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 관광객들이 길게 줄 서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집무실 청와대 복귀 방침을 밝힌 이후 관람 가능 여부가 불확실해지자 관광객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 이희훈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국무회의에 상정된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 안건을 의결했다. 규모는 총 259억 원. 전임 정부의 용산 대통령실 이전 비용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규모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 안건 상정 및 의결 소식을 전하면서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는 용산 이전 관련 예비비인 378억 원의 69%로 119억 원을 줄였다"고 밝혔다.
이어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업체를 선정하고 사무실 배치는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배치할 예정"이라며 "청와대로의 복귀는 업무시간이 아닌 주말과 휴일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실행될 예정"이라고 했다.
현재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청와대 관람도 일부 변경될 예정이다. 강 대변인은 "순조로운 청와대 복귀와 더 나은 관람 환경 조성을 위해 청와대 관람을 조정하여 운영할 예정"이라며 "조정된 관람 운영은 오늘 지금 발표 이후 청와대 재단 누리집과 인스타그램에 게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금 필요한 최소한 수준이 259억 원"... 노후한 여민관 등 개보수?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6.10 [대통령실 제공]](https://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5/0610/IE003479684_STD.jpg)
▲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6.10 [대통령실 제공] ⓒ 연합뉴스
사실 윤석열 정부의 용산 대통령실 이전 비용은 378억 원 이상이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전직 대통령 윤석열은 당선인 시절 합참 이전 비용 118억 원을 포함해 총 496억 원을 집무실 이전 예산 예비비로 편성해줄 것을 요청했는데 관련 비용은 계속 불어났다. 특히 지난 2023년 대통령경호처 요청으로 87억 원의 예비비가 추가되면서 총 이전비용이 64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 복귀 관련 예산도 지금보다 늘어날 수 있다. 용산 이전 과정에서 발생한 훼손 및 보안 문제에 대한 개보수는 물론, 노후화된 시설,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당시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한 인터뷰에서 "여민관 같은 경우에 안전진단을 받으면 위험 등급이 나올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굉장히 오래된 건물"이라며 "관저 또한 개보수 이슈가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을 하느냐에 따라서 청와대 입주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 예비비 규모가 여민관 등 노후건물에 대한 수리 필요성도 감안된 것이냐"는 질문에 "어디 범위까지 포함된 것인지는 말하기 어렵다. 최소 필요한 수준이 295억 원이라고 잠정적 결론이 나와서 오늘 확보한 셈"이라며 "구체적이고 자세한 것(예비비 사용 용도)은 조금 더 지나봐야 나올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후보 시절 공약했던 세종 대통령실 이전도 함께 논의됐냐"는 질문에는 "오늘은 청와대 복귀 관련 논의만 이뤄졌다"고 밝혔다. 또한 "아직 (대통령 집무실 위치 등) 설계도를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며 "복귀 시점 역시 향후 순차적이라고 말한 만큼 향후 구체적인 시점을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