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한겨레신문이 운영하는 유튜브채널 '한겨레TV'에 출연한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 ⓒ Youtube '한겨레TV'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가 민주노동당 당명이 조만간 "정의당으로 돌아간다"고 밝혔다.
10일 한겨레신문이 운영하는 유튜브채널 '한겨레TV'에 출연한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는 당명에 대해 위와 같이 말하며 "공동의 선거라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 기존의 정의당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선거에 출마하는 게 약속이었다. 민주노동당이 진보정치의 첫 출발점이었지 않나. 그 초심으로 돌아가서 다시 시작하다는 의미를 담았었는데 이젠 원래대로 (정의당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영국 "진보정치 계속 분열... 정의당도 현장과 멀어지며 불신 초래"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과 함께 출연한 권 대표는 진보정치가 침체기에 들어설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진보정치가 대안세력으로서 신뢰를 얻지 못했다"라고 자평했다.
권 대표는 "2000년에 민주노동당이 처음 출발할 당시에는 거대양당이라는 두 정치 세력에 대해서 (민주노동당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겠다는 희망을 (국민들이) 가졌는데 이후 계속 분열되고 갈라졌다"며 "그러면서 굉장히 소수가 되어버린 상황에서 기대를 걸 수가 없게 되고 (진보정치에 대한) 굉장한 불신이 만들어졌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정의당도 지나치게 국회 중심, 여의도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현장과 거리감이 생겼다. 현장은 힘들어 죽겠는데 (정의당은) 잘 보이지 않았다. 그것도 일정 부분 불신을 초래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권영국, 이준석 성폭력 발언에 "나를 통해 이재명 타격 직감... 굉장히 불순"
권 대표는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의 성폭력 발언에 대해서 당시 상황을 회고하기도 했다.
그는 "처음에 (이 후보) 얘기가 잘 안 들렸다. 그래서 뒤에 얘기를 듣다가 '어 이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당황했다"라며 "그러면서도 분명히 나를 통해 이재명 후보에게 타격을 주려는 느낌이 확실히 들었다. 굉장히 불순하다는 생각에 '대답하지 않겠다'고 처음에 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권 대표는 "제가 처음부터 그 얘기를 잘 들었다면 바로 반격을 했을 텐데 안타깝다. 얘기를 놓치지 않았다면 '지금 당신이 공중파에서 그딴 소리를 할 수 있나'라고 지적했을 텐데 되게 안타까웠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해당 발언에 대해 "그러한 인용 자체가 오히려 (이 후보) 자신 스스로가 언어 성폭력을 가하는 방식이 되어버렸다"며 "정치를 저렇게 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가에 대해 국민에게 하나의 각인을 시켜줬다. (발언 자체가) 엄청난 충격을 주기도 했지만 이준석의 정치에 대해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그런 계기가 되었다"고 평했다.
김종대 "김문수 후보하고 TV토론에서 악수하라고 조언, 후보가 단호히 거절"

▲한편 권 대표의 대선토론 준비를 담당한 김종대 전 의원은 대선토론 당시 화제가 되었던 권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악수하지 않은 장면과 관련해 "나는 악수하라고 조언했다"고 밝혔다. ⓒ Youtube '한겨레TV'
대선토론의 후일담도 이어졌다. 권 대표의 대선토론 준비를 담당한 김종대 전 의원은 대선토론 당시 화제가 되었던 권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악수하지 않은 장면과 관련해 "나는 악수하라고 조언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악수하라는 조언에 권 후보가 '김문수와는 하고 싶지 않다'고 단호하게 말했다"며 "토론 끝나고 악수를 외면한 장면이 화제가 됐지만 사실 토론 시작 전에도 김 후보가 악수하러 왔다가 거절당했다. 그날 하루에만 두 번 거절당한 셈"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권 대표는 이재명 정부가 가장 먼저 펼쳐야 할 정책으로 민생 정책을 꼽았다. 권 대표는 "가장 시급한 문제는 민생 회복을 넘어선 민생 구출"이라며 "지금 내수 경기가 심각한데 이걸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대한 문제 해결을 빨리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내란 종식에 대해서도 "(윤석열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사실 채 해병 개입 사건만으로도 진작에 대통령직을 물러났어야 했다"며 "민주당에 유리하냐 아니냐 이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의 기강을 살리는 문제이고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문제"라면서 내란 사태와 관련해 새 정부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