대며 교섭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만약 성실히 교섭 응하지 않는다면 7월말 총파업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권종 광주전남지역본부장도 투쟁 발언에 나섰다. 최 본부장은 "경영 위기의 책임은 경영의 권한을 가진 경영자가 져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특히 전남대병원의 경영적자는 빛고을 병원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빛고을 병원을 지어 놓고 책임도 지지 못하는 것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그런데 모든 경영 위기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영악화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위급한 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으려면 보건의료 인력이 충분히 충원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강연배
현장 발언도 이어졌다. 신나리 전남대병원지부장은 병원 측의 단체협약 위반 및 연차촉진제 도입시도를 규탄했다. 유은하 충남대병원지부장은 노동자에게 경영위기 책임을 전가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끝으로 조옥희 부산대병원지부장과 박창호 서울대치과병원지부장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는 것으로 기자회견을 마쳤다.
참가자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코로나19에 이어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은 의정 갈등의 불씨를 촉발하였고 이는 지역거점 국립대병원으로 옮겨와 대형 화재로 확산되고 말았다. 의정 갈등 장기화 여파로 전국 국립대병원 적자는 1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나 10개 병원 적자가 5천 6백억 원에 이른다. 2024년 전남대병원 670억, 부산대병원 660억, 충남대병원 330억, 경상국립대병원 300억, 전북대병원 500억 등 한 해 최대 적자를 기록하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란세력 심판과 새로운 사회대개혁의 민심을 등에 업고 정권을 창출한 정부는 공공의료와 지역의료를 강화시키고 공공병원의 지나친 인력 규제를 완화하고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실하게 교섭에 나서라경영악화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위급한 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으려면 보건의료 인력이 충분히 충원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병원 사용자들이 노동자들에게 희생만 강요하고 성실한 교섭을 하지 않는다면 국립대병원지부들도 7월 24일 진행하게될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에 함께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강연배
아울러 이들은 병원 사용자들에게"경영 위기를 노동자들에게만 전가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단체협약 위반과 연차촉진제 도입 등 노사 갈등의 원인이 되는 강요와 희생이 계속된다면 국립대병원지부는 총파업을 해서라도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경영악화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기자회견 참가자들은 "병원 사용자들이 노동자들에게 희생만 강요하고 성실한 교섭을 하지 않는다면 국립대병원지부들도 7월 24일 진행하게될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에 함께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강연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노동과세계에도 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