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1대 대통령 취임하는 전두환(1931~2021). 1980. 9. 1 ⓒ 대통령기록관
5·18기념재단이 '광주학살 주범' 전두환의 고향 경남 합천에서 전두환 잔재 청산 법안 마련을 촉구하는 전국 단위 서명 운동에 나선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21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소속 25개 단체 대표자와 합천을 방문, 생명의숲 합천군민운동본부와 전두환 생가, 일해공원, 합천군청 내 전두환 기념식수와 표지석 등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합천을 함께 찾을 시민 30여 명도 모집한다.
이들은 일해공원 표지석 명칭 수정 퍼포먼스 등을 펼치고 '전두환 공원 폐지와 잔재 청산 법안 입법'을 촉구하기 위한 전국적인 온라인 서명 운동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재단은 생명의숲 합천군민운동본부와 5·18 전야제와 기념식에서 서명 운동을 벌여 4420명의 시민 동의를 받았다.
운동본부는 합천군이 2007년 새천년생명의숲을 전두환의 아호(일해)를 딴 '일해공원'으로 명칭을 바꾼 이후 18년째 일해공원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11월과 12월에는 국회에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을 요청하기 위한 국민동의 청원을 진행해 10만5000명의 동의를 얻었다.
그러나 입법 작업을 미뤄오던 국회가 해당 청원에 대해 '심도 있는 심사가 필요하다'며 심사 기간을 올해 말까지 연장했다.
이에 대해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전두환은 '전직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해 기념사업의 대상이 아니므로 전두환 생가 등 기념 시설은 세금으로 운영돼선 안 된다"며 "정부는 전국의 관련 기념 시설을 조사해 철거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